후진국은 지속가능하지 않게 하는 ‘지속가능한 개발‘

#지속가능한개발 #SustainableDevelopment

브리스코는 생각을 바꿀 수밖에 없었다. 2011년 한 인터뷰에서 그는 자신의 심경을 이렇게 털어놓았다. "물론 인프라 건설은 가난 구제의 충분조건이 아니죠. 하지만 필요조건이라는 사실은 거의 확실했습니다!" 브리스코는 한마디 덧붙였다. "오늘날 모든 선진국은 수력 발전용으로 개발할 수 있는 하천의 70퍼센트 이상을 개발한 상태입니다. 아프리카는 그 잠재력의 3퍼센트밖에 개발하지 못했고요."

세계은행의 목적은 가난한 나라의 경제 개발을 돕기 위해 금융을 제공하는 것이다. 2차 세계대전 이후 20여 년간 세계은행은 댐, 도로, 전력망 등 기본적인 현대 사회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돈을 개발도상국에 빌려주었다. 댐 건설 같은 것은 리스크가 낮은 투자다. 일단 지어 놓으면 꾸준히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고 그 진기를 판매해 수익을 올리고 나랏빚을 갚을 수 있기 때문이다. 브라질의 전력망 중 상당수가 이렇듯 세계은행 금융지원을 받은 것으로 12개의 수력 발전소가 브라질의 밤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 들어 세계자연기금이나 그린피스 같은 환경단체들이 목청을 높이기 시작하면서 유엔은 전적으로 다른 개발 모델을 개발도상국에 제시하기 시작했다. 이름하여 "지속가능한 개발"이었다.
이 새로운 모델에 따르면 가난한 개발도상국은 댐 같은 대규모 전력 인프라 대신 소규모 신재생 에너지를 계속 사용해야만 했다. 세계은행 역시 곧 유엔의 길을 따랐다.
1990년대에 이르자 세계은행의 금융 지원 가운데 인프라 구축에 투입되는 돈은 고작 5%에 지나지 않게 되었다. 브리스코는 이렇게 설명한다. "수자원 인프라는 발전의 수단이자 경제성장에 선결 조건이타. 그런데 이미 기반시설을 갖추고 있는 부유한 나라들이 작당해 그런 사업을 완전히 뒷전으로 밀어내 버렸다." - P4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