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 - 빌려주는 사업의 시대가 온다
리사 갠스키 지음, 윤영삼 옮김 / 21세기북스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메시는 "그물코"라는 뜻을 갖고 있는데 책 표지에도 나와있고, 단어에서도 말해주듯이  "연결과 빌려주는 사업"에 관한 이야기다.

 

다시 말하자면 예전에는 한 사람이 무언가를 구입 즉 "소유"를 하게 된다. 분명 필요해서 산 상품일텐데 어느순간 쓰레기로 전락이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개인적인 문제는 접어두더라도 그로 인해  2차적 문제인 자원 낭비, 에너지 고갈, 환경문제까지 이어지게 되고, 이것을 "공유"라는 개념을 도입해서 사업으로 발전한다는 내용이다.

 

10여년 전 인터넷이 발달하게 되면서도 당시에도 엄청난 변화를 맛보고, 지금도 그 장.단점에서 최근 스마트 폰과 소셜 네트워크의 성장은 그런 우리들을 정신 차리지 못할 정도로 바꾸고 있다.

 

메시.

조금 어렵게 들릴까? 자세히 살펴보면 전혀 생소한 뜻도 아닐것이다. 우리 주위에도 이런 사업 시스템은 흔하게 볼 수 있다. 과거 수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옥션과 지마켓, 공동구매, 유아 장난감을 비롯한 각종 대여점, 기업화 된 세탁소 시스템, 스트리밍 음악서비스 등등. 그리고 근래에 들어서는 얼리어답터나 서평단, 파워 블로그, 각종 체험단의 활동등이 여기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겠다.

 

 즉 고객들은, 더이성 브랜드 이름만 믿고, 구매하지 않는단다.

양심적이고, 솔직하고, 그러면서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기업을 신뢰하고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메시는 치약, 비누, 핸드폰과 같은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물건들보다

"비싸면서도 자주 사용하지 않는 상품일수록 메시 전략이 성공하기 쉽다"고 말하고 있다.

눈에 보이는 대상인 자동차, 집, 셔츠들, 눈에 보이지 않지만 그만큼 더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인간관계, 디자인, 발명품, 음악등을 이용해서 메시 기업이 될 수 있다. 

소유, 공감, 소통,

 

 메시 사업이 근래에 더 발전한 건 웹과 소셜 네트워크의 성장에도 이유가 있겠지만, 2008년 금융위기 사태로 인한 "변화하는 고객 성향"을 따라잡았기에 더 큰 발전을 이룬다고 한다.

 "소유의 초점" 만족하기 보다는 "자신의 삶"이 좋음에 더 큰 비중을 둔 -가치관변화된 것이다.

 거대 브랜드, 대기업, 은행, 증권회사, 공기업에 대한 허상과 불신, 경영진 기업인들에 대한 분노와 배신감이 "사람들"을 바뀌게 한것이단다.

 

 지은이는 메시 산업의 칭찬을 굉장히 부풀리고, 희망고문을 주는 것 같는 생각을 지울 수 있다.

최대한 객관적으로 설명한다고 해도, 바로 자신이 사업가니깐?!

자연을 생각하고, 친환경적인 사업이다는 걸 강조하지만 결국 그들도 기업이고, 즉 이윤 창출을 목적으로 운영하는게 아닐까? 그것을 감안하면 조금 의심의 눈초리가 생기기도 한다.

 

 스피드하고 효율적인 사업이 우리를 더 편하게 해주지만, 아나로그의 추억과 정까지 사라지지 않을까 하는 노파심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리고 나역시 이렇게 서평을 쓰고 있지만,  비판과 다른 의견을 제시하는 것보다

획일화된 칭찬, 거짓과 과장과 허위가 난무해서 중심 잡기가 어려운 공간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사업을 하는 사람들, 소셜-부분에서 사업을 구상하는 사람들이 읽어봄에는 분명 도움이 될 것이다.

후반부에 가서는 사업 아이템에 관한 이야기를 싣고 있다.

액세서리와 선물 예술품등을 빌리거나, 교환해주는 회사

헉 책을 바꿔보거나,  책을 통해 인연을 쌓고 정보를 공유하는 사이트

(개인적으로 옷을 빌려입는 건 내키지 않지만) 의류 교환, 혹은 패션 관련 커뮤니티

그리고 교육, 금융, 음식과 와인 맥주, 건강, 취미, DIY, 음악, 영화, 부동산, 여행 그리고 집-부동산에 이르기까지(설명하기 귀찮음) 메시 산업의 범위는 상상초월 그 이상이다.

아니 이건 흔하디 흔한 아이템이려나??

팔랑귀를 가진 나도 이렇게 마음이 훅~가는데 나보다 더 자발없는 사람들은 더 그러하겠지??

 

결론은 메시 산업을 구상하고 있는 분들에게는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내가 이 책을 읽고 얻은게 있다면 "관계의 생명력"이라고 할까나?

그동안 편협하게 지냈다면 조금은 오픈된 마인드로 사람들을 만나고 싶다.

그래도 난 문어발보다는 솔직하고 진솔한 사이가 좋긴하지만서도~(뭔소리야 ㅋㅋ)

 

 

---------------------고객이 부정적인 반응을 퍼뜨릴때 (140~144쪽)

 

1. 관심을 기울여라.-

고객들의 피드백, 제안, 불평을 적극적으로 발굴해내기 위해 노력한다.

 

2. 지금 행동하라-

부정적인 메세지를 쏟아내기 전에 바로 행동하라.

 

3. 과감하게 솔직하라-

 나쁜 일이 벌어졌을 때 기업들은 머리를 굴리지 말고 즉각적으로 사실을 있는 그대로 밝혀야한다. 여론을 호도하려고 노력하지 마라, 고객들은 바보가 아니니깐.

정직한 기업에게 사람들은 또 한번의 기회를 열어줄 것이다.

대중에게 솔직할수록 신뢰는 높아진다.

 

4. 떨지 말고 멀리 보라

 

5. 네트워크에 속한 사람들(고객들)에게 특별한 주의를 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