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속 미술관 - 미술, 영화를 읽다
정준모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오! 이 책 정말 재미있다.

 

책 표지가 조금 난해한 것 같으면서, 딱딱해보이는 인상을 담고 있는데 책 내용은 깨알같은 재미와 정보를 알려주고 있다.

 

저자는 미술은 언어라고 표현했다.

하지만 단어가 주는 객관적인 뜻이 아닌,  너무나 개인적이고 독창적인 까닭에 우리는 그 언어를 독해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고 한다.

나 역시도 평소 영화를 잘 보는 편도 아닐뿐더러, 보게 된다고 해도 지극히 대중적인- 영상물을 보는 수준밖에 되지 않는 않는터라 묘하게  

하지만 이 책을 통해서 아주 일부일지언정 영화 속에 등장하는 미술-그림과 화가의 삶등이 은유와 비유를 통해 활용되는 또다른 즐거움을 알게 되었다



도취, 은유, 갈증, 사랑, 고뇌라는 총 5장의 주제 아래

천재화가라 불리는 피카소- 여성편력같은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지지 않는 이야기

취화선-을 통해 "혁명가"로 잘못 그려진 장승업의 삶이랄지,

줄리언 로버츠와 휴 그랜트가 주연한 "노팅힐"에서 해피엔딩을 암시하는 복선이 있는데, 바로 샤갈의 결혼이라는 작품이었다고 한다.

우리나라 스릴러 영화<거울속으로>와 반 아이크의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의 공통점은 보이지 않는 무언가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으며,

프리다 칼로의 자서전을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 <프리다>

어린시절 스승에게 성폭행을 당한 후 자신의 심경을 그림으로 승화한 작품 "홀로페르네스의 목을 베는 유디트"로 유명한 아르테미시아의 이야기가 기억에 남는다. 

 

그냥 그림이 좋아서 관련된 책이나 포스팅을 읽지만, 사실 화가의 고뇌랄까,  사회적 현상,  문제와는 연관지어보지 못했다.  오로지 그냥  명작이라고 불리우는 유명한 화가들의,  대단한 작품들 보는 재미에만 빠져 있으니깐

하지만 이 책은 나같은 평범한 대중들이 너무도 재미있게, 흥미롭게, 어렵지 않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서양화 전공 교수님께서 해주시는 그림, 화가이야기는 와 접목해서 해주는 "영화 이야기"라 그런 것일까?

 

이 책을 읽고 .

달리의 삶을 영화화 한  <리틀 애쉬>

모네의 작품 "아르장뙤이유의 세느강"이 등장한다는 현실과 상상의 경계선에 관한

<바닐라 스카이>

책으로는 읽어봤지만, 아직 영화는 못 본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

그리고 오드리 햅번이 등장하는 <백만달러의 사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다양한 그림을 접하고, 화가의 삶을 만날 수 있다는 것 이외도,

생소한 영화를 알게되는 재미가 꽤 크다고 할 수 있다.

예술을 사랑하는이들!!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도, 그저 나처럼 그림 보거나, 영화를 좋아하는 이들이라면 코드가 잘 맞으리라. 당신은 이 책을 읽을 자격이 충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