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있고 싶은데 외로운 건 싫어
피터 홀린스 지음, 공민희 옮김 / 포레스트북스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은 책과 콩나무를 통해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했습니다>​

내성적과 외향적의 선택은 주어지는 것이다
그럼에도 흔히 그 각각은 서로를 이해하려 하지 않고 답답해 한다. 
게다가 사회적 활동을 해야 하는 사람의 특성상 어느 한쪽이 더 좋다고 공공연하게 판단하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얘기하자면 내성적인 것은 대인관계에 미숙하고 비사교적이며 소극적이라고 인식된다
반면 외향적인 것은 대인관계가 좋고 사교적이며 적극적이라고 여긴다. 
그러나 과연 이게 맞는 것일까

이 책은 그런 물음과 편견에 대한 이야기이다

가장 큰 장점은 우리가 마음에 대해 바라보는 단면적인 시선을 재고하게 한다는 것이다. 
같은 사람이 존재하지 않듯이, 사람의 마음 또한 단순히 이분법으로 나눌 수 없는 것은 당연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흔히 사람의 유형을 두 세 가지로 고정하여 생각한다.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자신의 성향을 한 가지로 규정하고 그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그러나 이 책은 그것이 얼마나 비합리적이고, 비효율적인지를 알려준다. 
특히 7~8장의 내용은 마음의 성향을 유연하고 능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얼마나 유익한지 알려준다. 

다음으로 실질적인 행동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초반에서 사람들의 성향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설명하고, 후반에서는 그런 내용을 기반으로 각 성향별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덕분에 독자는 자신을 되돌아 보면서, 그동안 살아오면서 보완하고 싶었던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을 살펴볼 수 있다. 
예컨대, 내성적인 사람이 자신의 성향과 대치되는 상황에서 어떻게 슬기롭게 대처할 수 있는지, 외향적인 사람이 범하기 쉬운 실수를 어떻게 피할 수 있는지 등을 상세하게 서술한다. 
아울러 심리학 등 관련 학문에서 그동안 이룩한 연구 결과들을 함께 소개하여 설득력과 전달력을 높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