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년의 침묵 - 제3회 대한민국 뉴웨이브 문학상 수상작
이선영 지음 / 김영사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 시절 지겹도록 마주했던 공식 가운데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다름아닌 피타고라스의 정리이다. a2b2=c2 직각 삼각형의 직각을 포함하는 두 변 위의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은 빗변 위의 정사각형의 넓이와 같다. 이와 같은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무리수와 루트를 이해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공식이었고, 뿐만 아니라 직각삼각형에서의 빗변의 길이, 또는 나머지 함수에서의 두 점과의 거리, 원의 방정식 등 과학의 원리가운데서도 가장 실용적인 불변의 법칙이기도 하다. 하지만 수학을 싫어했던 나에게 문제집 한 가득을 메웠던 피타고라스 정리의 증명 공식은 지금 생각해도 아찔하기만 하다. 한국의 대표작가들이 세기의 걸작으로 뽑은 단 한 편의 소설. 천 년의 침묵은 이미 첫 등장부터가 예사롭지 않았고, 더욱이 놀라웠던 사실은 스토리의 배경과 주제였다.


고대 그리스를 배경으로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얽힌 진실과 미스터리한 죽음을 다룬 이야기라는 소갯말은 이제껏 내가 접해왔던 수많은 한국소설과는 그 느낌이 너무나 다르게 다가왔다. 그동안 접해볼 수 없었던 배경과 책의 소재가 무척이나 신선했고 어떤 스토리일지 기대감을 갖기에도 충분했지만 한편으로 수학적 논리를 바탕으로 쓰여진 소설이란 까닭에 고리타분하거나 어려운 이야기는 아닐지, 때문에 그만큼 몰입이 어려운 소설은 아닐까하는 조바심을 갖기도 했다. 솔직히 한국소설에 대한 선입견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추리소설은 일본 작가의 작품들을 많이 읽어왔고 역사소설 또한 국내 작품보다는 해외작가의 작품을 더욱 선호했던 나에게 천 년의 침묵이란 색다른 소설의 등장은 무척이나 놀라운 사건이었고, 한편으로는 한국인의 정서나 취향과는 거리가 좀 있지 않을까하는 의문을 만들기도 했다.




 

고대 그리스의 도시 국가 크로톤에 수의 제국을 세운 현자 피타고라스는 많은 사람들의 추앙을 받으며 남부럽지 않은 명예와 권력을 누릴 수 있는 인물이다. 어느 날 그의 학파에서 수학하던 제자 디오도로스의 시체가 바다에 떠오르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를 자살로 몰아가지만 디오도로스의 시신을 처음 발견했던 그의 동생 아리스톤은 자살이란 결론에 의문을 품게 된다. 부패한 형의 시신은 등짝과 가슴 여기저기 혈관이 터진 채로 매질을 당한 흔적이 보였고, 무엇인가 석연찮은 구석이 있음을 직감했기 때문이었다. 이후 형의 죽음에 대한 실마리를 풀기 위해 아리스톤은 귀족회 의원직을 떠나 학파에 입문하게 되는데 그를 기다리고 있던 것은 현자의 엄청난 음모와 권력을 쟁취하기 위한 엇갈린 운명들이었고, 하나둘 진실이 밝혀지기 시작하면서 그 속에 얽히고 설켜버린 수많은 사랑이야기도 접할 수 있었다. 





 

수학과 역사의 만남, 여기에 추리적 요소까지 가미된 엄청난 스케일의 장편소설 천 년의 침묵은 마지막 페이지까지 역사속 사건의 반전을 느낄 수 있는 짜릿한 소설이었다고 말하고 싶다. 이미 권력의 마수에 사로잡혀 추악한 이면을 가지게 된 현자 피타고라스와 진실을 파헤치고자 그에 맞서는 젊은 제자들의 모습은 세상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가장 인간다운 면모가 무엇일지에 대해 깊이 생각할 수 있게 해주었고 욕망과 권력, 진실과 사랑 등 삶의 절대가치에 대한 의미에 대해서도 다시 한 번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주었다. 천 년의 침묵은 탄탄한 플롯과 사건의 빠른 전개를 통해 전혀 지루할 틈이 없었던 소설이었고, 여기에 실존 인물과 가상 캐릭터의 접목으로 더욱 더 현실감을 느낄 수 있었던 책이기도 했다. 앞으로 작가의 행보가 더욱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