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를 리뷰해주세요
피드 feed
M. T. 앤더슨 지음, 조현업 옮김 / 지양어린이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다보니 꽤 오래 전에 보았던 '엑시스텐즈'라는 영화가 기억났다. 척추에 뚫은 구멍에 생체 게임기인 '엑시스텐즈'를 연결해 가상현실을 체험하는 미래사회가 배경인 영화로, 나중에는 게임이 현실을 점점 지배해 들어와 게이머들이 자신의 본성을 잃게 되는 줄거리였다. 조금은 구역질나고 현실성이 없는 내용이었지만, 어쩌면 아주 불가능한 일이 아닐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들었었다.

책에서 그린 미래사회의 모습은 영화보다 더욱 구체적이다. 사람의 뇌가 피드라는 중앙컴퓨터에 연결되어 쉴새없이 정보를 주고 받는 책 속 미래 사회의 모습을 그려본다. 컴퓨터가 뇌에 심어져 있는 셈이니 학생들은 더이상 암기를 위해 죽도록 공부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은 있을 것이나, 누구나 판에 박히고 일괄적인 정보를 제공받게 되면서 인간의 자율성은 빛을 잃어가게 될 것이다. 게다가 쉴 새없이 소비를 자극하는 광고문구와 정보를 듣고 보지 않을 권리조차 없는 세상이다. 여기서 가장 큰 문제는 그 모두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아니었나 생각한다.

뇌에 피드를 심긴 했어도 자연의 아름다움을 사랑하고 자신만의 자율적 생각을 포기하지 않았던 바이올렛은 피드의 고장으로 생명의 위협에 처한다. 중앙에서는 피드가 보내준 정보를 무시하고 독자적 행동을 했던 전력이 있는 바이올렛을 무료로 치료해주지 않기로 결정한다. 결국 중앙에서 바라는 인간상이 아니었던 바이올렛이 버림을 받은 셈이다. 남자친구인 타이터스조차 한때 바이올렛을 마음 속에서 버리려고 했었다. 외로운 바이올렛의 허무한 죽음은 어두운 미래를 상징하며, 동시에 결코 이렇게 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듯하다.

자동차가 하늘을 날고 금성과 목성을 여행할 수 있는 미래사회가 언뜻 손에 잡히지 않아 책으로의 몰입을 방해하긴 했다. 내용의 세부적 전개도 그다지 친절했던 것 같지는 않다. 그러나, 미디어에 의해 조종되는 사회를 비판하고자 했던 작가의 의도만큼은 알 수 있었다. 어쩌면 그 사회는 먼 미래의 이야기만도 아닌 듯하다. 방송과 신문의 논조를 일방적으로 받아들인 내용을 자신의 생각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어디 미래만의 일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