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이 몸에서, 이 생에서>를 리뷰해주세요.
바로 이 몸에서, 이 생에서 - 티베트에서 보낸 평범한 삶, 그 낯설고도 특별한 일 년
쑨수윈 지음, 이순주 옮김 / 에이지21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다큐멘터리 감독으로 일하고 있는 중국인 여성이 쓴 이 책은 티베트인들의 문화를 바로 옆에서 1년여간 관찰한 기록으로서,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려는 따뜻한 관찰자의 시선으로 썼다는 것이 느껴진다. 비록, 신문지면을 달구던 티베트인들의 저항과 독립투쟁에 대한 이야기가 빠져있는 까닭에 이 책이 담아내지 못한 다른 면도 분명히 존재하겠지만, 티베트인들의 문화와 삶의 방식을 바로 옆에서 들여다보는 것처럼 친근하게 펼쳐놓은 점은 다른 책에서 쉽게 보지 못한 장점이다. 

타 문화를 평가할 때에는 항상 조심스럽다. 티베트란 나라도 마찬가지다. 내가 살아온 대한민국의 관점에서 티베트 사람들의 삶을 바라보면 낯설고 놀랍고 어떤 면은 충격으로까지 다가온다. 책을 읽으며 가장 먼저 놀랐던 것은 조장이란 장례풍습이었다. 시신을 토막낸 후 독수리들을 불러 배불리 먹이는 방식으로서, 가족의 시신을 식구들이 직접 처리한다. 그들은 독수리가 시체를 남김없어 먹어야 환생도 빨리 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에 살에 이어 내장까지 독수리들에게 남김없이 준다. 놀라웠다. 시신을 곱게 처리해 관에 묻어 매장하거나 화장하는 방식이 익숙한 우리로서는 시신 훼손이나 모욕이라고까지 생각할 수 있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그들의 문화는 그들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었다. 추운 겨울 기간이 길어 땅을 파기가 어려울 뿐더러 유목민이었던 탓에 떠돌아다녀야 했기 때문에 우리처럼 묘지와 신소를 만드는 것이 큰 의미가 없었을 것이다.

예전에 어떤 분께서 묘지를 만들어 시신을 매장하는 것은 큰 손실이라며 땅에 유익하게 되돌려주는 방식을 취해야 한다고 하셨던 것이 기억난다. 독수리에게 시체를 밥으로 준다는 것은 나무의 거름으로 쓰이는 것만큼이나 자연으로 돌아가는 의미가 있는 듯하다. 이 조장 풍습에 대해선 중국인들도 진저리를 쳤지만, 환생을 굳게 믿는 티베트인들에겐 영혼이 떠난 시신을 신격화하듯 고이 다루는 것보다는 마지막까지도 세상을 위해 쓰이도록 하는 것이 더 현명하다고 생각했는지도 모른다.  

그 외에 형제가 한 여자를 공유하는 일처다부제의 풍습, 병원의 의사보다 먼저 찾을 정도로 생활의 일부가 되어 있는 무당의 존재 등도 티베트란 나라의 일면을 보여주며 우리 문화와 뚜렷한 차이를 느끼게 한다. 그러나, 티베트어를 잊게 될까봐 중국어로 가르치는 학교를 꺼리는 모습은 우리 말을 지키려 애쓰던 우리 역사속 한 면과 크게 다르지 않아 동질감을 느끼게 된다. 그들이 언어와 문화를 지키려는 노력은 의도적인 것이라기보다 삶에서 배어나오는 자연스러운 것으로 보인다.

내세에 대한 믿음을 갖고 전통을 지키며 살아가는 티베트인들의 삶이 혼자만의 외로움으로 하루하루를 쫓기듯이 살아내는 문명사회의 인간에 비해 무조건 못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 기준을 어디에 놓느냐에 따라 평가의 결과는 달라지므로. 
티베트의 일각에서 불고 있는 현대화의 바람이 전통을 건드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긍정적 영향만을 주었으면 좋겠다. 그들과 아무 상관도 없는 이방인에 불과하지만, 이 책이 그들을 가깝게 느끼도록 만들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