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하는 리더의 역사공부
김영수 지음 / 창해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중국 역사서 사마천의 사기에 대한 권위자다. 중국통이라고 해야 하나? 그가 쓴 책만 해도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오죽했으면 그의 이름만 들어도 그가 얼마나 많은 책을 냈는지 알 수 있을 정도이다. 이 책은 그가 전에 쓴 리더의 역사공부제목의 책에 대한 개정판이다. 몇 가지 수정 보완하고 조금 글을 덧붙이고 시대 상황에 맞게 수정, 보완한 책이다. 제목처럼 성공하는 리더의 역사공부라는 말이 의미 있게 받아진다. 과거의 리더는 확실히 군자였을 것이다. 지금 시대에 그런 군자의 면모를 보인다면 글쎄 제대로 살지는 모르겠지만 힘들지 않을까 생각한다.

 

머리말에 나오는 역사는 기록이 아니라 기억이다. 옳은 길은 한 번도 편한 적이 없었다. 백성이 부유해야 나라도 부유해진다. 권력은 힘을 나누는 것이다. 언격이 인격이다. 좀 알자, 중국. 지식이 해방된 시대 등 이 문구들이 이 책에서 하고자 하는 말을 함축하고 있다. 7가지를 지금 여의도와 용산에서 정치하는 사람들이 좀 읽고 새겨들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갑자기 들었다. 하나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실정인 것 같아서 직접 읽어주고 싶은 심정이다. 정말 반대로만 하고있는 것 같아서 안타까울 뿐이다.

 

1. 역사는 기록이 아니라 기억이라고 한 이유가 뭘까? 송나라 명장 악비와 진회의 이야기, 그리고 후세의 진회의 후손이 무릎을 꿇고 있는 진회부부 철상을 바라보는 소회를 글로 옮겨놓은 것으로 역사는 뒤끝이 있다는 말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 근현대사를 보면 악비와 진회같은 사람들이 많았다. 그들의 후손들이 그들 조상의 땅이라고 소송을 하고 또 소송에서 승소하는 일을 보면서 정말 어이없는 우리나라의 현실에 혀를 두른다. 기록은 있으되 기억을 못하는 것이다.

2. 옳은 길은 한 번도 편한 적이 없었다. ‘죽어야 충신 말 듣는다라는 말이 있다. 조선 역사 속에 사육신, 생육신이 나온다. 그들은 죽어서, 살아서 충을 지킨 사람들이다. 그들이 편한 적이 있었을까? 개혁은 힘들다. 꼭 희생을 부른다.

3. 백성이 부유해야 나라도 부유해진다. 전 세계적으로 국민이 부유해서 나라도 부유해진 나라가 얼마나 있겠는가? 공자가 보수주의자였구나. 그런데 그 공자는 우리가 생각하는 보수주의자가 아니다.

4. 권력은 힘을 나누는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예나지금이나 정치를 하는자들은 모두 똑같았다는 것을 보면서 인간세상의 권력이라는 것이 나누기보다는 집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대통령제에서 삼권분립을 주장하고 있지만 그렇게 되는지는 의문이다.

5. 언격이 인격이다. 참 맞는 말이다. 정말 공감되는 글들이다. 사마천의 사기에서 뿐인가? 말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중요한 것이었다. 간신의 아첨하는 말, 귀에 듣기 좋은 말, 이런 말 말고 다툼조차도 해결할 수 있는 말, 이런 말이 인격을 보여주는 말 아닐까 생각해본다.

6. 좀 알자, 중국. 중국지도자들에 대한 인식은 저자와는 확연히 다르다. 나는 민족주의자도 국뽕도 아니지만 중국 지도자들에 대한 이해는 그리 깊지 않다. 그들이 아무리 역사서를 읽고 깊은 조예를 가지고 있다고 한들, 그들의 방식은 틀렸다고 생각한다. 그들이 결정했던 사항들이 모두 중국을 위해서 한 일들이겠지만 세계평화를 위한 노력은 긍정적이지 못하다는 생각을 한다.

7. 지식이 해방된 미래. 요즘 세상을 요지경 세상이라고 한다. 도덕이 바닥을 쳤고 사고의 기준이 모호해진 시대를 살고 있다. 지식은 뭐든지 알고자 하면 검색하나면 된다. 과거 사례를 통해 제시되는 사항들을 보면서 정말 현대에 살고 있다는 것이 얼마나 다행인지에 대해 생각해 본다.

 

저자의 명성답게 적절한 사례들을 들어 우리에게 교훈을 준다. 공감하지 못하는 부분도 있었지만 깊이 공감하는 내용들도 많았다. 책을 읽는 내내 과거와 현재가 꼭 닿아있다는 생각, 사람이 사는 곳과 시대를 거스른다는 생각 등을 해 본다.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