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mian 데미안 세트 - 전2권 - 영문판 + 한글판
헤르만 헤세 지음 / 반석출판사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양의 고전중 한번쯤 읽어본 책이 "데미안"이다.  책의 내용도 감수성이 넘쳐나던 시기의 청소년들에게 마음의 양식이 되는 것 같다.  이제 나이가 좀 드니까 예전에 읽었던 고전에 대한 관심도 커진다.  이 책 "데미안(헤르만 헤세 저 / 조혜정 옮김)"을 읽어보기로 했다. 특징은 한글판과 영문판 두 권으로 구성되어 있는 책이다. 예전에 영한대역문고 한 권쯤은 영어공부를 한다고 사서 읽은 경험은 다들 있을 것 같다.  이번에는 반석출판사에 내놓은 것을 읽어보기로 했다.  국문판을 펴드는데 편안한 느낌이 든다.  글자 크기 때문인가 보다. 벌써부터 헤세의 어린 시절부터 청년기까지의 삶을 그린 자전적인 소설인 데미안의 아득한 기억을 떠올린다.  이 책에서 가장 도움이 되는 것은 한글판 번역에 등장인물과 간단한 설명이 있다는 것이다.  이 간단한 설명 하나만 읽어봐도 이 책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의 깊이를 더할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의 서문이 젊은 시절의 "나"를 생각하게 하는 글귀로 시작하고 앞으로 나올 "데미안"의 분명한 복선이다.  "나는 다만 내 진정한 자아가 이끄는 대로 조화롭게 살고자 했을 뿐이다. 왜 그것이 그토록 어려웠을까?, p8"의 구절은 "I wanted only to try to live in accord with the promptings which came from my true self.  Why was that so very difficult?"이다.  독일어가 아니라 영어지만 우리 말과 영어를 대조하여 놓고 읽어보면 좀 더 분명한 의미의 전달이 가능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 각각의 두 문장을 비교하면서 "진정한 자아(true self)"라는 단어에서 싱클레어가 겪은 고뇌가 남다르지 않다는 점도 같이 느껴진다. 

"애밀 싱클레어의 청년시절의 이야기"라는 부제로 출간을 했다는 이 책은 헤세가 아닌 싱클레어라는 가명으로 출간을 했었다고 한다.  한마디로 "나를 찾아서(looking for myself)"인 이 책을 읽로라면 많은 상징을 만나게 된다.  헤세의 자전적인 이 책은 총 8개의 장으로 <두 세계, 카인, 예수 옆에 매달린 도둑들 중에, 베아트리체,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야곱의 싸움, 에바부인, 종말이 시작되다>로 구성이 되어 있다. 5장의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는 두 말할 것 없이 "데미안"을 읽은 사람들이라면 생각나는 가장 많이 언급되는 장이기도 하고 청년들에게 깨달음을 주는 장이 아닌가 생각한다. 이 책은 "빛의 세계" 또는 어두운 세계 속에서 갈등하며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이라고 말할 수 있다. 밝기만 세상에 살던 주인공 싱클레어는 프란츠 크로머를 만나 소위 어둠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는데 막스 데미안을 만나게 된다. 데미안은 싱클레어를 괴롭히던 크로머로부터 벗어나게 해주는 일로부터 시작하여 데미안의 새로운 시각은 싱클레어가 자신을 자각하고 변화해가는 모습을 1인칭 시점으로 그려냈다.
 
