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세자 - 나는 그들의 비밀을 알고 있다
이재운 지음 / 책이있는마을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거의 모든 권력은 돈 그리고 거기서 나오는 힘으로 이루어지는 정보의 조작과 대중화. 그 결과물인 인식의 조작에서 나온다. 한창 텔레비전에서 전통 사극이 유행할 때가 있었다. 그 때에 자주 방영되었던 조선 왕 중에 숙종과 장희빈 그리고 인현왕후에 대한 것이 있었는데 언제나 사악한 장희빈, 선한 인현왕후로 묘사되어 있었다. 그런 영상을 자주 접하다 보니 어느 순간 장희빈=, 인현왕후=선 이라는 공식이 머릿속에 자리 잡게 되었다. 그러다 최근에 이덕일의 사도세자의 고백을 읽고 그리고 이 책 사도세자를 읽고 정말 내가 배우고 들어왔고 봐 왔던 정보들이 사실인지 의문이 들었다.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어느 것이 진실인지는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그들의 책에 제시된 의문들은 기존의 사실을 뒤엎을 수 있는 합리적인 의심이라고 생각한다.

 

노론이 조선의 권력과 재화를 장악했다면 그들에게 유리한 정보만을 골라내거나 만들어 낼 수 있었을 것이다. 실제로 이번 최순실 사건 그리고 일본의 위안부 문제 등에서 돈과 권력을 가진 이들이 어떻게 정보를 조작하고 바꾸는지 경험했으니 충분히 가능할 것도 같다.

 

정조가 왕으로 즉위하고 나서 나는 사도세자의 아들이다라고 선언할 때 신하들은 위협을 느꼈다고 한다. 미쳐 결국 영조에게 죽음을 당한 그인데 왜 신하들이 두려움을 느꼈는가? 기존의 기록에 의하면 사도세자의 악행, 그리고 그의 정신적 문제가 비운의 운명을 결정했다고 하는데, 그럼 당연히 신하들이 사도세자의 죽음과 관련이 있다고 이야기 할 수 없으며 정조의 말에 위기의식을 느낄 필요가 없다. 하지만 정조가 즉위하고 나서 수차례의 정조 제거시도가 있어왔다고 한다. 그 말은 곧 사도세자의 죽음과 그들이 관련 있다고 충분히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실제로 정조가 즉위한 후 사도세자의 죽음과 관련되어 처벌을 받은 이들은 대부분 그 당시의 권력자인 노론이었다고 하니, 노론이 사도세자의 죽음에 연관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럼 당연히 사도세자가 악행을 심하게 저지르고 미쳐서 결국 뒤주에서 죽음을 당했다는 것이 사실인지 아니면 권력싸움의 피해자가 되었기 때문인지 의심해 볼 만하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