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일 1페이지 조선사 365 - 읽다보면 역사의 흐름이 트이는 조선 왕조 이야기
유정호 지음 / 믹스커피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365일, 조선 역사는 518년'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를 담아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1일 1페이지 조선사 365>(믹스커피, 2021)는 하루에 1페이지씩 총 365일간 읽으면서 조선 518년 역사 탐방할 수 있는 책이다.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서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 조선 역사에서 숨겨진 이야기나 설화를 알려주면서 주요 사건과 인물, 제도를 설명한다. 조선 역사를 움직이는 힘이 무엇인지, 어떻게 이동했는지 경로를 보여준다. 저자 유정호는 중고등학교에서 15년 동안 역사교사로 활동하고, <족집게 한국사>, <방구석 역사여행>, 공저<이다지도 확실한 이론 완성 근현대사> 등 활발하게 집필활동을 한다.

작품에 총 27명의 왕이 등장한다. 시간 순서대로 나오고, 왕의 업적, 가계도, 사건, 인물, 제도, 설화가 차례로 이어진다. 제위 기간 중 많은 업적을 쌓았거나 중요한 사건이 일어난 왕에 대해 설명할 때는 비중을 두었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적게 다루었다. 제1대 태조의 경우는 19페이지, 제5대 문종은 7페이지를 할애하는 방식이다. '창업을 예견하는 꿈을 꾸다'와 같이 소제목만 보아도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무엇을 중요하게 다루었는지 예측할 수 있다.

조선시대 제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도표를 활용한 점이 돋보인다. 제2대 정동 25일차 '한눈에 보는 과거제도'에서는 문관, 무관, 기술관으로 구분하여 어떤 순서로 이루어지는지, 몇 명을 뽑는지 포인트를 뽑아서 간단하게 보여줬다. 왕별 가계도도 흥미롭다. 제4대 세종은 부인 6명, 자녀 18남 4녀, 제7대 세조는 부인 2명, 자녀 4남 1녀를 두었는데 왕별로 비교해 보는 재미가 있다.

호기심을 일으키는 소제목과 재미있는 사연이 많다. 예를 들어 '고려를 떡에 담다'에서는 가래떡 끝을 비틀며 조선에 대해 복수심을 다짐했던 개성 사람 이야기를 들려주며 조랭이떡의 기원을 밝힌다. 제4대 세종 때 '남자의 귀고리를 금하다'에서는 삼국 시대부터 이어진 남자의 귀고리 전통과 함께 어명으로 금지했는데도 불구하고 조선 시대 남자들이 왜 계속하고 다녔는지 이유를 설명한다. 각 페이지마다 관련된 내용을 찾아볼 수 있도록 '귀고리단속', '조선인식별방법'과 같은 해시태그를 달아주었다. 자세한 정보를 알고 싶은 사람이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359일차부터 365일차에는 궁궐 산책 코너로 경복궁, 덕수궁, 경희궁, 종묘, 운현궁을 소개하며 역대 왕에 대한 기록을 되짚어보게 한다. 조선 역사 365 책 한 권을 덮으면서 방구석 역사여행을 한 후 궁궐에서 왕의 흔적을 찾고 싶어질 것이다.

하루에 한 장이라는 분량, 재미있는 포인트, 호기심을 자극하는 알찬 내용으로 끝까지 읽게 하는 힘이 있다. 365일이 지나면 조선 역사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책 앞 부분에 있는 '1일 1페이지 조선사 365 체크리스트'도 완독을 도와준다. 참고 자료로 논문, 도서, 사이트를 넣어주었고, '찾아보기'로 책에 소개된 인물, 사건, 제도 등이 며칠 차에 나와있는지 친절하게 안내했다. 내용이 계속 연결되므로 시간 순서대로 보기 좋다. 읽고 싶은 부분을 골라볼 수 있도록 구성도 잘 나누어져 있다. 목차가 없어서 아쉽다. 관심 있는 왕이나 사건을 골라서 보고 싶은 독자는 불편하게 여길 것이다. 개정판이 나온다면 365개의 소제목과 왕 이름이 목차에 들어가기를 바란다. 특정 왕에게 적용하지 않아도 되는 역사를 업적 적은 왕에서 배분하면서 총 27명의 왕이 나왔는데 복잡하다. 왕 가계도를 따로 삽입하고 왕을 10명 내외로 압축해서 소개했다면 어땠을까. 조선 역사 518년 전체 흐름을 집중해서 볼 수 있을 것이다.

<1일 1페이지 조선사 365> YES24 미리 보기
http://m.yes24.com/Goods/Detail/103918112

<1일 1페이지 조선사 365> 알라딘 미리 보기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803376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가 하늘나라 갔어? 문지아이들
스티나 비르센 지음, 기영인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9년 2월
평점 :
절판


<누가 하늘나라 갔어?>는 죽음을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아이의 생각과 감정을 다룬 이야기다. 스웨덴 최고의 그림책 작가상인 ‘엘사 베스코브 상’과 ‘스톡홀름 시 문화상’을 받은 스티나 비르센이 글을 쓰고 그렸다.