이 책은 새로운 사회에 진출하는 청소년을 위한 소설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철학적인 깊이가 있는 책이기도 하다. 의식의 흐름이나 철학적인 이해가 요구되는 소설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읽을때 쉽던 내용이 갑자기 어려워질 수 도 있겠으나 그냥 나의 어린 시절의 고뇌를 생각하면서 읽다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의미에서 이 책은 니체의 향기도 나고 융의 깊이 있는 꿈에 관한 철학, 사상을 이해하면 더욱 깊이 있게 감상할 수 있는 책이기도 한 것 같다.어찌되었든 나는 소설 "데미안"은 성장소설에 더 가깝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다보면 어렵게 느껴지는 번역부분이 몇 번 나왔다. 그때 영문판을 읽어보면 좀 더 쉽고 깊이 있게 읽을수 있다, 데미안에는 많은 독백과 상징이 나오는데 이런 부분들은 부단한 지기성찰이며 영어로 어떻게 표현이 되어 있는지를 비교하며 보게 되면 의미를 쉽게 이해하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몇 개 장의 내용을 음미해보면... 자신을 찾아서 떠난 구도자의 심정이 그대로 드러나는 3장 "예수 옆에 매달린 도둑들 중에"에서는 이 책 프롤로그에 나와있듯이  <더러는 인간이 되지 못하고 개구리나 도마뱀, 개미로 남기도 한다. 허리위는 사람, 아래는 물고기인채로 남는 경우도 있다. 그들 각각은은 인간이 되기를 바라며 자연이 건 도박이다....그러나 우리들 각각은 깊은 곳에서 비롯된 시도들로서 자신의 운명을 향해 있는 힘껏 노력한다.>는 글귀처럼 싱클레어의 절절한 구도적인 자세가 표현되어 있다. 그냥 아버지나 어머니가 깔아 놓은 빛의 세계에 안주 하지 않는다. 4장 "베아트리체"에서는 스치듯 지나간 여인을 흠모하며 한 단계 더 성숙하는 장면을 읽으면서 우리 모두의 그 시절과 겹치는 부분이 없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그래도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깊고 오랜 기억에 남는 것은 5장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이 아닌가 싶다. 이 글귀처럼 우리의 성장기를 단적으로 표현해주는 아름다운 글귀도 없다.  고뇌하는 젊은이들에게 희망을 주는 글귀다.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먼저 부수어야 한다.  새는 신에게로 날아간다. 그 신의 이름은 아브락사스(Abraxas)이다." "The bird fights its way out of the egg.  The egg is the world. Who would be born must first destroy a world.  The bird flies to God.  That God's name is Abraxa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정이란 무엇인가 - 우리 시대 공정성에 대한 모든 궁극적 질문의 해답
벤 펜턴 지음, 박정은 옮김 / 아이콤마(주)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회는 평등, 과정은 공정, 결과는 정의로울 것" 이 말은 문재인 19대 대통령 취임사에서 한 말이다.  지금도 세상은 오히려 기회는 불평등하고, 과정은 불공정하고, 결과는 정의롭지 못하다고 난리들이다.  특권과 반칙이 난무하고 상식대로 하면 순진한 사람이고 손해를 보는 세상이라고 말한다.  "공정이란 무엇인가/벤 펜턴지음, 박정은 옮김)"을 읽었다.  비슷한 제목의 책들이 많이 나왔지만 "우리시대 공정성에 대한 모든 궁극적인 질문의 해답"이라는 말이 묘하게 당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공정하다(to be fair)"는 의미가 쉽지 않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불행하게도 그냥 쉽게 "뭐, 그런가 아니야?"하고 넘어 가다가 이렇게 철학적이고 과학적으로 그리고 때로는 유머가 들어간 저자의 "공정"에 대한 해석과 발자취를 듣는 것은 새로운 의미(정의)의 세계에 들어온 듯 하였다. 이 책을 읽으며 결국 깨닫게 된 사실은 공정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 보다 "실행"하는 것이 더 어렵다는 것이다.  대통령이 약속한다고 해서 세상이 그렇게 되지 않는 것 처럼 공정은 권력으로 쉽사리 정리정돈될 수 있는 그 무엇은 아닌 것 같다.

이 책의 표지에 적혀 있는 "모든 궁극적 질문의 해답"은 영어로 "The ultimate guide to fairness in the 21st century"라고 적혀 있는데 이 말의 영감은 바로 바로 더글러스 애덤스의 저서 "은하수를 여행하는 하치 하이커를 위한 안내서(The hitchhiker's guide to the Galacy)"에서 따온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바로 서문에 그 책의 이야기가 나온다.  이 책이 뜬금없이 나온 이유는 바로 42라는 숫자때문인데 42는 "삶, 우주, 그리고 모든 것에 대한 궁극적 질문의 해답"으로 나온다. "공정"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궁극적인 답"을 42라는 숫자의 은유를 통하여 찾고자 하는 듯 하기도 하다.  저자는 또한 영국 크리켓 경기의 규칙 42조가 페어플레이에 관한 규정이었다고 소개를 하면서 42와 공정의 우연한듯 철학적인 연관성을 뛰우고 이 책을 시작한다.

