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쇼펜하우어, 나를 깨우다 - 멈춘 사유의 감각을 되살리는 51가지 철학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지음, 김욱 편역 / 레디투다이브 / 2025년 8월
평점 :
김욱 편역자의 신간 <쇼펜하우어, 나를 깨우다>는 멈춰 있던 사유의 감각을 일상 속에서 다시 일깨우는 51가지 화두를 통해, 쇼펜하우어 철학을 현대인의 삶과 정서에 자연스럽게 접목하여, 사유의 저변 확대를 겨냥한다.
태어났다는 사실, 그것이야말로 최초의 불행이라 규정한 쇼펜하우어는 인생이란 설계도가 주어지지 않고 이루어진 건축이라고 말한다. 우리는 알 수 없는 거대한 구조물의 일부이며, 그러한 구조 속에서 자신도 모르는 의미를 감당하며 살아간다는 것이다. 어차피 알 수 없는 삶의 의미를 붙잡는 대신, "나는 오늘 무엇을 하며 살아갈 것인가?"에 집중할 것을 요구한다. 살아있는 자체가 고통이므로, 견디면서 고통의 완성 즉 유일한 생존 목적 죽음에 이른다.
쇼펜하우어는 자살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한다. 삶이 무의미하다면 굳이 죽을 필요조차 없다. 진정한 해탈은 괴로워하는 나의 존재에 대한 무관심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무관심은 욕망과 자기 집착의 소멸로 이어지며, 이는 인간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길이 바로 의지의 소멸에 있다는 결론으로 귀결된다.
행복은 인간이 결코 도달할 수 없는 신기루이기에, 미련 없이 내려놓는 것이 가장 위대한 지혜라고 쇼펜하우어는 말한다. 삶은 본질적으로 고통이지만, 그 안에서 누릴 수 있는 유일한 기쁨은 오직 ‘노력하는 순간 그 자체’에 있다. 결국 현명한 삶이란, 삶의 무게를 피하려 하기보다 그것을 어떻게 나누어지고 살아갈지를 아는 삶이다.
자신과 타인에게 실망하기 싫다면, 본래 인간이란 윤리적인 존재가 아님을 인정하면 된다. 도덕은 일시적 규율이며, 법은 사회질서 유지를 위한 도구일 뿐, 애초에 정의란 없다. 윤리를 흉내 내는 존재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깨달을 때, 우리 자신과 타인에게 너그러울 수 있다.
감정을 중시한 쇼펜하우어는 감정의 기복이 무의식에 지배받는 사유의 결과라고 보았다. 그는 감정의 변화를 면밀히 추적하는 것만으로도 전혀 새로운 사유를 이끌어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지성은 두뇌라는 신체의 일부를 통해서만 작동한다. 다시 말해, 육체로 대표되는 비이성적이고 맹목적인 의지가 지성의 전제이자 존립의 조건이다. 따라서 절대적으로 순수한 이성은 존재할 수 없다.
지성의 본질은 약하게 불어오는 산들바람(=감정 기복)에도 심하게 요동치는 작은 불꽃과 같다. 지성의 주체가 아무리 위대한 사상가일지라도 약간의 불합리성과 오류는 내포한다.
가장 깊이 있는 통찰은 개체가 아니라 전체를 파악하는 것이다. 진리는 감각 너머의 실재이기에, 시대를 막론하고 통용되는 보편성을 가진다. 완전하지 않지만, 그럼에도 진리이다. 진리 탐구의 방해 요소는 사물에서 비롯된 오류가 유도하는 거짓 형상이나 지성의 나약함이 아니라, 선입관과 편견이다. 일반인과 달리, 천재는 자신의 주관적인 사유를 스스로 객관화해서 일반인에게 전달하는 존재이다.
쇼펜하우어에게 철학은 예술과 시처럼 인간이 세계를 자신의 직관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인도하는 학문이다. 철학자가 직관적 인식이라는 샘에서 객관적 지식이라는 물을 길어 올리는 사람이다.
<쇼펜하우어, 나를 깨우다>를 통해, 그의 철학이 불교와 많이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수행을 강조하는 불교와 달리, 쇼펜하우어는 철학적 사유를 통한 의지의 소멸을 주장한다.
쇼펜하우어는 타인의 사상을 이해하는 유일한 방법이 그 결점을 찾아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자살의 동기에 단순히 ‘삶의 무의미’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인간다운 삶’ 또한 중요한 동기 중 하나이다. 물론 ‘인간다움’이라는 단어가 내포하는 의미가 너무 다양하여 특정하기는 어렵지만, 존엄사의 당위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세계를 만든 건 두뇌가 아니라 욕망(p.231)이듯이, 쇼펜하우어의 철학을 인생의 나침판으로 삼은 이들에게 물질적 성장과 발전은 기대할 수 없다. 태어난 것 자체가 최초의 불운이지만, 행복이 이미지가 존재하는 신기루라면, "의지의 소멸"은 이미지조차 그릴 수 없는 환상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어쨌든 인간은 욕망 덩어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