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절해고도에 위리안치하라 - 절망의 섬에 새긴 유배객들의 삶과 예술
이종묵.안대회 지음, 이한구 사진 / 북스코프(아카넷) / 2011년 8월
평점 :
이 책의 제목을 제대로 읽기 까지 몇 번의 실수도 있었지만 너무나 생소해 고개를 갸우뚱 했다. 절해고도는 그렇다 치고 위리안치하라는 말이 무슨 말이지? 일본말도 같고... 갸우뚱 하다가 책 뒷 표지의 설명을 읽고는 '아!'하고 이해가 되었다. '이래서 사람은 배워야 해!!' 하면서.. '위리안치'란? 죄인이 유배된 집 지붕 높이까지 가시나무를 둘러쳐 외부와 완전히 격리시키는 형벌을 말한다. 개구멍 같은 작은 구멍만이 음식이 제공되는 곳이자 바깥세상과 통하는 유일한 통로였다고 한다. 이 형벌은 폭군의 대명사 연산군 때 처음 시행되었다. 재미있는 것은 자신이 만든 이 형벌 속에 연산군 자신 또한 갇히고 만다는 사실이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이종묵 교수와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안대회 교수가 그들이 유배되었던 우리 섬들을 찾아 나섰다. 중죄를 지었지만 사형을 면하고 먼 곳으로 격리되는 형벌을 유배라 하는데, 특히나 15-16세기 벼슬아치 네 명 가운데 한 명 꼴로 유배를 당했던 조선 시대에 유배가 가장 많았다고 한다. 시대가 뒤로 가면서 유배 장소는 서울과 멀어졌고 조선 후기에는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조그만 섬으로 보내 아예 돌아오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거의가 섬이었던 유배지에서 그야말로 절망의 세월을 보내고 생을 마감한 이들도 많았지만 역사적으로 길이 남을 예술 작품을 남긴 이들도 적지 않다. 유배의 노래로 나타낸 이들도 많았는데 임금을 그리는 연군(戀君)의 노래가 많았다고 한다. 혹시나 임금의 귀에 들어가 자신을 불러주지 않을까 하는 희망의 노래였달까... 얼마나 간절했으면 자신을 그리로 보낸 임금을 노래했을까... 물론 긴 유배의 시간 속에 점차 그 노래들도 사라져 버렸지만 말이다.
몇 해 전 [다산의 아버님께]를 통해 정약용 선생이 억울한 유배생활 중에서도 방대한 학문을 일구어 냈다는 것을 자세히 알 수 있었다. 억울하게 외딴 유배지에 갇혔을 때에도 절망하지 않고 일구어 낸 수 많은 저서들은 그저 방대한 저작물이 아니라, 주어진 처지에 굴복하지 않은 인간 정신의 위대한 산물이라는 작가의 말이 크게 공감 되었고 그 감동은 아직까지 남아있다. 이 책엔 임금의 귀에 속 보이는 노래가 들어가길 바라기 보다 억울한 유배생활의 분노를 학문으로 승화시킨 이들의 많은 이야기가 담겨있다. 짧게, 또는 길게 유배기간은 다 달랐지만 저마다의 방식으로 고통의 시간을 감내하며 예술로 승화시킨 그들의 작품들은 지금까지도 명작으로 꼽힌다. 정약전의 [현산어보], 김만중의 [사씨남정기], [구운몽]등이 그렇다.
유배객들의 성정에 따라 유배의 체험을 지난날을 돌아보는 기회로 삼기도 하고 이러한 명작들을 탄생시키기도 하는 걸 보면 오늘 날 우리들에게도 필요한 것이 '위리안치'가 아닐까 싶다. 가끔은 나 자신을 철저하게 돌아볼 수 있는 그런 시간 말이다. 유배당시와 지금은 많이 달라졌겠지만 탄성이 절로 나오는 절경들을 직접 바라보고, 사진에 담고, 그 길을 걷고... 유배객들의 흔적을 조금이라도 더 찾으려 했던 두 교수와 이한구 사진작가의 수고가 고스란히 느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