공정의 정의부터 시작하여 분야별로 공정에 대한 해설을 담고 있는 이 책은 이 책을 읽어야 할 이유, 공정성의 원칙, 신경학/심리학에서의 공정성연구, 역사에서의 공정성, 영어권국가와 공정성, 스포츠(그리고 전쟁), 비지니스/경제, 법과 과세, 의사소통과/기술, 정치와 정부, 인간관계에서의 공정성 등에 대한 깊이있는 논의를 한다.  고정이란 의미를 아주 깊이있게 그리고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고 잠시나마 사색에 젖게한다.  저자는 공정의 정의를 협력과 경젱사이의 "균형"을 이루기위한 과정에서 우리가 공정의 개념이 작용하게 되는데 유전적 재능이라고 한다.  또한, 공정은 "과정"이라고 말한다.  문재인 대통령의 "과정은 공정"처럼 말이다.  저자는 또한 "공정"의 반의어는 "불공정"이 아니라고 주장을 한다.  각각의 경우 뇌의 활성화되는 부위가 다르다는 것인데 잘은 모르겠으나 이처럼 뇌의 반응위치가 다르다는 사실은 불공정의 감지와 공정의 판단이 서로 다른 계산임으로 시사한다고 한다.

내용이 때로는 어렵고 한 참 생각을 하다가 넘어가고했지만 분야별로 관심이 있는 분야에 대해서 읽어보면 우리 안에 유전적으로 내재된 "공정"의 의미와 실천방안도 나올 것으로 생각한다.  각각의 논제에 대하여 논할 정도의 지식과 지적인 훈련이 부족하여 이 정도로 하고...마지막에는 다시 페어플레이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미국의 유명한 흑인 야구선수 재키 로빈슨의 이야기가 나온다.  역시 그는 페어플레이 정신의 귀감이고 그의 등번호가 42번이다!  저자는 여기서 또 다시한번 재키 로빈슨이라는 흑인 최초의 메이저 리그 야구선수와 그의 등번호 42번으로 상징되는 페어플레이가 (공정에대한) 궁극적인 질문의 해답이 아닌가 하는 질문을 던지며 우리는 조금더 공정에 가까워질수 있다고 외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만 옳다는 착각 - 내 편 편향이 초래하는 파국의 심리학
크리스토퍼 J. 퍼거슨 지음, 김희봉 옮김 / 선순환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의 생각은 항상 객관적일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 자신이 항상 객관적이고 과학적이라고 믿는 경향이 있다.  사실, 왠만한 이슈를 두고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곡 차곡 따져보면 우리는 "편향" 그 자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구가 멸망하거나 무슨 대재앙이 일어나지 않았으나 그나마 다행이다.  그러나 우리의 일상에서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각종 편향과 잘못된 정보, 비합리적인 소문 등 뭔가 확증편향적인 생각을 하고 또 믿고 살고 있다.  각종 뉴스나 SNS 그리고 좌/우로 나뉜 정치인들과 각종 이익단체들은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사람들의 생각을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영향을 준다.  우리는 이 모든 일들의 문제점을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고 난후에야 알게되는데 그만큼 이런 치우친 생각,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는데 시간이 필요하다는 증거이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각종 정보로 넘쳐난다. 우리의 정치판은 가짜뉴스라고 서로 삿대짓을 하고 연일 같은 사안에 대한 다른 의견들이 넘쳐나고 어느 것이 진실인지 모를정도로 다양한 주장이 넘쳐난다.  이런 일들중에 인류에 중요한 사건이었던 것들은 심리학적으로 분석을 하고 우리 생각의 모순을 되짚어주는 책이 있어서 읽게 되었는데, 제목이 "나만 옳다는 착각(크리스토퍼 J. 퍼거슨 저/김희봉 옮김)"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서두에서 접하게 되는 "가용성 폭포" "가용성 휴리스틱"등은 한마디로 사회적 전염에 관한 것으로 "우리가 서로를 더 멍청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는 그래서 우리는 모두 "속기쉬운 사람들"이라는 메세지가 호소력이 있다.

