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열어보지 말 것 - 미니어처 왕국 훔쳐보기
쓰네카와 고타로 지음 / 그늘 / 2025년 6월
평점 :
※ 이 글은 디지털감성e북카페에서 무상으로 도서를 지원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열어보지 말 것’이라는 제목을 보는 순간, 반사적으로 열어보고 싶다는 충동이 생겼다. 제목 하나만으로도 독자의 본능을 건드리는 책이라니, 첫 인상부터 인상적이었다. 사실 나는 쓰네카와 고타로라는 작가에 대해 잘 알지 못했기에, 그의 대표작인 '야시'를 먼저 읽어보기로 했다.
'야시'에는 두 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다. 개인적으로는 ‘바람의 도시’가 더 인상 깊었다. 도시 전체가 하나의 존재처럼 움직이는 그 세계관에서, 쓰네카와 고타로가 얼마나 뛰어난 상상력을 지닌 작가인지 느낄 수 있었다. '야시'를 통해 그의 작품이 단순한 판타지를 넘어서, 복잡하게 얽힌 상징과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덕분에 '열어보지 말 것'에 대한 기대는 더욱 커졌다.
'열어보지 말 것'은 총 여섯 개의 단편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사이사이에 ‘이야기의 조각’이라는 다섯 개의 짧은 연결편이 삽입되어 있다. 처음엔 별개의 이야기처럼 느껴졌지만, 책을 읽을수록 각 이야기들이 인물, 도구, 사건 등을 통해 유기적으로 얽혀 있다는 걸 알게 된다. 단편이라 하기엔 서로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고, 장편이라 보기엔 이야기의 형식과 구조가 너무 흩어져 있다. 굳이 이름 붙이자면, ‘서사적 파편으로 엮은 미스터리 파노라마’쯤 될까.
여섯 편 중 가장 인상 깊었던 건 '스즈와 긴타의 은시계'였다. 내가 좋아하는 타임루프 장르이기도 하고, 무엇보다 이야기 구조가 흥미롭다. 스즈는 우연한 계기로 시간여행이 가능한 ‘은시계’를 얻게 된다. 시계는 미래의 시간으로 돌려주는 기능이 있고 최대는 50년이 가능했다. 스즈와 긴타는 도둑질을 하여 시간 이동을 했다. 그리고 시계를 통해 그들은 괴이한 존재로부터 도망칠 수 있었고, 반복적인 위협 속에서 시계는 생존의 도구가 된다.
하지만 문제는 반복이다. 이들은 매번 쫓기고, 매번 시간을 감는다. 어느 날 둘이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 위기가 찾아오고, 스즈는 시계를 최대치인 50년까지 돌려 괴물의 입에 던진다. 그 순간, 괴물은 사라지고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 이 장면은 단순한 공포를 넘어, 시간이라는 개념의 한계와 인간의 두려움, 그리고 선택의 무게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야기의 조각’에서는 이 은시계가 다시 등장한다. 만약 내가 이 시계를 갖게 된다면, 나는 과연 버튼을 누를 수 있을까? 궁금증이 나를 밀어붙이겠지만, 동시에 그 이후의 삶은 무서울 것 같다. 시간은 도피처가 아니라, 결국은 나를 다시 마주하게 하는 거울이 될지도 모른다.
이 작품을 다 읽고 난 후, 다시 한 번 작가의 상상력에 감탄하게 된다. 그가 만들어낸 세계는 현실과 판타지의 경계 위에 놓여 있고, 그 속을 걷는 인물들은 모두 자신만의 진실을 끌어안고 있다. 특히 마지막 이야기인 '끝없는 대륙, 불멸의 야차'에 이르러서는, 이야기가 이전과는 또 다른 결의 세계로 확장된다. 퀸플레어가 만들어낸 록은 과연 루루펠이었을까? 책에는 명확한 답을 주지 않지만, 오히려 그래서 더 오래도록 여운이 남는다.
쓰네카와 고타로의 작품은 독자에게 단순한 읽을거리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질문과 상상을 선물한다. 그가 던지는 단서 하나하나가 퍼즐 조각처럼 맞물리며, 결국 독자 스스로가 그 의미를 해석하게 만든다. '열어보지 말 것'을 열어보길 정말 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