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한지 1 - 용의 아들
유재주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5년 3월
평점 :
품절


자기 계발서가 유행이다. 그러다 보니 비슷한 유형의 책이 범람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자기 계발, 대인관계 등과 같은 분야는 역사소설에서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미 역사적 사실로 알고 있는 역경의 순간에 선조들은 어떻게 대처했으며, 어떻게 한 나라 또는 한 그룹을 이끌어 가는지를 사실적으로 배울 수 있다. 초한지의 주인공인 유방과 한우 또한 역사적 사실 뿐만 아니라 대인관계 그리고 리더가 갖추어야할 덕목 등을 잘 보여준다.

 

항우는 뛰어난 무용과 용기로 전투에서 언제나 백전백승을 한다. 자칭 전쟁영웅으로 불릴만하다. 반면 유방은 도망하는 것이 취미요, 건방을 떨고 방정맞은 성격이다. 전투에서 승리보다는 패배가 더욱 익숙하다. 그럼에도 항우가 아닌 유방이 초한전의 승리자가 된다. 이유는?

 

1. 자유분방함: 유방은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 동네 건달로 사회생활을 시작한다. 형식에 구애받기보다는 상황에 맞는 유연한 대처를 잘 한다. 그러기에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시정해 두 번째 기회를 쟁취한다. 반면 초나라 유명한 장군인 향연의 손자로 정해진 규칙과 규범에 얽매여 있다. 또한 상하복명의 원칙을 고수하여 의사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자신의 잘못을 쉽게 인정하지 못한다. 그것은 곧 자신의 능력과 지위의 손상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2. 자신감 : 유방은 자존감이 낮다. 특히 항우에 대한 두려움이 커 그와의 대전에서는 언제나 도망치고 싶은 욕구가 꿈틀거린다. 반면 항우는 독불장군이다. 절대 부러지지 않을 것 같은 자존감, 자신감만이 있다. 그러기에 유방은 자신의 어리석음과 부족함을 인정할 줄 알고 타인에게 의지하고 그들을 믿는다. 반면 항우는 강한 자신에 대한 믿음 덕분에 타인의 능력을 의심하고 자신이 아니면 불안해한다. 작은 그룹을 다스릴 때에는 항우가 적합하지만 한 국가를 다스리는 왕은 유방이 더욱 어울릴 수밖에 없다.

 

3. 우뇌형 지도자: 항우는 전투에서는 항상 승리하지만 전쟁에서는 패했다. 반면 유방은 전투에서는 패했지만 전쟁에서는 승리를 한다. 유방은 우뇌형 지도자이기 때문이다. 즉 미래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릴 줄 알았다. 한 두 번의 패배와 도망은 전쟁의 승리를 이끌기 위한 자양분이 된다.

 

4. 믿음: 유방은 능력의 뛰어남이 부족하고 항우는 능력이 뛰어나다. 그럼에도 유방이 승리한 결정적 이유는 믿음이다. 자신을 따르는 사람들의 능력을 파악하고 적재적소에 배치하고 그의 능력을 믿고 맡길 줄 알았다. 항우 아래에서는 천대받고 무시당하지만 유방편에서는 대원수로 그를 한고조로 만드는 결정적 역할을 한 한신이 좋은 예이다. 반면 항우는 남을 잘 믿지 못한다. 인재가 없다기보다는 믿음과 인정을 주지 못하기에 인재를 제대로 활용할 줄 몰랐다. 책사인 범증을 아부로 칭하며 존중을 표현한 항우이지만 유방을 제거해야 된다는 그의 제안을 여러 번 무시하고 결국에는 장자방의 전략에 걸려 범증을 쫓아내고 죽음에 이르게 한다.

 

군막 속에서 계책을 짜내어 승리를 결정짓는 일은 내가 장자방보다 못하오. 또 나라를 안정시키고 백성을 위로하며 양식을 공급하면서 운송로를 끊이지 않게 하는 일은 내가 소하보다 못하오. 또 군대를 통솔하고 싸움에 임해 승리하는 일은 내가 한신보다 못하오. 내가 천하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이러한 걸출한 인재들을 거느릴 수 있었다는 점이오. 반면, 항우는 범증 한 사람 있었으나 그마저도 끝까지 신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다 잡은 천하를 잃어버리게 되었던 것이오. p.517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