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감정에 흔들릴 때 읽는 책 - 불안, 분노, 무력감 뒤에 숨은 진짜 감정을 돌보는 심리 수업
권수영 지음 / 갈매나무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 <인사이드 아웃>을 보면
감정이 각각의 인격체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감정을 인격으로 다룬다는 아이디어가 참신해
재미있게 봤던 기억이 있네요.

그런데 실제 감정도 영화 <인사이드 아웃>처럼
각자의 영역을 가지고 유기적으로 움직인다고 합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책은 <<나쁜 감정에 흔들릴 때 읽는 책>>입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이 책은 감성 힐링 에세이가 아닙니다.
연세대학교에서 상담코칭학과에서 교수로 활동하고 계신 권수영 교수님께서 지은 책입니다.




이 책의 대전제는 [나쁜 감정은 나쁘지 않다]입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불안, 분노, 무기력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들은 나쁜 것이 아닙니다.
이러한 감정은 인류가 생존을 위해 발전하는 과정 속에 나타났으며
때문에 부정적이라고 생각하는 감정이 나타나면 그속에 진짜 전하고 싶었던 메시지가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이후 저자는 부정적인 감정을 하나씩 정의하며 이야기를 이끌어갑니다.
그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건 [슬픔은 크고 작은 상실에 대한 아픔]이라는 표현이었습니다.
슬펐던 순간을 돌아보면 무언가 나를 떠난 것이 있었습니다.
슬픔의 정의를 아니 내가 왜 슬펐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었습니다.

슬픔 뿐만 아니라 불안, 죄책감, 분노, 미움, 무력감 등 여러 부정적인 감정의 이야기가 나왔는데
스스로 이런 감정이 들었을 때 왜 그랬는지 돌아볼 수 있었습니다.




감정들에 대한 정리와 솔루션을 마친 후
저자는 마지막으로 나쁜 감정과 화해하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가장 중요한 사실은 나쁘다고 생각한 감정은
사실 나를 지키기 위해 나왔다
는 겁니다.
그러기에 감정에 대한 혐오를 멈추고 그속에 숨겨져 있는
연약한 내 약점을 찾아야 합니다.


또한 강경파 감정과 온건파 감정을 각각 원심력과 구심력에 비유하는데
참 적절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랜만에 상담심리 관련 좋은 책을 읽었습니다.
책을 읽으며 몇 번이나 눈시울이 붉어졌는지 모릅니다.
20대 초중반 감정 기복으로 인해 굉장히 힘든 시기를 보냈는데,
그때의 내가 이 책을 읽었다면 참 좋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일시적으로 감정을 위로해주는 가벼운 책이 아니라
내 마음의 근원을 바라보는 방법을 제시해주어 특히나 좋았습니다.

또한 다양한 상담 사례와 이론들이 책 속에 쉽고 재미있게 녹아있어
교수님의 내공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누구인지 아는 것이 왜 중요한가 - 그간 외면해온 외로운 나에게 인생을 묻다
페터 베르 지음, 장혜경 옮김 / 갈매나무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다 나은 삶을 살고 싶다면

몸과 마음을 잘 관리해야 합니다.

 

하지만 대다수는

바쁘다는 핑계로 자기관리를 미루고

결국 몸과 마음의 문제로 인해

자신이 쌓아온 것을 무너뜨립니다.

 

오늘은 이와 같은 고민을 하는 분을 위해

신간 책 한 권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내가 누구인지 아는 것이

왜 중요한가(패터 베르, 갈매나무)'

 

저자 패터 베르는 끊임 없이

스스로를 몰아붙이다

번아웃을 겪은 사람입니다.

 

이후 그는 자신의 내면을 수련하여

마음의 무게를 덜어낸 후,

사람들에게 건강한 마음을 만드는 방법을

전파하고 있습니다.

 

 

제가 인상 깊게 읽은 몇 구절을

함께 나누려고 합니다.

 

1.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세상 모든 것은 오직 마음이 지어낸다(p.46)

 

일체유심조는 2장을 관통하는 메시지이자

원효 대사의 <화엄경>의 핵심사상입니다.

 

모든 문제는 일시적이며 상대적입니다.

그렇기에 문제가 주는 부정적인 감정에

휩싸이지 않고 당당히 마주해야 합니다.