1차세계대전의 배경이나 코로나19때 화장지대란 등의 예시로 시작해서 우리가 어떻게 한순간에 소위 가용성 폭포에 빠지고 확증편향에 빠지는지에 대한 설명은 관심이 간다.  이 책의 시작은 한 항공기추락사고에 관한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이 내용은 따로 요약되어 하나의 교훈으로 인터넷에 돌아다니기도 했는데, 수많은 훈련과 비행시간에도 불구하고 유능한 조종사들이 비행기를 추락시키고 승객과 승무원 모두가 사망하게 되는 사고에 대한 것은 인간이 특정 사안에 대하여 "감정적"으로 매달리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보여주는 사례다.  당사자가 아닌한 나는 항상 객관적이고 이성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문제를 알면 나의 생각과 행동을 바꿀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코로나19 펜데믹 발생상황에서 미국의 초기대응이나 중국의 초기대응문제 등, WHO가 코로나19초기발생시 대중국 편향이나, 미국의 좌파와 우파가 같은 사안을 놓고 다른 생각을 주장하고 전파하던 문제 등의 예시에서 보면 넘쳐나는 정보와 개인의 편향 등 우리가 생각해야 할 많은 문제가 있다.  핵무기에서 출발한 핵의 다양한 문제점과 화석연료가 더 큰 문제를 일으키고있지만 핵발전소의 나쁜 사례들 때문에 핵발전소를 없애려고 하면서도 실제로 더많은 환경문제와 죽어가는 사람들이 있는 화석연료발전은 고집하는 문제 등 생각할 주제를 논하고 있다. 당장 누군가 잘못생각을 하고 있는데 대놓고 틀렸다고 말하면 들을리도 없고 결국 우리는 합리적인 판단을 하게 된다는 믿음으로 주어진 문제에 대하여 어리석은 생각을 버리고 좀 더 선한 역할을 하며 데이터에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돈이 된다! 쿠팡 돈이 된다! 시리즈
엑스브레인 지음 / 진서원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쩌다 쿠팡에서 물건을 사보면 이거 중국에서 구매해서 판매를 한 것이라는 생각이 드는 소소한 아이템들이 있다.  제대로 갖추어진 기업이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사업자)가 판매하는 제품인 것이다.  이처럼 온라인판매에서는 이미 수많은 개인들이 주업이외에 부업으로 이런 판매를 하면서 소소하게 부수입도 올리고 기회가 되면 좀 더 큰 사업으로 확장도 가능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예전에 엑스 브레인의 "돈이된다! 스마트스토어"를 읽었었는데 이번에 "돈이된다! 쿠팡(엑스브레인 저)"를 발견하고 읽어보게 되었다.

책의 두께가 제법된다.  이 책은 그냥 보통의 책은 아닌 것 같다.  책의 뭘리티가 있다.  나중에 필요한 부분을 다시 또 읽어볼 가치가 있는 책이다.  책의 구성도 탄탄하고 쿠팡에서 처음 판매를 하는 분들이나 쿠팡에서 어떻게 판매를 하는 것인지를 알고 싶으면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쿠팡에서 판매를 하기 위한 하나의 메뉴얼같은 책이다.  이 책의 장점중의 하나는 단순히 쿠팡에서 어떻게 판매를 하는 것인지에 국한하지 않고 시장동향이나 스마트스토어같은 곳과의 비교, 성공 또는 실패할 확율이 높은 사례 등 중간중간 자세한 설명이 추가 되어있다.   각조종 도해와 자세한 설명은 "돈이된다! 스마트스토어"에서 감동을 했지만 이 책 "돈이된다! 쿠팡"도 절대 실망시키지 않는다.

스마트스토어와 쿠팡중 어느 것을 선택하라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장단점이 있기떄문에 스마트스토어를 하는 분들은 쿠팡도 강력히 추천을 하고 있다.  따라서 쿠팡에서 물건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스마트스토어와 다른지에 대한 설명을 기본으로 하고 그 다음 제품의 등록, 상세페이지, 광고 등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사업자구분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물론이고 스마트스토어와 쿠팡의 사업자 요건이 다르다는 점이 눈에 띈다.  쿠팡은 스마트스토어와는 달리 사업자등록증과 통신판매업신고증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쿠팡은 판매방식도 3가지로서 스마트스토어가 1가지라는 점에서 다르다.  어찌보면 복잡하고 어려워 보이지만 이것은 일종의 진입장벽으로 작용할수도 있을 것 같다.

이 책의 전체구성은 총 5일차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쿠팡 플랫폼 감잡기(1일차), 쿠팡입점 및 상품등록하기(2일차), 쿠팡상위 노출 공식 엿보기(3일차), 소비자의 눈길을 사로잡는 상세 페이지 구성하기(4일차) 그리고 쿠팡 광고와 마케팅 최적화하기(5일차)로 구성이 되어 있다.  쿠팡 판매의 3가지 방식에 대한 설명은 유용했다.  3가지 중에서 어떤 것이 내게 맞는 것이고 각각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1)마켓플레이스 방식, 2)로켓배송 방식, 그리고 3)로켓그로스 방식 각각에 대한 차이점 설명과 예제를 통하여 어떤 방식이 유리한 것인지를 쉽게 설명해준다. 이 책을 읽으면서 쿠팡이 스마트스토어와 크게 다른 점이 광고라는 부분이었는데 스마트스토어와는 달리 쿠팡은 광고의 중용성, 알고리즘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된다.  중요한 부분으로서 반드시 읽어봐야 할 부분이다.

