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와 당신들 베어타운 3부작 2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레드릭 배크만의 소설을 처음 접했던 것은 '오베라는 남자'를 접하면서이다. 도서관에서 파스텔 색의 그림 같은 아기자기한 책의 표지를 발견하게 되었고, 책의 표지의 이쁨에 대여해서 집에 가져왔을 때였다. 오베라는 남자는 흰머리를 가진 할아버지가 주인공으로 나오는데, 내 눈에 할아버지는 꼰대처럼 보였기에, 주인공 캐릭터에 대한 매력을 느끼지 못했고 곧 책을 다시 덮어버리고 말았었다. 나중에 다른 곳에서 책에 대한 내용을 들었을 때에는 초반에 오베라는 남자는 세상을 혼자 사는듯한 꼰대 같은 모습을 보이지만, 이웃과 여러 마찰이 생기나 곧 함께 살아가게 된다는 모습에서 의외의 모습을 보여주며 개인마다 가지고 있는 속 사정과 속내를 알게 되면서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에 대한 정을 보여주는 듯했다.

프레드릭 배크만에 대한 호감이 가장 컸던 책은 '브릿 마리 여기 있다'책을 보게 되면서였는데, 브릿 마리는 4차원 할머니 캐릭터로 나오지만, 나는 이상하게도 브릿 마리라는 캐릭터가 너무나도 호감이 갔다. 어째서 오베는 거부감이 들었고, 브릿 마리는 매력적으로 보였는지 아직도 알지 못한다. 브릿 마리에 대한 호감이 너무나도 컸기에 책에 대해 조사를 좀 더 해보니 브릿 마리는 '할머니가 미안하다고 전해달랬어요'책의 연작임을 알 수 있었다. 바로 할머니 책도 대여해서 읽어봤고, 프레드릭 배크만에 대한 호감이 높아져서 그 후로도 그의 책이 나오면 꼬박꼬박 읽어보게 되었다.

프레드릭 배크만의 책을 계속 읽다 보면 약간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가 있는데, 그의 책은 세상에서 소외받거나 어린아이들이 쉽게 이해하지 못하는 세상 속의 숨은 인간미를 책 속에 싣는다는 것이다.

오베라는 남자는 왜 꼰대처럼 늙게 되었는가, 같은 건물에 살지만 서로 남남인 것 같은 개개인의 사람들은 어떤 공통된 문제를 안고 있는가, 브릿 마리는 왜 자신의 집을 떠나는가, 노인의 치매를 어린아이에게 어떻게 설명해줘야 하는가.

그리고 다 같이 살아가는 마을에서 어떻게 가해자와 피해자가 발생하는가.

이는 마치 인자한 아버지가 이제 막 세상을 알아가기 시작한 어린아이에게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풀기 어려운 비밀스러운 이야기를 깊게 설명해주기 위해서 소설로 풀어서 써준 내용 같다. 그래서 스토리는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대상으로 선택되는듯하다.

'베어타운'을 처음 받았을 때에는 책이 굉장히 두꺼워서 한번 놀라고, 첫 부분에 이야기의 진행보다는 마을 사람 모두가 다 한 번씩 등장하기에 등장인물들 소개만으로 진이 빠져버릴 것 같은 구성에 한 번 더 놀랐었다.

베어 타운은 작은 마을 구성원 모두가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각자 살아가는 듯 보이는 한마을이 어떻게 공동체 의식을 가지게 되며, 어떻게 사건을 풀어나가는지를 꽤나 동화 같으면서도 현실적인 잔인함으로 풀어가고 있다. 프레드릭 소설은 아기자기한 표지를 가지고 동화 같은 시작을 하지만 항상 현실을 겨냥하고 있기에 마냥 해피엔딩으로 끝나지는 않는다. 항상 이점을 주의하고 그의 소설을 봐야 한다.

이번 '우리와 당신들'은 '베어 타운'의 연작으로 받았을 때, 베어 타운만큼이나 두꺼운 책의 두께에 놀랄 수밖에 없었다. 브릿 마리 때에는 앞 책을 읽지 않아도 바로 읽을 수 있을 정도로 이야기에 연결점이 약했다고 봤는데, 이번 '우리와 당신들'은 왜 제목을 따로 지었는지 잘 모를 정도로 그냥 '베어 타운 2'이다.

이번 책에도 베어 타운 1과 마찬가지로 책의 초반부에 스토리가 빠르게 진행되지 않고, 뒷이야기를 너무나도 길게 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지만, 마을은 언제나 돌아가고 우리는 언제나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의 삶이라는 것을 잘 보여주는 듯했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프레드릭 소설에서 한가지 불만은 왜 자꾸 캐릭터들을 죽이는가 하는 점인데, 브릿 마리 때도 이름은 생각 안 나지만 친구의 복수를 하러 나간 소년 가장 아이가 죽었을 때도 엄청난 충격을 받았었다. 프레드릭은 생명은 태어나고 죽고 모든 게 돌고 돈다는 것을 표현하고 싶은듯한데, 그 점에 대한 약간의 불만을 표현하는 것을 제외하면 인간의 삶을 소설이자 현실적으로 잘 표현한듯하여 잘 읽었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