 

마음을 다스리지 못하면

마음에 잡아 먹힙니다.

 

일체유심조, 꼭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2. 소화불량 두뇌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휴식과 고요(p. 90)

 

교습소를 차린 후

주중, 주말을 가리지 않고

업무와 관련된 생각을 하기 때문에

두뇌가 뻑뻑해지는 느낌을 자주 받습니다.

 

뇌가 고장날 것 같은 느낌이 든다면,

저는 잠시 모든 것을 멈추고 생각을 비워냅니다.

그렇지 않으면 하는 일 없이

시간만 흐르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 책의 저자도 책 곳곳에서

비슷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뇌를 멈출 용기,

신속이 생존과 직결되는 세상에서

휴식도 용기가 필요합니다.

 

 

3. 외부세계의 모든 것은 오고 가지만

나는 항상 같은 자리에 있다(p.207)

 

현대 사회는

'나'라는 자아가

온전히 발현되기 어렵습니다.

 

나의 본질이

사회, 종교, 친구, 가족 등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나는 나만이 온전히 알 수 있다는 사실을

항상 기억해야 합니다.

 

우리는 연어처럼 본성을 찾아

역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소중한 나 자신을 지킬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내가 누구인지 아는 것이 왜 중요한가를 읽으며

인상 깊다고 느낀 구절을 나눴습니다.

 

 

지피지기 백전백승(知彼知己 百戰百勝)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 모두 이긴다.

 

세상에 나가기 전에

꼭 자신을 점검하고,

단단한 마음 근육을 만드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이 책 다른 장에는

스스로를 점검하고 단련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마인드 컨트롤에 대한 고민이 있다면

책의 내용을 실천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적을 만들지 않는 대화법 (15주년 특별기념판) - 사람을 얻는 마법의 대화 기술 56
샘 혼 지음, 이상원 옮김 / 갈매나무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은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꼭 읽어야 할 책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적을 만들지 않는 대화법(샘혼)”

저자는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로

해당 분야를 다룬 수많은 베스트셀러가 있습니다.

이 책은 2008년에 출간된 이후 입소문을 타

2013년에 올해의 베스트셀러에 오른 자기계발서입니다.

제가 이 책을 읽으며 인상 깊게 느낀 부분을 세 가지 소개하려고 합니다.



1. 인간의 뇌는 부정형을 모른다.(p.83)

인간은 상상하지 말라고 해도 그것을 상상합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상상하지마“라는 질문을 받았다고 가정하면
우리는 즉시 사랑하는 사람을 떠올릴 겁니다.

그래서 내가 어떤 요청을 하고 싶다면
[부정형] 대신 [긍정형]을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2. ’하지만‘이라는 파괴적인 단어 대신

’그리고‘라는 건설적인 단어를 사용해보자(p.94)

[하지만]이라는 접속사는 듣는 이에게 부정적인 이미지를 연상시킵니다.

그래서 같은 내용이라도 [ 하지만 / 그런데 ]보다
[ 그리고 / 그래서 ]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는 생각보다 부정형 접속사를 많이 사용합니다.
그래서 꼭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접속사를 확인해보고 부정형이 많다면 표현법을 바꿔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3. 3A법칙 - Agree, Apologize, Act(p.270)

우리는 수많은 문제 상황에서 동의보다 설명을 하려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상황에서 설명은

논리성, 타당성 정도와 상관 없이 상황을 악화시킵니다.


그래서 우리가 문제 상황을 해결하고 싶다면 설명 대신
상대방의 말에 동의하고, 사과를 한 후 대안을 제시해야 합니다.

저 역시 갈등 상황에서 설명을 하다 상황을 악화시킨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많이 공감했습니다.


—————————-


적을 만들지 않는 대화법에서는 

다양한 명언과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어떻게 하면 좋은 대화를 할 수 있는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내가 사회생활을 조금 더 잘하고 싶다면
이 책의 지혜를 빌려 조금 현명한 화법을 구사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제라도 삶을 고쳐 쓸 수 있다면 - 내 삶에 돌이키고 싶은 순간마다 필요했던 철학 솔루션
이관호 지음 / 웨일북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 사회는 인문학적 소양을 강조하고 있다.