전반적으로 처음 온라인 판매를 시작하는 분들이나 이미 다른 곳에서 판매를 하고 있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는 책이다.  책의 서두에는 쿠팡의 역사내지는 우리나라의 온라인마켓의 변천사를 들여다보는 대목이 있는데 아마존과 비슷한 사업형태까지 오는데 쿠팡이 어떤 노력을 하여 지금 국내1위 업체가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은 우리가 쿠팡을 해야 하는 이유를 그 어느 것보다 더 설득력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를 놓는 소년 바다로 간 달팽이 24
박세영 지음 / 북멘토(도서출판)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소년도서이지만 제목이 나를 이끈 책 '수를 놓는 소년' 이다. 소설의 모티브가 된 실제 평안북도 안주지방에서 '안주수'라는 수가 있다고 저자는 전해준다. 심지어 남자들이 수를 놓는다고 한다. 그 옛날 남성들이 어떻게 수를 놓았을지, 갖은 멸시와 천대가 함께 하지 않았을까. 여자들만의 전유물이었던 수를 남자들이 어떻게 수를 놓았을지 상상해 본ㄷㅏ. 이 책은 수를 놓는 한 소년의 이야기이다.

병자호란 , 나라님들도 청에 무릎을 꿇어 나라를 잃어버린 시기. 백성들은 전쟁으로 부모님을 잃고 누나와 함께 심양으로 끌려간 소년 윤승은 갖은 고초를 겪으며 생을 이어간다. 붙잡은 손을 놓친 누나는 살아 있는지 . 아님 이곳으로 끌려 왔는지 궁금하지만 매질과 함께 노동으로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다. 어린 나이의 윤승은 심양의 큰 상인인 강대인의 집으로 노예로 들어오게 되고 갖은 고초를 겪으며 하루하루를 지내다 윤승은 강대인의 2번째 부인 진부인의 눈에 띄게 되고 윤승의 자수에 눈여겨 보던 진부인의 도움으로 지옥같은 노동에서 벗어나는가 싶었지만 조선인이었던 진부인을 좋아하지 않던 강대인의 태부인의 모략으로 윤승은 모함에 빠지게 되고 진부인 또한 위험에 빠지지만 윤승은 자백을 거절하고 모진 매질과 함께 노예시장으로 보내지게 되는데 그곳에서 조선인을 구제하는 한 여인을 만나게 되는데 윤승또한 그 여인의 도움으로 노예로 부터 벗어나서 그 여인이 머무는 곳으로 가는데 그 여인은 소현세자의 빈이었다. 조선인들을 구제하기 위해 동분서주하던 세자빈의 도움으로 벗어 났지만 누나를 그리워하는 마음은 더욱더 크게 되는데...

한편 이곳에서 노동하고 편안하게 지내는가 쉽던 윤승에게 또한번 위기가 찾아오고 윤승의 자수를 눈여겨 봐왔던 진씨부인의 도움으로 소수민족출신으로 황제의 자수장까지 지낸 서사부를 만나게 되는데. 그곳에서 윤승은 자수에 대한 공부를 더 배우게 되고 서사부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자수를 마음껏 펼치지만, 윤승은 또 한번의 위기를 맞게 되면서 윤승의 생명은 풍전등화같은 시간을 보내게 된다. 과연 윤승은 누나를 만날수 있을지. 그리고 자신의 목숨뿐만 아니라 서사부와 자신을 돕던 이들의 목숨까지 지킬수 있을지. 어린 소년으로서 겪지 말아야 할 일들을 겪게 될 소년 자수장. 윤승, 그를 통해 우리의 어두운 역사와, 남성자수장의 이야기를 접할수 있어서 재미 있게 읽어 내려 갈수 있었다.

청소년 독서이지만 자수에 관심 있었던 터라 재미있게 읽을수 있었고 실제로 평안북도에 남성 자수장들이 있었다는 역사적인 사실에 놀랍기도 했다. 그리고 책 첫페이지에는 큐알코드로 보면 책속에 나오는 자수기법 14가지 기법을 볼수 있다. 그 당시 여자들만의 전유물로만 생각하던 자수를 남성들이 놓았다니. 그들의 자수는 어떠한 모습일지 궁금하기도 했다. 요즘 같은 세상에 태어 나셨더라면 세계적인 자수장들이 되셨을지 않을까 상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