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의 화장법
아멜리 노통브 지음, 성귀수 옮김 / 문학세계사 / 200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지루한 회사 출장길, 공항에서 비행기는 연착되었고, 책에 주의를 집중하려는 순간, 누군가가 다가와 말을 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적의 화장법''은 시작된다.

이 책의 구성은 처음부터 끝까지 두 사람의 대화로 이어진다.
제롬 앙귀스트는 비행기가 출발할 때까지 혼자만의 편안한 독서의 시간을 가지려 하고, 텍스토르 텍셀은 끊임없이 제롬에게 말을 걸고 이야기를 한다.

텍셀은 자신의 어린 시절과 죄의식, 그리고 사랑 이야기를 주절대고, 제롬의 소박한 소망은 단지 그에게서 벗어나고픈 것 뿐이다. 그러나 이야기가 전개됨에 따라 텍셀이 자신의 사랑하는 부인의 죽음과 연관되어 있다는 걸 깨닫게 되고, 사태를 수습하기 위한 행동을 하게 된다.

처음에 책은 마치 내가 제롬이 된 것처럼 텍셀의 집요한 말솜씨에 고문당하는 것처럼 짜증스럽게 읽힌다. 저자가 인용한 ''타자는 곧 지옥''이라는 샤르트르의 말이 실감날 정도로 제롬은 텍셀에게 어이없게 당하고만 있다. 경찰을 부르거나 주위사람에게 도움을 청할 엄두도 내지 못한다.

그러나 종국에는 적이라는 게 나의 내부에 있고 그와 끝내 대면해야 할 사람도 나라는 걸 깨닫게 해 주면서 소설은 끝맺음한다.

자살에의 끊임없는 충동을 이겨내기 위해 밤마다 글을 써야 한다는 작가의 말처럼 소설은 아주 매력적인 반전을 가지고 있다.

작가의 궁극적 관심은 자신에 대한 끝없는 통찰이 아닐까 싶다. 그 자신이 화장을 한 화사한 모습이든, 아니면 흐트러지고 무질서한 모습이든 상관없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