인문학적 소양은 급격한 사회 변화 가운데 발생하는 공백을 메울 해결책이라 여겨졌고,

그 결과 기업을 비롯한 사회 다양한 분야에서 인문학적 소양이 주목받았다.

하지만 인문학적 소양이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철학이기에 이를 기르기란 말만큼 쉬운 일이 아니다.

나도 인문대학(사학과)을 나왔지만 그럼에도 철학은 나에게 결코 익숙지 않았다.

교양과목과 전공과목을 통해 철학을 접하며 어느 정도의 지식을 쌓았지만,

그래도 스스로에게 인문학적 소양을 갖췄다고 자신할 수 없다.

인문학을 전공한 나조차 철학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는 걸 바탕으로 생각해보면

애초에 철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들에게 이와 관련된 소양을 갖추라는 건 가혹한 요구일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우리가 갖춰야 하는 부분은 철학의 극히 일부분이지만 이는 내용이 적을뿐내용 자체는 어렵기에 결코 쉽지 않다.

 

 

'이제라도 삶을 고쳐 쓸 수 있다면'은 이러한 고민을 하고 있는 독자들의 근심을 덜어줄 수 있는 책이다.

이 책은 철학에 흥미가 없지만 배워야 하거나혹은 배우고 싶어도 내용이 어려워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유의미한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인상 깊게 느꼈던 부분을 몇 가지 소개하려 한다.


 

우선 책 내용에 있어 군더더기가 없었다.

지금까지 접해왔던 철학 분야 책들은 너무 철학적이었다.

물론 철학 책은 철학적인 이야기로 채워져야 하지만,

대부분의 책이 전문성에 치중한 나머지 대중성을 경시하고 있어 아쉬움이 컸다.

그 책의 저자들은 독자에게 많은 내용을 전하고 싶은 마음이 과도했던 나머지 독자가 수용하지 못할 정도로 많은 양의 정보를 제공했다.

이는 철학을 소양교양 수준까지만 기르고 싶은 독자들에게 역효과가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이 책은 그렇지 않다.

무려 30명의 철학 사상을 이야기하지만 책은 300페이지 정도로양이 많지 않다.

(1차원적인 계산으로는 철학자 한 명이 대략 10페이지 정도를 구성하고 있다.)

저자는 짧은 분량 속에서 철학자들의 핵심 사상만을 뽑아 이를 중심으로 글을 전개해나갔다.

이러한 전략은 철학자들의 사상을 모두 이해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하지만앞서 언급한 인문학적 소양을 기르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는 안성맞춤이다.

 

 

다음으로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생활 속 사례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이 책의 제목은 '이제라도 삶을 고쳐 쓸 수 있다면'으로 제목만 봤을 때는 철학 관련 서적임을 유추하기 어렵다.

표지에 적힌 '내 삶에 돌이키고 싶은 순간마다 필요했던 철학 솔루션'까지 봤을 때그제서야 이 책이 철학 책임을 알 수 있다.

제목을 통해 유추해보면이 책은 독자들에게 철학을 쉽게 전달하려는 목적을 넘어 그것을 실생활에 제대로 적용하는 방법까지 알려주고 싶어 한다.

실제로 저자는 각 장에 등장하는 사상에 대해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예시를 들어주면서 독자들의 이해를 돕는다.

혹여나 사상을 이해하지 못했거나 의문을 가졌다면 저자가 제공하는 예시를 주목하도록 하자.

 

 

마지막으로 저자의 문장력이 참 좋았다.

나는 좋은 글이란 가독성이 높은 글이라고 생각한다.

전문적인 단어와 많은 비유로 치장한 글도 좋은 글이 될 수 있지만,

이러한 글들은 자칫하면 저자의 의도를 불분명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나는 좋은 글의 덕목이 화려함보다는 담백함에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어디까지나 전적으로 내 취향이다.)

그래서 나와 같이 깔끔한 글을 좋아한다면 이 책이 꽤나 매력적으로 느껴질 것이다.

저자는 짧고 간결한 문장을 사용하여 독자들이 한 문장 한 문장 곱씹어가며 읽는 수고를 덜어준다.

위에 언급한 장점들과 함께 고려해보면이 글이 얼마나 가독성이 좋은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철학 걸음마를 시작한 독자들에게 상당히 매력적이라고 생각한다.

