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살의 흔적 - 죽음과 의혹에 현직 법의학자들의 현장 리포트
국립과학수사연구소의 법의관들.강신몽 지음 / 시공사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일 보도되는 뉴스의 잔혹한 강력범죄는 일반인들에게도 적잖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게 사실이다. 나 역시 날이 갈수록 흉악해지는 범죄들을 보면서 언제부터인가 법의학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것 같다. 타살의 흔적이란 이 책을 유심히 살펴보았던 이유도 책의 저자가 다름아닌 국과수의 전.현직 법의관들이었기 때문이다. 하루에도 수차례의 부검을 진행하며 의문사를 조사하는 전문가들이 말하는 우리 사회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던 안타깝고도 처참한 죽음과 의문사를 통해 뉴스에서 보도될 수 있는 한계를 넘어 구체적인 죽음에 대한 호기심도 풀어볼 수 있을것만 같았고 자주 접할 수 있는 내용의 책이 아니기 때문에 범죄와 과학의 만남이 더욱 솔깃한 주제로 다가온 것은 아닐까 싶다.


시체는 스스로 그 어떤 단서도 제공하지 않는다.
때문에 신뢰도 있는 법의학적 판단이 가능하려면 법의의사의 시체정보를 찾아내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일인 것이다. 죽음은 자살과 타살, 병사와 사고사로 나뉘지만 그 경계가 언제나 명확한 것은 아니었다. 책을 읽어갈수록 죽음의 방법이 이렇게나 다양했는지 놀라움을 감출 수 없었고 자살, 타살 할 것 없이 사건의 상황이 조금씩만 달라져도 결과가 얼마나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는지에 대해 놀라웠다. 총알의 흔적이 하나도 없었지만 사망에 이를 수 밖에 없었던 사건, 피 한 방울 흘리지 않은 추락사, 물 중독사, 해부와 부검에 이르기까지 시체의 상태에 따라, 행위의 다양한 접근방법에 따라 죽음이 천차만별로 나뉘는 것에 의아할 수 밖에 없었다
 




다큐 프로 혹은 소설이나 영화를 통해 알 수 있었던 죽음의 원인을 밝혀내는 일이 실제와는 전혀 다르다는 사실도 이 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부분이다. 사망의 종류와 사인, 사후 경과시간, 치사 방법, 사용된 흉기, 독물 등 원인을 규명하면 모든 검안이 끝나는 것인줄만 알았는데 실제 법의학은 법의병리학, 법의혈청학, 임상법의학의 세 분야로 나뉘어 사인을 밝히는 데 아주 미세한 부분까지도 서로 다른 관계에서 다각도로 접근하고 있었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사회적으로도 큰 이슈가 되었던 사건들에 대해서 일반적인 시각이 아닌, 법의관들의 입장이 되어 구체적인 사인을 접할 수 있었는데 특히나 유명인들의 부검은 가슴 아픈 내용으로 기억에 남는다. 이 밖에도 중독사와 저체온증, 약물중독 등 죽음에 이를 수 있는 다양한 사고를 접하며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죽음의 원인에 대해서도 새로운 사실들을 알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