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 미국 진보 세력은 왜 선거에서 패배하는가
조지 레이코프 지음, 유나영 옮김, 나익주 감수 / 와이즈베리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수라는 것은 이미 한 사회에서 자리를 잡았을 때 생겨나는 것이다. 때문에 당연히 사회의 주류를 이루고 사회 경제적으로 힘을 가진 자들이 대부분이다. 거기다 대중매체를 이용해 그들의 가치를 수시로 전달하기 때문에 진보에 비해 언제나 큰 영향력을 가진다.

그들은 재력과 권력을 소유하고 있으면서도 (세부사항에서는 차이가 날 수 있지만) 거의 언제나 한 목소리를 냅니다. 그리고 보수의 이념을 지속하기 위해 여러 단체, 재단을 만들어 그들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생산해 내고 이어간다.

저자에 따르면 보수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언제나 프레임 전쟁에서 승리한다고 한다. 그들이 만든 프레임은 엄격한 아버지의 가정이다.

아버지의 역할은 “1. 험한 세상으로부터 가정을 보호한다. 2. 살기 힘든 세상에서 가족을 부양한다. 3. 자녀들에게 옳고 그름을 제대로 가르친다. p.28” 엄격한 아버지의 가정에서 가족들은 보호와 부양이라는 우산아래에서 순종과 복종을 요구받는다. 그리고 올바르게 가르치기 위해 체벌이 용인시 된다.

 

아이가 어떤 잘못을 저질렀을 때 체벌로 훈육 받으면.... 다음에는 더욱 순종적이고 도덕적으로 행동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벌을 주지 않으면 세상은 지옥에 떨어질 것이고, 도덕은 땅에 떨어질 것이다. p.29”

 

선한 아이는 자라서 선한 사람이 됩니다. 나쁜 아이는 훈육을 받지 못하여 도덕적으로 행동하지 못하고, 옳지 못한 일을 저지르며, 따라서 부유해질 수 없습니다. 그리고 자신을 돌보지 못하여 의존적으로 됩니다. p.31”

 

사회복지프로그램 등과 같이 정부의 개입이 큰 정책들은 의존적이고 비도덕적인 사람들을 위한 정책이다. 위에서 말한 선한 사람들을 위한 정책이 아니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선한 사람들, 즉 자신들의 충분한 절제력과 도덕적 역량 덕택에 성공한 사람들에게 상을 주는 것입니다. , 사회복지 프로그램에 쓸 돈이 모잘 만큼 그들의 세금을 많이 깎아주는 것이지요. p .32”

 

반면에 진보는 자상한 부모라는 프레임을 가진다.

첫째는 감정이입, 둘째는 자신과 타인에 대한 책임, 셋째는 자신뿐만 아니라 자기 가정, 공동체, 국가, 세계를 위한 헌신입니다. p.39”

 

세 가지 대표적인 가치를 바탕으로 진보정치는 환경보호, 노동자 보호, 소비자 보호, 질병으로부터의 보호에 중점을 둡니다. p.39”

그리고 스스로 행복하고 충만한 삶을 만들고 그것이 가정, 이웃 그리고 사회로 뻗어 나가도록 한다.

 

지은이는 보수와 진보는 언제나 프레임 전쟁이라고 주장한다. 보수의 엄격한 아버지라는 프레임이 진보주의자의 머리 속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그들이 자상한 아버지프레임을 주장할 때조차도 보수의 프레임 속에서 진보의 프레임을 주장한다. 그것은 곧 보수의 프레임을 더욱 강하게 해준다. 이것이 가난한 사람들이 부자를 대변하는 정치인을 선택하는 이유라고 한다.

저자의 주장처럼 한쪽으로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공정한 경기는 힘들다. 따라서 진보의 단결과 협력이 중요하다. 하지만 모든 사회는 언제나 진보와 (올바른)보수가 양립한다. 두 진영 간의 공평한 대립과 갈등사이에서 사회는 가장 올바른 답을 찾아간다고 생각한다. 프레임의 전쟁에서 이긴 보수는 그들만의 경기장에서 그들의 경기를 하고 있는 것이 문제이지 보수라는 가치자체가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어느 책 제목처럼 새는 좌우의 날개로 난다’. 진정한 진보와 진정한 보수가 균형적으로 펼쳐 질 때만이 우리 사회도 멀리 그리고 높이 날아갈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