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만을 보았다
그레구아르 들라쿠르 지음, 이선민 옮김 / 문학테라피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미난 소설을 읽었다.

시간을 내서 읽느라 잠깐잠깐 흐름이 끊겼지만

읽는 내내 정말 재미있었던 소설이었다

 

 

 

 

[행복만을 보았다]라는 소설 제목처럼

한 개인의 행복을 찾아가는 이야기인데

단순히 행복을 찾아가는 이야기라고 말하기보다는

삶 자체를 담았다고 하는 편히 나을 것 같다

그리고 이 소설의 화자는 단순히 한 명이 아니라

여러 명의 관점에서 말해지고 있다

할아버지, 아버지, 딸 3대가 각자의 위치에서 이야기한다

그래서 더욱 소설이 재미나게 느껴지는 것 같다

 

 

 

소설의 전체적인 스토리 속에는 큰 사건이 존재한다

가족의 불화가 가장 큰 이유인데,

2대의 아버지가 할아버지가 자신에게 준 상처를 자식에게 주지 않으려는

생각에서 자신의 딸을 살해하려고 했던

한 무서운 사건이 있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이해를 하게 된다

그럴 수밖에 없었다고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기에 있을 수 없는 일을 만들기도 한다고 하는 편이 맞을 것 같다

사람이 저지르는 사건에는 합리적인 이유가 모든 존재하지 않겠지만

감정적인 이유는 충분히 존재하는 것 같다

 

 

 

 

마음에 와 닿았던 책 속의 문장 속으로 들어가 보자!

 


 

하지만 난 할 수 없었어, 결국 그렇게 하질 못했어.

사람들은 날 아프게 했지만, 그 상처를 더 헤집어놓은 건 나였으니까.

-> 어쩌면 상처를 곱씹고 있는 건 나였다. 그래서 나 자신을 힘들게 하는 건

그 시초는 타인이었을지라도 진행형은 나이더라. 그래서 마음에 더 와 닿았다

 

 

 

어른이 된다는 건 우리가 생각만큼 사랑받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거란다.

-> 어릴 때는, 고등학교 때까지도 너무나 많은 사랑을 받으며 난 성장하고 있었다는 것을

어른이 되어서, 혼자라는 외로움을 알게 되면서 알게 되었다

사랑받지 못하여 슬픈 영혼들이 얼마나 많은지.

그 슬픔을 표현하지 않는 것이 어른의 모습이라는 것을

그래서 그 슬픔을 간직한 어른은 슬픈 존재라는 것을 이제야 말없이 느낀다
 

 

 


 

세상 모든 사람은 백지상테를 꿈꾸지만, 불행히도 결국엔 하얀 종이 위에 뭐라고 써 있는 글자를 발견하고 말지

-> 가끔 힘든 일을 겪고 나면 그 일을 까맣게 잊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눈에 보이는 것이 사라졌다고 해도 마음에는 남아있더라

백지처럼 하얗게 지우개를 지웠지만, 아는 사람은 그 지운 흔적이 보이는 것처럼...

 

 

 

 


 

사람은 말입니다. 사생활이 엉망이 되고, 가족이 무너지고, 사회생활까지 땅속으로 꺼지다 보면

점점 어둠 속으로 들어가는 기분이 들어요.

-> ​나 자신만 괜찮으면 괜찮을 것 같다가도 작은 일에 무너지는 것이 사람이 아닌가 싶다

전혀 그럴 것 같지 않아도 사람은 상처를 받을 수 있고 무너질 수 있고

어떤 일을 다 망쳐버릴 수도 있다. 이성적이려고 노력하는 것이 사람인 것이지

이성적인 것이 사람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내가 생각하는 행복이란 무엇일까 다시 생각하게 했던 소설이다.

요즘 내가 생각하는 행복은

달콤이와 함께

셋이라는 가족이 만들어가는 일상이다.

개인의 행복도 따로 생각하고 있지만 말이다.

그 균형이 잘 이루어지도록, 그래서 어느 한쪽이 약해지면

기대어 편히 쉬어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

 

 

 

 

 

이 소설의 작가 [그레구아르 들라쿠르]의 소설은

처음 읽어보는데 그 문체에 정말 빠져 버렸다

찾아보니, 이 작가는 카피라이터인데 그래서 문장 하나하나가

가슴을 파고드는 카피 같은 문장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섬세하고 우아하다!! 이런 문체에 약해지는 나를 본다.

다른 소설도 찾아 읽어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