핵심 사상으로 시작해 일상생활 적용까지 모두 이끌어 준다.

깊은 철학적 내용을 원하는 사람이라면 싱거울지도 모른다.

하지만 얕고 넓은 지식교양과 상식선의 지식을 원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구매하기를 추천한다.

저자가 당신의 철학적 뼈대를 세워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예측 - 세계 석학 8인에게 인류의 미래를 묻다
유발 하라리 외 지음, 오노 가즈모토 엮음, 정현옥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불확실로부터 오는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미래를 알고 싶어 한다.

하지만 시간은 인간이 개입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기 때문에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하기란 불가능하다.

다만 현실을 정확히 분석하고 일어날 수 있는 변수들을 최대한 제거한다면 미래처럼 보이는 모형을 만들 수 있다.

물론 이 모형이 미래와 일치한다는 보장은 없지만 그럼에도 이것이 가지는 가치는 상당하다.

만약 이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면 그 사람은 시대를 선구하는 자라 불려 마땅하다.

그만큼 이 과정은 높은 지적 수준을 요구하는 어려운 일이다.

 

본 책은 8명의 석학이 제시한 8개의 미래 모형을 다루고 있다.

본문에 나오는 석학들은 세상을 이끌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는 시대의 선구자들이다.

각자가 활동하는 영역이 다르기 때문에 이들의 미래 모형은 각기 다른 모양을 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부터 국제 정서까지 다양한 분야를 다루기 때문에 이들의 조합을 조합한다면 괜찮은 미래상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각자의 주장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유발 하라리 - 우리는 예측 불가능한 미래에 끊임없이 도전하며 변화해야 한다.

재레드 다이아몬드 - 신종 감염병, 테러리즘, 타국으로의 이동 가속화를 유념해야 한다. 또한 시대에 맞춰 변하자.

닉 보스트롬 - 초지능의 시대, 우리는 무엇보다도 인공지능의 초기설정(윤리성, 안정성)에 신경 써야 한다.

린다 그래튼 - 100세 시대를 맞아 우리는 여가 대신 재창조를 지향해야 한다. 연령 차별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다니엘 코엔 - 과학을 도구로써 사용하자. 우리는 더욱 인간다워야 한다.

조앤 윌리엄스 - 백인 노동자 계층의 분노가 트럼프를 백악관으로 이끌었다. '계급'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넬 페인티 - 백인 집단의 피해 의식 및 우월주의가 트럼프를 당선시켰다. 미국 내 분극화 현상이 심하다.

윌리엄 페리 - 김정은이 원하는 바를 정확히 파악하고 전략적으로 핵 무기를 내려놓게 해야 한다. 경계는 필수.

이들이 대학자고, 일반인과 비교할 수 없는 방대한 지식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은 인정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들의 모든 말이 공감되었던 건 아니다.

어떤 사람의 주장은 미래는커녕 현재를 바라보기에도 무리가 있고, 또 다른 사람은 논리보단 감정을 앞세워 자신의 주장을 펼 뿐만 아니라 정치색도 뚜렷해 읽는데 눈살이 찌푸려졌다.

아무리 대단한 지식인이라고 불린들 편향되거나 정체된 지식을 붙들고 있다면 그 자리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없다.

그렇기에 그런 느낌을 주는 글은 공감하기 어려웠으며, 몇몇 부분에서는 반감이 들기도 했다.

 

그럼에도 내가 이들이 제시한 미래 모형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이를 통해서 인류가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나는 인터뷰에서 어떤 미래가 펼쳐질까 보다 미래에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에 초점을 두며 읽었다.

스마트폰이 이렇게 단기간에 상용화될 줄 몰랐고 이렇게 빨리 인공지능이 인간 최고 바둑 기사를 압도할 줄 몰랐듯이 앞으로 미래가 얼마나 빠르게, 어떻게 변화될 줄 예상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전이 예상되는 분야에 발 담고 있는 석학들을 통해 우리는 최소 다가오는 미래를 어떤 마음가짐으로 맞이할지 배울 수 있다.

4차 산업혁명, 초지능, 100세 시대, 계급주의 등 동시다발적이면서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 변화를 대비하고 싶다면 이들의 미래 모형을 유심히 지켜보기를 추천한다.

우리 모두는 그 가운데서 답을 찾아낼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음 세대 선구자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