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에 미친 바보 - 이덕무 산문집, 개정판
이덕무 지음, 권정원 옮김, 김영진 그림 / 미다스북스 / 200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안소영님께서 지으신 "책만 보는 바보"를 통해 학자 이덕무를 알고 그와 그의 친구들에 관해 흥미를 갖게 되었다고 한다면,

 이 책 "책에 미친 바보"는 이덕무가 쓴 글이나 벗들과 주고받은 척독(편지)등의 원문을 만날 수 있다. 즉 그의 글들을 통해,  성격이나, 가치관, 당시의 일상등을 조금 더 사실적으로 대면할 수 자리가 된다고 하겠다.

 

내가 이 책을 신청하게 된 이유는 학자 이덕무의 이야기-

새로운 모습을 알고 싶어서이기도 했지만, 사심이 담겨서이기도 하다.

 고백하건데 난 그의 백탑파 벗들 (나이에 상관없이 벗이라고 부른다) 

-유득공, 박지원, 홍대용, 이서구, 백동수 박제가등을 다시 만난다는 기쁨에 환호성을 질렀다! 그만큼 기대가 컸던 책이란다.

 

여기서 이덕무는 조선 후기 실학자로, 서얼로 태어났지만 타고난 성품과 학식으로 인해 정조시대

규장각 검서관으로 등용되었던 인물이며, 그 후손으로 현대판 백과사전인 오주연문장전산고를 지은 이규경이 있다.

스스로 간서치라 불렀는데

자화상이라는 주제 아래 역시 책에 미친 이덕무가 본인의 이야기를 꾸밈없이 그려내고 있다.

여기에 책을 읽는 이유와 왜 책을 읽어야하는지에 대해서도 직설적으로 말하고 있으며,

학자의 본분에 걸맞는 문장과 학풍에 관한 이야기도 빠지지 않고 있다.

 

 소탈하고 인간적인, 때로는 귀엽기까지 한 이덕무의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

 

이덕무와 친구들은 "서얼"이라는 신분적 제한으로 인해, 정치에도 나갈 수 없었으며 당연히 출세의 길이 열려있지 않았다. 주로 책 읽는 일을 낙으로 삼고 있는데, 모두들 궁핍한 처지라 책 구하기가 쉽지 않은지라, 남들에게 책을 빌려 읽었다고 한다. 이덕무는 친구가 책을 빌리고도 자신에게 보여주지 않을까 염려하면서, 자신에게 꼭 빌려주기를 신신당부하는 부분에는

인간적이면서도 (그의 성격상) 아쉬운 소리를 하지 못할텐데,  얼마나 책이 그리웠으면 그리 했을지...하는 탄식이 절로 나온다.

 

요즘 sbs에서 방영중인 "야뇌 백동수"의 주인공 백동수와 주고 받는 편지도 등장하는데.

백동수는 이덕무의 처남으로, 이 드라마를 보시는 분들은 혹시나 이덕무가 나오는지 확인 해보시기 바란다.

 

궁핍한 삶을 견디다 못해 목숨과도 바꿀 수 없는 책을 팔아버리고, 그 돈으로 벗 유득공과 밥을 사먹고, 술을 마셨던 에피소드 " 당장 식솔들의 끼니를 걱정해서 평생친구인 책을 내다팔아야했던 심정, 가장으로써의 고뇌도 알게 된다.

 

28살 여동생이 영양실조로 목숨을 다하자 그 애통함과 슬픔을 담은 글

" 사랑하는 누이를 보내며" 는 애잔하기에 이른다.

 

항상 책과 함께하며, 수양하는 자세로 살면서 자신에게도 철저했던 인물...

2011년 대한민국 사람들이 이덕무의 정신을 본받는다면 참 좋지 아니할까?

미사여구를 동원하지 않아도 " 문장에 꾸미지 않은 진정을 담는 것을 중요시" 했던 이덕무의 사상처럼 나도 내 마음을 담아 글을 적어가련다.

 

"친구가 없다고 한탄할 까닭이 있는가? 책과 노닐면 되지.."

 

책 내용과는 상관없는데, 주석을 뒤에 달아서 책 보는 불편함이 조금 있다.

책 읽는데 그런게 무슨 상관이냐, 오히려 두 번, 세 번 더 정독하지 않겠느냐 하겠지만,

그래도 난 출판사측의 끈 뜻을 헤아리기에는 그릇이 부족한 여인네....

 

****************************************************************

 

감당할 수 없을 만큼의 슬픔이 밀려와 사방을 둘러봐도 막막하기만 할 때에는 그저 땅을 뚫고 들어가고 싶을 뿐, 살고 싶은 마음이 조금도 없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내게는 두 눈이 있고 글자를 알기에 한 권의 책을 들고 마음을 위로하면 잠시 뒤에는 억눌리고 무너졌던 마음이 조금 진정된다. 내 눈이 제 아무리 다섯 색깔을 구분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책에 대해서는 깜깜한 밤과 같다면 장차 어디에 마음을 쓰겠는가?   49쪽

 

간절히 원하지만 다정한 벗을 오래 머물게 할 수 없는 마음은 꽃가루를 묻힌 나비를 맞는 꽃과 같다. 나비가 오면 너무 늦게 온 듯 여겨 조금 머무르면 소홀히 대하고, 그러다 날아가버리면 다시 나비를 그리워하기 때문이다.   120쪽

 

 기색을 평온하게 하고 마음을 바르게 하면 비록 미천한 하인이라도 군자가 될 수 있다.

...경솔하게 말한다면, 제아무리 재상의 지위에 있다고 할지라도 노예나 다름없고,......195쪽

 

 

사람의 허물은 항상 스스로 옳다고 생각하는데서 심해지고,

사람의 재앙은 항상 남을 업신여기는데서 생겨난다.... 199쪽

 


+ 관련도서

조선시대 지식인 내면읽기

깨끗한 매미처럼 향기로운 귤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