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김형준 포커스 사회복지학 핵심요약 및 진도별 문제집 (OX문제 포함) - 사회복지직, 보호직 공무원 시험 대비
김형준 지음 / 배움 / 201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여러 번 책을 읽는 것이 고득점의 비결이란 것을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지만 그것을 실천하기는 힘든 것 같아요. 이 책은 굳이 한 번 공부하는 것으로 적어도 3번의 공부 효과를 만들어내서 좋은 것 같아요. 이론과 그것을 ox문제로 판별하고 또 문제 풀이까지 있거든요!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복의 히나타 식당
우오노메 산타 지음, 한나리 옮김 / 애니북스 / 2018년 9월
평점 :
품절


제가 한참 많이 먹고 자랄 때는 우리나라가 IMF를 겪을 때였어요. 학교에서는 매주 폐지를 많이 가져오는 아이들에게 도장을 찍어 주고 격려하는가 하면 어른들에게는 집 안에 꽁꽁 모셔둔 금으로 된 모든 물품들을 가지고 나와 나라를 살리자고 연일 방송을 해댔죠. 하지만 우리 집은 그 어느 것도 할 수 없었습니다. 그만큼 먹고 살기도 빠듯했거든요. 그 때는 유독 우리 집만 그런 것은 아니었고 대체로 제가 사는 곳에 사는 제 또래의 아이들은 죄다 기워입은 양말과 물려입은 옷, 구멍이 송송 뚫리고 목 부분이 다 늘어난 티셔츠를 즐겨 입었었죠. 아이들의 놀이는 대개 학종이나 팽이, 딱지 등의 비교적 가격이 싼 놀잇거리가 대부분이었구요.

 

그랬으니 먹을 것도 결코 풍족하지 못하던 때였습니다. 그렇다고 물가가 엄청나게 저렴했느냐? 하면 그것은 또 아니었던 것 같아요. 전파상을 운영했었는데 전파상에서 각종 물품들을 팔아도 시장에서 많은 먹을 거리를 사지는 못했던 것으로 기억하니까요. 특히 IMF가 직격탄으로 때리고 있을 때 저는 매일매일 그날 먹을 쌀을 사와야 했습니다. 친구들은 그런 심부름은 안 하는 것 같았는데 저는 2000원 3000원 돈을 들고 가 그 정도의 쌀을 달라고 부탁해야만 했죠. 제 얼굴이 빨개지는 것은 물론이고 그것을 파는 사람도 그리 반가운 기색은 아니었습니다. 매일을 그렇게 간신히 끼니를 때웠는데 반찬을 신경 쓸 틈이 있었을까요? 저와 형을 비롯한 4식구가 먹기에는 밥도 반찬도 항상 부족할 따름이었습니다. 그러다가 밥을 못 먹는 경우도 흔했구요.

 

그런데 밥을 못 먹는 경우 저희가 꼭 해먹는 것이 있었어요. 다른 것은 몰라도 특히 오래된 감자와 고추가루나 각종 조미료는 친가, 외가 쪽에서 많이 얻어왔었거든요. 저희 집에 남아 있는 단 하나의 먹을 것은 바로 '밀가루'였습니다. 그것으로 네 가족이 해먹을 게 뭐가 있겠어요. <수제비>밖에 없었지요. 그러나 저는 수제비를 먹는 날이 즐거웠습니다. 왜냐하면 다른 음식은 몰라도 수제비는 배가 터지도록 먹을 수 있었기 때문이죠. 밥을 먹는다고 상상해보세요. 그날 세 끼니를 밥을 먹으려면 우리는 가장 적은 양을 먹을 수밖에 없었는데 수제비는 커다란 솥에 한웅큼 끓여 놓으면 먹고 또먹고 해도 별로 양이 줄어들지 않았지요. 그래서 저는 수제비를 특히 좋아했습니다.

 

사실 무슨 맛으로 먹었는지 모르겠어요. 굉장히 맛있게 먹었다는 생각은 들지만 구체적으로는 하나도 기억나지 않습니다. 왠지 그런 거 있잖아요. 엄청 맛있게 먹었는데 그것이 전혀 기억나지 않다가 어느 날엔가 문득 그 시절의 그 냄새와 맛을 느끼는 순간. 갑자기 머릿속에 과거가 벼락같이 밀어닥치는 기분이요. 아직 어느 곳에서 수제비를 먹어도 그런 느낌을 갖지 못한 것을 보면 그 시절의 맛을 재현하는 곳이 단 한 곳도 없는 것 같아요. 지금은 애써 수제비를 먹으러 찾아다니지는 않지만 가끔은, 그 시절의 수제비가 생각나기도 하네요..

 

저는 이런 책을 보면 그런 생각들이 떠올라요. 그리고 유독 일본에서만 이런 음식과 관련한 많은 이야깃거리가 글로 출판되는 것 같아 한편으로 아쉽기도 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휴일 버릇 업무까지 간다 - 성공 비즈니스를 위한 전략적 휴일 활용법
이케모토 가쓰유키 지음, 이아랑 옮김 / 비빔북스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까딱하면 이 책 소개만 읽고 '아 나는 잘 놀지도 못하니까 일도 못할 거야. 나와는 상관없는 일이지' 하며 뒤로 가기를 누르던가 증오감을 품으실 분이 있으실지 모르겠네요. 그러나 이 책은 '잘 노는 사람이 일도 잘해' 하는 것을 처음부터 강조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면 도대체 어떻게 해야 잘 놀 수 있는데? 그래서 어떻게 일의 능률까지 올릴 수 있냐고! 하는 물음에 대한 답을 하는 책입니다. 저자는 크게 그 이유를 신체적인 부분과 정신적인 부분으로 나누어 이야기를 풀어갑니다. 체력적으로 강하지 못하면 정신이 무너지기 쉽고 그러면서도 평안하고 건전한 마음을 기르라고 조언하고 있는 것이죠. 결국 그런 습관들이 하나하나 쌓여 생활의 활기도 더해가고 그에 덩달아 일의 효율도 오른다는 것이 저자가 하고 싶은 말인 것 같습니다. 추천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학의 13가지 질문 - 둥근 사각형을 믿는 사람들에게
잭 보웬 지음, 하정임 옮김, 박이문 감수 / 다른 / 201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좋은 책이라고 느꼈다. 그 구성의 치밀함과 논의에 세련됨은 박이문 교수님이 이 책을 왜 추천했는지 알게했다. 너무 얕지도 그렇다고 무심히 지나치지도 않는 성실한 서술. 그 '논증적' 이끌림에 두근거린다. 책을 다 읽으니 박이문 교수님의 글이 다시 읽고 싶어졌다. 나는 고개를 주억거리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황현산의 사소한 부탁
황현산 지음 / 난다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로 얼마 전에 알라딘으로부터 황현산 선생님의 신간을 소개받았다. 그런데 오늘 네이버로부터는 부음을 전해들었다.. 김현하면 황현산, 황현산하면 김현이 떠오를 때가 있었는데 왠지 내 삶을 송두리째 흔들던 과거가 통째로 베인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