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의 마음 책고래마을 48
유하정 지음, 안효림 그림 / 책고래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책을 본 것이 아이들 어렸을 때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주면서 자주 봤던 기억 이후 정말 오랜만에 직접 읽어 보는 그림책이다. 이 책은 유하정님이 글을 쓰고 그림은 안효림님이 그렸다. 그림책이 좋은 것은 그림과 글을 보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는 것과 그림과 글에 의미가 조화를 이루며 우리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들이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이고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고 처해있는 상황이 어떻고 또 읽는 마음에 따라 다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이라는게 무엇일까? 보통 장벽, 말리장성, 구분짓는 것, 장애물 등등으로 이해되거나 그렇게 그것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책은 그것과 별개의 의미를 가진 듯 하다. 알퐁스 도데의 작품 에서 스테파네트 아가씨를 지켜주던 순수한 이 갑자기 생각나는 그러한 으로 나는 느껴졌다. 아기돼지, 고양이, 고라니는 모두 삶에 지쳐서 기대고 싶은 그런 우리 인간을 이야기 하고 싶었던게 아닐까 생각해보니 의인화가 되었다. 내가 그 고라니, 고양이, 아기돼지의 모습이었다. 고단한 삶의 지치고 지쳐 어딘가에 기대고 싶은 으로 느껴졌다. ‘의 마음은 그러한 인간의 마음의 상처를 치유해 주고 안정과 평화를 주고자 하는 그런 마음을 가진 이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그 고라니, 고양이, 아기돼지는 그 벽이 없었으면 그들이 향하고자 하는 곳으로 가지 않았을까 하는 의구심도 들었다. 언덕이라는 것도 양지바른 곳에서의 언덕은 힘만 있으면 언제든지 뛰어넘을 수 있는 것 아닌가? 상대적인 느낌임은 분명하다. 그림책을 보다 보면 글이 아주 적은데 생각해 보면 주는 의미는 아주 많다. 여기서 고라니와 아기돼지, 고양이는 다 다른 행로와 목적지를 보이고 있었지만 도달한 곳은 길가의 이었다. 고라니는 무엇인가를 찾다가, 아기돼지는 엄마돼지를 따라가다가, 아기 고양이는 걸음연습을 하다가 다친 것이다. 그들에게 상처를 준 것은 인간이었는데, 인간은 그들에게 상처준지도 그들이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그들의 아픔을 알지도 그런지도 모른다. 그게 삶이라는 것 같다. 그림책은 상상의 나래를 펼치게 한다. 아이들의 순수한 마음을 잡고 아이들에게 앞으로의 희망을 갖게하는 그림책이 참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