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빼기 3 - 어느 날… 남편과 두 아이가 죽었습니다
바버라 파흘 에버하르트 지음, 김수연 옮김 / 에이미팩토리 / 2011년 1월
평점 :
절판




 

어느 날 남편과 두 아이가 죽었습니다...
4 빼기 3이란 제목밑에 새겨진 이 한 문장만으로도 책을 읽기 전부터 가슴 한 켠에 커다란 구멍이 생긴듯한 아픔을 느낄 수 있었던 책이다. 이 책을 읽게 된다면 저자의 쓰라린 고통과 상처를 조금은 나눌 수 있지 않을까 싶었고 무엇보다 하늘이 무너져버린 듯한 그 고통을 과연 그녀는 어떻게 참고 이겨냈을지 너무나 궁금했기 때문에 꼭 읽고 싶었던 책이기도 했다. 한편으로는 가족의 죽음을 다룬 책인만큼 이 책은 아마도 짙게 드리워진 암흑과 어두움, 끔찍한 공포와 외로움이 가득할 것이란 짐작도 해 볼수 있었다. 하지만 저자는 나의 예상과는 너무도 다르게 담담하고 용기있게 삶의 소용돌이를 헤치고 나아갔다. 죽음이란 공포속에서 그녀를 붙들었던 것은 또 다른 희망이었다. 처음 4-3이란 제목에 대한 호기심으로부터 시작된 이 책에 대한 나의 궁금증은 이제 마지막 페이지를 덮으며 어렴풋이 그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을것만 같다.




인생을 살아가는 동안 우리는 끊임없는 아픔과 좌절을 느끼기도 하고 그 고통을 감내하고 이겨내면서 삶에 대한 진한 애정과 찬란한 희망을 느끼며 살아갈 수 있는 것이란 생각을 해본다. 하지만 그 고통이란 것이 때로는 스스로도 감당할 수 없을만큼 너무나 거대하게 다가올 때가 있다. 4-3의 저자 바버라 파흘 에버하르트의 경우도 그에 해당되는 경우일 것이다. 편안한 일상가운데 느닷없이 찾아온 가족들의 죽음은 그만큼 흔히 경험할 수 없는 너무나 커다란 아픔이자 고통이었다. 삶의 전부를 잃어버린 상실감은 그 무엇에도 비할 수 없는 괴로움이었고 문득문득 찾아드는 추억과 가족들의 생생한 기억은 그녀를 헤어나올 수 없는 구렁텅이로 빠져들게 했다. 남편과 두 아이를 가슴에 묻고 바라본 세상은 어쩌면 그녀가 바라보는 세상이 아니었을지도 모른다. 바버라가 느끼고 바라보는 세상은 이제 그녀의 아이들과 남편 헬리의 시선일수도 있는 것이다.

 




 

조심스럽게 아이들의 뺨을 어루만진다. 마지막으로.
아직도 너무 부드러워서 순간 움찔한다. 남편의 이마에 입맞춤을 하고, 그이의 차가운 손을 잠시 잡는다. 
사랑의 물결이 밀려온다. 잠시 후, 나는 결심한 듯 서둘러 돌아섰다. 
이 사랑의 느낌을 간직하고 싶다. 눈물이 그걸 지우도록 내버려두고 싶지 않다.
헬리라는 이름을 가진 육체의 마지막 사진을 기억속에 담아둔다. 
죽음을 수긍하고 돌아선다. 하지만 이 사랑은 가지고 갈 것이다. 
이 사랑을 작별 선물이자, 모든 새로운 것을 얻을 힘으로 쓸 것이다. 
-150p-




장례식 대신 피에로의 축제를 열기로 결심했던 바버라의 심정은 어땠을까?
생각만 해도 가슴뛰고 소스라치게 놀랄 일이었지만 이제 그녀의 곁에는 아무도 없었다. 삶과 죽음의 경계가 이토록 쉽게 허물어질 수 있는 것이었음을 이 책을 통해 다시 한 번 절감할 수 있었고 바버라의 놀라운 생을 통해 삶에 대한 찬란한 희망과 이겨낼 수 없는 운명이란 없다는 생각을 가질 수 있게 된 것 같다. 어느 날 느닷없이 찾아든 삶의 가장 처절한 고통은 이제 남은 삶에 대한 새로운 버팀목으로 그녀를 지켜주지 않을까? 
그녀는 온 마음을 다해 토해내고 있다. 
삶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사실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