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허한 십자가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선희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반려 애완동물의 장례를 치뤄주는 일을 하며 살고 있는 나카하라에게 걸려온 한통의 전화.

사야마 형사는 나카하라에게 전처 사요코가 살해 당했음을 알려준다.

 

나카하라와 사요코는 11년 전, 강도 살해 사건으로 어린 딸을 잃었다. 가해자의 처벌을 위해 노력했으나 선거 공판 후에도 그 상처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엔 이혼을 했고 차츰 연락도 끊어진 사이였다.

 

며칠 후 사쿠조라는 노인이 사요코를 살해했고 자수해왔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사야마 형사는 뭔가 미묘하게 어긋나 있다 여김에도 그 것이 무엇인지 명확히 밝히지 못한다.

 

나카하라는 전 장인 장모와의 만남을 통해 자신은 아직도 극복하고 못하고 묻어두고 피해왔던 상처를 그녀는 적극적으로 사회활동을 하면서 정면으로 부딪히며 바꾸어보려고 노력해왔음을 알게 되는데..

그녀의 죽음과 얽힌 비밀. 그것은 무엇일까...

 

이 글은 전남편이 살해당한 전처의 마지막 기록들을 쫓아가며 풀어가는 이야기이다.

 

살인과 처벌. 그리고 반성.

그것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 글이 아닌가 싶다.

 

살인자에 대한 사형 구형.

그것은 피해자와 그 가족들에 대한 속죄나 심리적 보상도 아닌, 단순한 슬픔 극복을 위한 통과점에 불과하다 라고 시작되는 사요코의 [사형 폐지론이라는 이름의 폭력]이라는 글.

또 살인자들은 살인을 함으로써 각자 자신의 죄에 따라 지게 되는 죄의 십자가들과 그것의 무게.

살인자들이 사형을 선고 받고 안받고, 사행이 집행되고 안되고에 따라서 과연 그것을 반성하느냐 하는 문제들.

살인을 숨기기 위한 또다른 살인.

속죄를 위한 반성과 몸부림 등등.

 

이러한 문제와 이야기들을 통해서 죄에 대한 통렬한 반성과 사죄가 없다면 사형도 그저 공허한 십자가에 불과하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그저 생각해보게 된다.

아니, 살인이라는 것 자체가 그 죄의 대가를 치룬다 해도 죽은 자가 돌아오는 것이 아니기에 그것이 얼마나 공허한 것인가를 알게 한다고나 할까..

이 책을 읽고.. 사형제에 대한 깊이 생각해보고 이야기해 본다면 더 좋을 듯하다. , 나처럼 사랑이야기를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사형제 외에도 조그맣게 곁다리로 붙은 사랑과 책임에 대해서도 이야기해 본다면 재미있지 않을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