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의 거짓말 - 무엇이 우리의 판단을 조작하는가?
마이클 캐플런 & 엘런 캐플런 지음, 이지선 옮김 / 이상미디어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우리는 우리 자신의 결점들을 보완하며 실생활에서 온갖 오류를 몰아내고자 학문을 탄생시키며 세상을 발전시켜왔다. 세상의 기술과 제도는 오로지 인간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 봐도 전혀 이상할 것이 없다. 하지만 누구나 오류를 범하며 살아가고 있다. 실제 인간의 뇌가 착각과 오류속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지 뇌의 거짓말이란 책이 궁금했던 이유는 바로 이 부분 때문이었다.

중요한 것은 일반적인 어리석음은 단순히 몰라서 저지르는 실수와는 다른 것이란 사실이다. 사람은 누구나 충동적으로 잘못을 저질렀음에도 불구하고 그럴싸한 변명을 늘어놓으며 책임을 전가하기에 급급해진다. 과연 날마다 말하고 행동하는 익숙한 것들에서 노골적으로 저지르는 잘못은 어디서부터 비롯되는 것일까?

이 책은 인류가 범하기 쉬운 공통의 오류에 관해 설명하며 우리 스스로가 세운 완벽한 기준을 지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우리가 오류에 관해 더욱 깊이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다면 문제해결에 있어 보다 더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이란 상황에 대해 해석하고 있는 책이다. 뇌과학, 인지과학, 신경경제학, 행동경제학, 진화생물학 등 다소 생소한 학문들이 등장하고 있지만 잘못된 판단을 저지를 수 밖에 없는 인간의 본성을 다양한 학문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특히나 인상적이었던 내용은 낙관주의의 함정에 관한 부분이었다. 우리가 쉽게 속아 넘어갈 수 있는 것은 비단 시각적 착각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었다.




책 읽는 인간은 책 읽는 기계보다 훨씬 유능하다.
기계를 가장 잘 통제할 수 있는 사람은 바로 기계처럼 사고하지 않는 사람이다.

뇌는 외부 자극들에 의해 본능적이고 감정적이며 이성적인 차원에서 동시에 반응하게 된다. 또한 우리의 마음은 상대적인 관계에 익숙하지만 논리는 절대적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런 상대성은 숫자와 같은 논리적인 본질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다. 타인에 대한 믿음, 혹은 잘 알지 못하는 주제에 대해 이야기할 때도 해당되는 것이었다. 사람은 누구나 상식을 갖고 살아가지만 낙관에 대한 잘못된 믿음으로부터 인지적 착각을 불러 일으킬 수 있고 때문에 이해력과 논리력에 오류를 범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었다. 현재는 과거보다 더욱 복잡해지고 모든 측면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오류에 쉽게 빠져드는 확률도 더욱 커지게 된 것이다. 살아가는 데 필수적으로 터득해야 할 지식과 기술들이 있지만 이 책을 통해서 이제는 실수에 대한 책임과 불완전한 인간의 본능에 대해 더 깊이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해볼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