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본성에 관한 10가지 이론
레슬리 스티븐슨.데이비드 L. 헤이버먼 지음, 박중서 옮김 / 갈라파고스 / 200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교 다닐 때 도덕, 윤리라는 과목이 있었다. 거기서는 한 인간으로 태어나서 어떻게 살아가야 되는지 무엇을 추구해야 되는지가 나와 있었다.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이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였다. 직업을 통해 한 사회에서 주체적으로 자신의 삶을 이끌고 가는 이들은 그 직업에 상관없이 귀중한 이들이며, 어떤 직업이든지 사회에 이바지 하는 바는 크다는 것일 진데.... 왜 지금 우리는 아이들에게 좋은 대학가서 의사, 판사 등과 같은 직업을 가지길 원하며 귀천이 없는 직업이라고 가르치면서 왜 직업에 따라 사람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가 바뀌는 걸까?

 

 

무리생활을 하는 인간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사회에서, 그 사회를 이끌고 가기 위해 필요해진 직업들에 분명히 높낮이는 없어야 함에도 우리는 어느 순간부터 눈에 보이지 않는 카스트를 만들어 사람을 분류하고 있다. 신에 의해 평등하게 만들어진 인간이 왜 직업이라는 것에 의해 불평등하게 범주화되어야만 하는가? 직업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부분에서 똑같은 인간임에도 불구하고 타자화 시킨다. 도대체 인간이라는 존재는 어떻게 만들어졌기에 그럴 수밖에 없는가? 그것이 이 책 인간의 본성에 관한 10가지 이론에 끌린 이유이다. 우리의 진짜 본성이 무엇인지를 알게 된다면 지금의 우리의 모습도 교정하고 바로잡을 수 있지 않을까? 그래서 지금은 아니더라도 내 아이에게는 좀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줄 수 있을 답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유교 : 인간은 천명 (하늘의 뜻을 말함)과 운명 (한 인간이 가지고 태어나는 것을 말함)을 가진다. 천명인 하늘의 뜻을 따를지 말지를 인간 스스로가 선택이 가능하지만, 운명은 이미 인간이 타고 났기 때문에 변화시킬 수 없다. 따라서 우리는 천명, 즉 하늘의 뜻인 덕을 쌓아야 한다. 그 덕을 쌓기 위해서는 인 (너그러움)이 있어야 되는데, 그것은 고전의 공부를 통해 예의를 배우고 나서야 인에 이르게 된다. 이 때 우리는 도덕적 완성 (즉 덕)을 이루게 된다.

    

 

힌두교 : 하나의 종교인 힌두교는 여러 종파와 주장하는 사람들에 따라 내용이 조금씩 다르다. 이 책에서는 상카라와 라마누자의 힌두교를 설명하는데,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처럼 상카라는 현실에서의 다양성과 거기에 연관된 모든 것은 환영이라고 말한다. ‘브라흐만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영적생활의 장애물인 현실세계와의 단절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에 반해 라마누자는 궁극적 실재는 따로 존재하기 보다는 지금 현실 자체가 실재이다. 실재가 곧 궁극적 실재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신앙심을 갖고 현실을 충실히 살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플라톤 : 인간의 본성(영혼)은 세 가지로 구분된다. 이성, 격정(기개, 감정등), 욕구 가 그것인데 이성은 수호자(철학자), 격정은 보조자(군인, 경찰 등), 욕구는 일꾼(농부, 장인, 상인)을 나타낸다. 각 개인은 자신의 본성에 맞는 직업을 택한 이들이 조화롭게 살아갈 때 그 사회는 정의로운 사회가 된다.

 

 

아리스토텔레스 : 영혼은 살아있는 육체가 지닌 능력의 조합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성과 감성이 있다. 감성은 이성에게 순종적인데 그러기에 인간은 사회적 동물(정치적 동물)이 될 수 있다. 정치적 동물인 인간이 궁극적 목표인 행복을 이루기 위해서는 실천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칸트 : 인간의 인식은 감성+오성(이성) 으로 이루어진다. 감성을 거쳐 이성을 통해 판단하고 행동하는 행위자인 인간은 다시 가언적 명법 (자신의 욕망대로 하려는 것), 정언적 명법(욕망을 자제하고 해야 되는 것, 즉 도덕적 책임)으로 나뉜다. 우리의 행동은 실천적 자유가 있기 때문에 감성에 의해 좌지우지 되기보다는 도덕적으로 올바른 것을 하도록 되어있다고 한다.

    

 

마르크스 : 지금까지는 인간 객체를 중심으로 본성을 봐 왔다면 마르크스는 개체로서의 인간보다는 인간이 이루고 있는 사회에서의 구성원으로서의 인간의 모습을 바라보았다. 결국 인간의 본성은 사회적 관계들의 총합이며 능동적이고 생산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노동에 참여한다. 하지만 인간은 기계의 부속품처럼 경영자의 이익을 위해 노동자의 사회적 소외, 노동의 소외를 겪게 되고 이로 인해 노동을 통한 자아실현은 불가능하다.

  

 

프로이드 : 우리의 의식은 세가지, 즉 이드(본능), 자아(의식적인 정신상태), 초자아(도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드와 초자아는 서로 지속적으로 충돌하며 그 과정에서 억압이 발생한다. 이것을 해소하고 조화롭고 균형잡힌 생활을 하게 해 주는 것이 자아이다. 이것이 무너지게 되었을 때 인간은 정신질환을 겪게 된다.

    

 

아무리 좋은 책이라도 읽는 이의 그릇이 충분하지 못하면 그것을 담아 낼 수 없다. 30년 넘게 스테디셀러 로서 인정받아 왔다고 하지만 그릇이 작은 나에게는 어려운 내용이었다. 인간의 본성에 대한 책자임에도 한 철학자의 많은 사상적 내용을 다루려고 하다보니 혼란이 자주 발생했다. 글의 흐름을 자주 잃고 헤매면서 글의 맥을 잡아가는 것이 쉽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