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구한 13인의 경제학자들 - 18세기 조선경제학자들의 부국론
한정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조선의 관리들 하면 노론, 소론, 남인, 서인으로 갈려져 벌이던 무의미한 당쟁과, 고루한 내용에 파묻혀 현실과 거리를 두었던 유학이 생각났던 것이 사실이다. 물론, 그 속에서도 현실을 개선하고자 노력했던 실학파들 몇 분이 떠오르기는 했다. 그러나, 토지 개혁을 주장하고 때로는 상업의 중요성을 보다 더 강조하며  부조리로 가득찬 현실을 개혁하려 했던 그분들의 존함은 알고 있어도, 실제 주장한 내용에 대해서는 피상적으로밖에 알지 못했었다. 이제 이 책을 읽음으로 해서 우리의 실학자들이 얼마나 앞서나가는 생각으로 나라를 위해 고군분투했었는지를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으며, 조선시대에 이러한 분들이 계셨다는 것이 자랑스럽다.

영의정이라는 높은 자리에 있었던 김육은 자신들의 기득권을 뺏기기 싫어하던 관료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대동법의 전국적 시행과 화폐 유통을 추진하여 조선 후기 상공업 발달의 물꼬를 연다. 조선시대 최고의 경제 관료라 칭해지는 그는 직접 정책을 세우고 실행하는 자리에 있었기에 그 결과가 더욱 빛이 났다. 수많은 책을 집대성하고 놀랄 만한 학구적인 업적을 거두었어도 초야에 묻혀 자신들의 뜻을 펼 수 없었던 다른 학자들에 비하면, 관료라는 그의 자리가 정책의 실행 단계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바람직한 결과를 낳았던 것이다.

그밖에도 조선 유일의 여성 실학자인 빙허각 이씨가 저술한 의식주에 대한 내용인 '규합총서'의 존재를 알게 되어 반가운 시간이었으며, 대역죄인의 누명을 쓰고 처형을 당하여 가문이 몰살되는 바람에 잊혀진 존재가 되고 만 유수원의 '우서'에 대한 평가는 새로웠다. 신분제가 엄격하던 조선 시대에 평등과 자유로운 직업 선택, 양반 상공인론을 주장한 내용이 무척이나 파격적으로 다가왔다.
13인의 경제학자들이 주장하는 내용은 조금씩 다르지만, 각기 살고 있던 시대에 앞선 사고방식으로 조선의 나아갈 바를 제시했다는 점에선 동일했다.

아마도 이 책을 읽는다면, 조선의 인재들에 대한 기존의 인식에서 더 깊게 파고들어가며 뿌듯한 마음으로 읽어내려가게 될 것이다. 더불어 책의 초반에 나와있는 13인의 가상좌담은 tv에서 볼 수 있는 토론회의 형식으로 쓰여져 있는데, 각 학자들의 주장하는 바가 명료하게 드러나 내용 이해에도 좋을 뿐더러 그들의 연구결과를 현재에 접목시킨다면 어떤 결론이 나올지에 대해 흥미롭게 생각해볼 수 있는 코너이기도 하다. 

아쉬운 것은 정조대왕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개혁의 틀이 완성되기도 전에 뿌리뽑혀지고, 다시 예전의 수구세력인 노론들이 득세하는 정치판으로 돌아갔다는 점이다. 또다시 지나가는 숙청과 유배의 바람을 피하지 못하고 참형을 당하신 분도 계시고, 유배의 긴 세월을 보낸 분들도 계시다. 정약용은 18년간의 유배생활 중 엄청난 양의 저서를 탄생시키는 소득을 얻기도 했지만, 이분들이 공직에서 실제 제도 개혁을 통해 이룩해냈을 결과물을 예상한다면 안타깝기 그지없다. 13인의 경제학자들에 대한 내용 중 여기저기에 수시로 나오는 정조대왕의 이름을 확인하고 나니, 정조대왕의 사후 이렇다 할 제도적 개혁없이 근대적 틀을 갖추지 못하고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던 역사의 한 페이지가 참으로 아쉬워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