할아버지 장례식 날 아기 새는 죽음이 무엇인지 모른다. 교회 의자에 앉아 있는 아기 새는 춥고, 계속 이어지는 목사님의 말이 지겹다. 눈물을 흘리는 아빠 새를 보면서 슬퍼할 뿐이다. 뒤에 앉은 다른 아기 새도 마찬가지다. 호기심 어린 눈으로 슬퍼하는 어른 새들의 모습을 바라본다. 장례식이 끝나 교회 밖으로 나가자 기분 좋아진 아기 새는 “할아버지는 지금 어디 계세요?”라고 묻고, 아빠 새는 “그건 아무도 모르지”라 대답한다. 아기 새는 “할아버지는 나비가 될 거야.”라는 ‘멋진’ 생각을 이야기한다. 그 순간 하늘에 할아버지 새의 모습을 한 나비가 새 가족 위로 날아다닌다. 아빠 새는 아기 새의 말에 위로받으며 눈물을 멈춘다. 엄마 새와 아빠 사이에 서 있는 아기 새는 이때 죽음을 바라보는 방식을 어른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했다. 위로와 공감은 이렇듯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아빠 새의 슬픔을 위로하고 싶어 한 아기 새의 마음이 특별한 일을 해낸다.

하지만 아기 새는 죽음란 무엇인지 궁금하다. 지나가는 할머니 곰에게 “할머니도 좀 나이 드시고 쪼글쪼글해 보”이는데 “죽을 거예요?”라고 천연덕스럽게 묻는다. 아기 새는 상대방의 반응을 신경 쓰지 않고 자유롭게 궁금한 건 무엇이든지 물어볼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존재다. “한참 더 살 거라는” 할머니 곰과 딱 달라붙어 있는 아기 곰의 눈썹은 동시에 찌그러지고 당황해서 눈동자를 어디에 둘지 모른다. 할머니 곰은 기운 넘친다는 걸 보여주려고 다리 한쪽도 들어올린다. 잠시 후 아기 곰은 놀랬던 마음을 잊고 “우리 같이 놀까?”라고 아기 새에게 말을 건다. 아기 새도 할아버지 새의 죽음이나 아빠 새의 슬픔에서 멀어진다. 아이들의 세계는 이처럼 눈물과 웃음이 뒤섞이면서 시시각각 감정이 달라진다. 어른들의 삶도 마찬가지다. 삶과 죽음, 슬픔과 즐거움이 일상에서 공존한다. 단지 어른들은 떠오른 생각을 말로 표현하지 않는다. 장례식장은 슬픔을 위한 공간이니 어른들은 추위와 지루함을 내색하지 않고 엄숙함을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또, 어른은 처음부터 죽음에 대해서 알고 있다고 여기고, 아이는 천천히 시간을 두고 배우도록 하는 점이 다르다.



아기 곰과 놀던 아기 새는 실수인지 먹고 싶어서인지 나비를 삼켜버린다. 아기 새는 “아이코!” 하며 “나비가 죽었어요”라고 눈물을 흘리다가 엄마 새가 아빠 새에게 해주었던 말을 떠올린다. 그리고 할아버지 대신 나비 상황으로 바꾸어 “아마 나비도 지쳤을 거야. 잘 살다가 떠난 거야”라고 죽음을 설명한다. 이제 아기 새는 죽음이 무엇인지 이해한다. 이때 아기 곰도 엄마 새가 아빠 새에게 해주었던 것처럼 눈물을 흘리면서 안아준다. 아이 곰과 아기 새는 관계 속에서 공감하는 경험을 한다. 슬픔에 대한 이해는 엄마 새에게 아기 곰으로, 다시 아기 새로 이어진다. 이제 새 가족과 곰 가족은 풀밭에 함께 앉아 하늘 위에서 날아다니는 나비를 보며 이별했던 누군가를 떠올린다. 서로의 아픔을 공감하면서 함께 있는 즐거움을 누린다.



작가는 아이의 시선으로 ‘죽음’을 설명한다. 죽음이란 누군가를 영원히 잃어버렸기에 다시 만날 수 없게 되는 단절이 아니라 새로운 만남이라고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죽음을 다른 방식으로 볼 수 있다고 말하는 작품이다. 상대방의 아픔을 이해하는 방식도 여러 가지이고, 개인마다 시간이 걸릴 수 있는 점도 보여주었다. 나비를 잃은 아기 새처럼 스스로 상실의 아픔을 경험하고 나서야 그 슬픔이 무엇인지 이해하게 된다고도 알려준다. 한편 죽음을 모르는 아기 새가 아빠를 위로한 것처럼 마음만 있다면 뜻밖의 멋진 선물을 줄 수 있다고도 이야기한다. 소중한 사람을 잃은 아픔을 자기만의 세계에서 두지 말고, 다른 사람과 관계를 가지며 시선을 돌려보면 좋겠다고도 한다. 그 세계는 아기 새가 알려준 나비를 통해서 만날 수도 있고, 아기 새가 슬픔에 잠긴 채 바라본 하늘의 구름을 바라보면서 찾을지도 모른다. 누군가와 손을 잡았을 때나 돗자리 깔고 나란히 앉아 차를 함께 마시면서 발견할 수도 있다.



소중한 사람을 잃고 그리워하는 사람에게 추천한다. 다시 볼 수 없다 대신 어디선가 만날 수 있다는 희망이 나비의 모습처럼 날아오지 않을까. 마음이 가라앉고 슬퍼질 때 죽음을 받아들여야 했던 마지막 순간부터 ‘잘 살다가 떠난 거야’라고 이어지는 이야기를 읽으면서 위로받을 수 있다. 뒷 면지의 구름과 함께 있는 노란색, 빨간색 나비를 보다가 그리운 사람을 만날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