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글쓰기
강원국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1. 글쓰기는 출력의 한 형태이다. 출력은 입력이 있어야 가능한 하나의 결과물이다. 글쓰기를 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콘텐츠의 선택이 중요하다. 입력의 여러 가지 형태 중에서 독서, 사적경험, 그리고 관찰이 가장 대표적인 입력의 한 형태들이다. 평상시 충분한 입력의 자산을 모아두는 것이 글쓰기의 기본적 태도이다.

 

2. 내용물이 정해지면 그 틀을 이룰 형태를 결정해야 되는데 그것을 글의 얼개 짜기라고 한다. 먼저 큰 제목- 그 아래 중간제목 그 아래 소제목을 정한다. 주제와 관련된 명제를 종이에 적는다. 그 이후에 분류작업을 통해 큰 제목, 중간 제목, 소제목으로 나눈다.

 

3. 글의 구조를 짜고 나면 글을 어떻게 전개할 것이냐는 문제가 남는다. 여러 기법이 있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3가지 정도 된다.

 

공감, 교감 글도 일종의 대화이다. 혼자서 말하는 것이 아닌 독자와 함께 이야기 하는 것이다. 막연하고 이해하기 힘든 것들 보다는 자신의 경험과 같이 쉽게 와 닿고 느낄 수 있는 형태로 글을 쓰는 것이 좋다. 쉽게 읽힐 수 있는 글이 좋다. 공감, 교감은 먼저 이 해를 바탕으로 하기 때문이다.

 

진정성- 거짓이나 꾸밈이 없어서 한다. 거기다 진심이 담겨 있어야 한다. 무조건 사실만 을 적어나간다고 진정성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 사실임에도 믿음이 가지고 않고 진심이 보이지 않으면 글을 읽는 독자와의 공감, 교감에 실패한 것이다. 글에 진심을 통한 믿음 을 전달해야 신뢰가 쌓인다.

 

신뢰성- 공감, 교감 그리고 진정성으로 이루어진 글을 신뢰가 가기 마련이다. 따라서

신뢰성은 12의 결과물이라고 봐도 될 것이다.

 

글쓰기는 쉽지 않다. 이 책은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을 모시면서 겪은 일화를 중심으로 글을 쓰는 방법을 이야기한다. 차례만을 보고도 큰 줄거리가 잡힌다는 것이다. 책을 다 읽고 목차만 쭉 훑어보면서 관련된 부분을 찾아보면 내용을 쉽게 되짚을 수 있다. 여러 가지 방법들이 나오지만 위와 같이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