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仁祖 1636 - 혼군의 전쟁, 병자호란
유근표 지음 / 북루덴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636년은 인조가 조선의 왕으로 있었다.
병자년이였기에 그 해에 일어난 난을 병자호란이라 일컫는다. 인조가 청의 외침으로부터 남한산성으로 도망간 그해. 후대의 우리는 청의 침략보다 왕이 도망간 사실에 더욱 주목하며 병자호란보다 남한산성으로 기억한다.
왕이 남한산성으로 도망간 이 사건을 실은 '인조 1636' 책을 읽어보았다.

우리나라의 왕이 타국의 왕에게 머리를 찧어가면서 절을 한 삼전도 굴욕은 학창시절에 배울 당시부터 워낙에 충격적이라 잊혀지질 않았다. 가르치는 선생님도 사람의 머리에서 종소리가 날정도로 이마를 세게 찧었던 치욕스러운 굴욕이였다면서 열성적으로 가르쳐주었던 것도 한 몫 했었다.

그런 남한산성을 소설책으로도 읽고 영화로도 보았던 터라 잘 알고 있는 내용일거라 생각해서 이번 책을 신청해서 받아보았는데, 새롭게 알게 된 이야기들이 많아서 높은 흥미를 가지고 읽을 수 있어서 좋았다.

책 내용은 인조의 전대인 광해군부터 시작한다. 광해군 또한 역사적으로 평가가 달라지는 인물이다. 역사는 역사가의 주관적 서술이기 때문에 누가 기록하는가에 따라 내용이 크게 달라질수 있다. 당대의 왕의 업적은 후에 자식이 온전하게 물려받으면 성군으로 기록되지만 인조반정처럼 반정으로 왕이 교체되면 전대의 왕은 혼군으로 밖에 기록되지 못하는게 현실이다.
그래서 광해군은 역사에 안좋게 기록되었지만 훗날 역사가들은 광해군의 다른 면모를 많이 밝혀냈기에 광해군의 이미지는 많이 좋아진 상태이다. 이번 책에서는 광해군이 중립적으로 쓰여져 있어서 좋았다. 어쨌거나 주인공은 인조이고 병자호란이니 앞선 내용을 간략하게 싣고자 했기에 중립적으로 쓰여졌다는 느낌이다.

인조가 능양군이였던 시절부터 반정을 꾀하는 내용이 나오기 시작하는데, 책을 읽다보면 반정의 내용이 왜 나오느냐 하니, 인조가 왜 무능력한 왕이 될 수밖에 없었는지를 설명해주기 위해서 반정의 내용부터 실었다는 느낌이 든다.
반정이라는게 무엇인가. 전대의 왕과 실권자들을 모조리 죽여버리는 일이다. 당대의 권력자들을 죽이는 일은 복수를 막아야 하기에 처자식도 모조리 참수 시키는 일이다. 성공하면 상대편을 모조리 죽이는 것이고 실패하면 우리편이 모조리 죽임당하는 것이다. 그런 거사를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반정에 참여하는 이들이 서로가 서로를 배반하지 못하도록 끈끈한 유대를 가져야 한다.
함께한 이들만 우리편이고 나머지는 못믿을 남의편이다.

그런 반정으로 임금이 된 왕이니 신하들의 권력이 얼마나 강했을지 안봐도 뻔하다. 우리편이였던 이괄조차 군사좀 쥐어줬더니 난을 일으키는데, 못 믿을 남의편에게는 어찌 군사를 줄 수 있었겠나. 처음부터 신하들과 백성들을 못믿는 상태로 왕이 되었는데, 대신들이 노령이 된들 젊은 신으로 바꿀 생각도 전혀 못한 채로 노인들만 끼고 살았을 거고, 백성을 믿지 못하는데 어찌 군사를 키울 생각을 했을까.
모든게 무지하고 무능력함에 안타깝다.

인조의 무능력함은 소현세자가 돌아왔을때 소현세자의 냉대에서 뼈저리게 드러나는 것 같다.
만약에 소현세자가 돌아왔을때 인조가 병들어 죽고 소현세자가 왕이 되었다면 조선의 역사는 조금 달라질 수 있지 않았을까.

이번 책은 역사책이라 딱딱할까봐 걱정했는데, 예상외로 굉장히 재밌게 읽었다. 인조반정의 이야기도 재밌게 잘 적혀 있었고 사람들 이름이 나열될때만 제외하면 어려운 내용도 없이 쉽고 재밌게 잘 읽을 수 있다.
소설책과 영화에서는 딱 인조자체의 상황만 중점적으로 보여주기에 전체적인 구도를 잘 알수가 없었는데, 이번 책에서는 병자호란이 발생하기 전 상황과 청나라의 상황이 다 적혀 있어서 전체적인 구도를 파악할 수 있어서 좋았다. 왕이 산성안에서 외롭게 저항한 사건인줄 알았더니 전국에서 인조를 구하러 온 백성이 달려왔다는 것도 알게 되었고, 이때의 전투가 우리나라 3대 패전중 하나인 쌍령전투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진짜 여러모로 인조와 대신들의 무능력함을 진실로 알게되는 순간들이였다.

책을 재밌게 잘 읽었기에 작가가 누군지 살펴보았더니 유근표라는 작가분은 20년간을 성곽과 병자호란을 연구하신 분이라고 한다. 저서를 살펴보니 서울지역의 여러 성곽에 관력된 저서들을 쓰신것이 보이는데 그 중에 '조선왕조의 왕위에 오르지 못한 세자'의 책 제목이 눈길을 끈다. 소현세자와 사도세사가 쓰여있지 않을까 기대하며 다음에 읽어보기를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