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전쟁의 나라 - 7백 년의 동업과 경쟁
서영교 지음 / 글항아리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국사 교과서에서 고구려 역사의 분량은 그다지 많지 않다. 또한, 그 내용도 매우 피상적이어서 고구려란 나라를 알기에는 한참 모자란 느낌이었다. 어느 날, 이이화님의 '한국사 이야기'를 보고, 고구려와 관계했던 북방의 나라들 중에는 미처 몰랐던 많은 나라들이 있었고 생겨났다 멸망하기를 반복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터키 사람들이 우리나라를 형제국가라고 부르는데도, 고대사에 대한 짧은 지식밖에 없는 우리는 그 이유를 몰라 어리둥절했던 기억도 있다. 우리의 고대사 교육의 비중이 너무나 낮다는 것도 이 책을 읽게 된 동기 중의 하나이다.

    이 책 한 권만으로 고구려를 평가할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책을 읽고 나니 고구려사를 세세한 부분까지 알게 된 반가움을 느끼게 된다. 고구려는 용맹할 뿐만 아니라, 북쪽에서 시시각각 생겨났다 멸망하는 유목민족들과의 관계를 자국의 이익으로 삼기 위해 머리를 쓰는 영악한 나라로 보였다. 선비족과 함께 중국인들의 납치와 인신매매를 했다는 내용은 조금은 의외이긴 했어도.

    고구려는 주변의 여러 나라와의 관계 속에서 성장한 나라였으므로 책에서도 중국과 북방민족, 그리고 고구려와 적대관계에 있었으므로 중국의 힘을 빌어서라도 고구려의 위협을 떨치려고 했던 백제와 신라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들의 역사를 알아야만 고구려와의 관계 속에서 역사를 설명해나갈 수 있기 때문에 주변 나라들의 역사 또한 큰 비중으로 다루어진다.

    긴 세월동안 고구려를 괴롭히던 모용씨, 고구려인에게 자신감을 심어준 광개토대왕, 고구려와의 관계를 자신의 권력 유지에 이용했던 풍태후 등의 내용 등은 고구려사를 생생하게 전달해준다. 백제 개로왕이 처형되던 아차산 자락의 사진을 보니 역사의 순환 속에서 그 모든 사연을 담아둔 우리 국토에 대한 애잔한 마음이 피어난다. 소금장수 미천왕, 온달과 평강공주의 얘기, 안시성 싸움 등 짧게만 알고 있던 일화들이 책 속에서 꽤 자세하게 설명되어 역사 공부에도 좋다.

    수나라와의 전쟁에서 을지문덕이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는 내용은 다 알고 있는 내용이겠지만, 전투 방법이나 전술에 대한 자세한 설명으로 오래 전의 이야기를 눈앞에 펼쳐지는 것처럼 전달받을 수 있었다. 재차 당의 침입으로 위태로운 상황에 처했을 때, 주변국들의 생성에 신경을 곤두세우던 당은 방효태 군단을 총알받이로 남겨두고 철륵 제 부족의 반란을 막기 위해 떠날 수밖에 없었다. 그 뒤에는 고구려의 철륵 제 부족에 대한 성공적인 공작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그러나, 당 고종때 고구려는 그토록 용맹했던 역사도 소용없이 멸망의 길을 걷게 되는데, 책에서는 큰 원인으로 당시 손을 잡을 수 있는 유목민이 없었던 점을 꼽는다. 고구려가 북방 민족들과 동업하고 조종하며 중국에 대항했던 것으로 보는 관점의 연장이다. 그 외에도 연개소문 이후의 어지러웠던 정치분쟁과 백제를 통한 당의 통로 확보가 고구려 멸망을 가속화시키는 요인이 되었고, 이로서 정복되지 않는 나라로 중국인에게 두려움을 안겨주었던 나라 고구려는 아쉽게도 긴 왕조의 문을 닫게 된다. 

    오래 전 우리 역사의 일부분을 이렇게 책으로 자세히 만나게 된 것은 반갑고 뜻깊은 일이었다. 저자의 치밀한 역사 연구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이라 생각되며, 우리 고대사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계속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