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무질, 세상을 벼리다 - 책방 풀무질 일꾼 은종복이 바라본 세상 이야기
은종복 지음 / 이후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고3 수험생시절 문과생이었던 나는 사회탐구 과목으로 윤리, 사회문화, 세계사, 한국지리를 공부했다. 별다른 이유는 없었고 단지 학교에서 가르치는 과목들이기에 선택했고, 나와 잘 맞는 내용이기에 1년간 열심히 공부했었다. 특히 윤리와 사상을 공부하며 철학에 흥미를 느끼게 되었고, 사회문화를 공부하면서 우리 사회에 대한 관심을 키울 수 있었다.  

수능 후 대학교를 알아보고 원서를 내는 기간동안, 대학에 가면 복수전공으로라도 꼭 사회학을 공부하고, 운동에도 참여하겠다고 다짐했었다.   

그리고 다짐으로만 끝나버렸다. 3월의 캠퍼스는 그 자체로 싱그러웠으며 항상 즐거운 얘기를 같이 할 수 있는 동기들이 있었다. 동기들 뿐이겠는가, 돈이 부족할 때면 약간 미안한 마음은 있지만 밥도 얻어먹고 술도 얻어마실 수 있었던 선배들까지 있었다. 우리 사회를 탐구하며, 낮은 곳에서 힘겹게 살아가는 사람들을 위한 행동을 하겠다는 다짐은 3월의 막바지 추위가 물러가며 눈 녹듯 사라져버렸다.  

그렇게 정신없이 네 학기를 다녔다.  

휴학을 하고 공익근무요원이 되면서, 우리동네 도서관과 근무지 도서실에서 책을 빌리거나 인터넷서점에서 책을 주문해 독서생활을 시작했다. 2년여 간의 근무기간이 이제 한 달 남짓 남았다. 한동안 책이 손에 안잡히던 슬럼프를 극복하고 다시 책을 잡기 시작한 게 지난 달인데, 도서관에서 바로 이 책을 발견했다. 『풀무질, 세상을 벼리다』

학교를 다니면서, 항상 그 앞을 지나쳤지만 전공서적을 싸게 살 수 있을까해서 들어가봤던 딱 한 번을 빼고는 풀무질에 들어가본 적이 없다. 서울에, 아니 전국적으로도 몇 남지 않은 인문사회과학 책방인데 너무 무심했던 내 모습이 후회스럽다. 책을 읽다보니, 다행히 내 기억속에도 지금 자리로 옮기기 전의 풀무질이 남아있었다. 아마 지금은 카페가 있는 자리인걸로 기억하는데 확실하지 않아서 안타깝다. 그저 '여기 있던 서점이 저기로 이사갔네?' 정도의 기억만 남아있을 뿐이다. 2007년 6월 풀무질은 지금의 자리로 이사했는데, 그당시 나는 무얼 하고 있었을까?

첫 장부터 마지막 장까지, 풀무질이라는 공간을 통해 책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진솔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물론 은종복님의 이야기가 가장 많다.(나는 형님이라고 부를 친분이 없기에 아직은 은종복님이라고 쓰는게 편하다.)  

돈에 눈먼 사람들이, 사람과 사람이 어울려 사는 삶을 파괴하는 모습에 슬퍼하며, 파리나 모기처럼 하찮아보일지라도 생명을 존중하며, 아이들이 웃을 수 있는 세상이 참으로 아름다운 세상이라 믿는 풀무질의 일꾼이 말해주는 이야기다. 5부로 나뉘어진 은종복님의 이야기 사이사이에는 풀무질과 인연을 맺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짤막짤막한 이야기들이지만, 부록이 아니라 공동저작이라고 불러도 될 만큼 다른 이야기들과 잘 어울리는 이야기들이다. 

또 하나의 장점이 있다. 여는 글에서 직접 말하신 부분이지만, '아름다운 우리말'을 살려서 글을 쓰신다. 항상 언어 문제에 관심이 많은 나로서는 환영할만한 부분이다. 그렇지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내 삶의 스승, 이용석」에 나온 '하나님'이라는 표현이다. 얼마 전에 읽은 고종석님의 『국어의 풍경들』에 따르면, '하나님'과 '하느님'중 올바른 표현은 '하느님'이라고 한다. '아래 아'가 소실되는 과정에서 잘못 옮겨진 표현이 '하나님'이라고 하니 개정판에선 고쳐지길 바란다.(개신교도들이 읽으면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아쉬운 부분 이야기가 나왔으니 한 가지 더 말하고 싶다. 가끔은 너무 순진하고 선하기만 한 주장에 동의하기 어려워지는 말들이 있다. 은종복님의 마음은 잘 전달되지만, 213쪽의 도둑과 칼 비유나 313쪽의 '한민족은 가진 것 없이 오로지 착한 마음 하나로 전 인류를 구원할 수 있다'는 내용은 선뜻 고개를 끄덕거리기 힘들게 하는 말들이다.  

쓰다보니 아쉬운 부분에 대한 말이 길어졌다. 싫어서 하는 비판이 아니라, 지금보다 더 널리 읽히고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에서 하는 말이니 혹시 서운해하실 분들은 이해해주길 바란다.  

끝까지 읽고 나니, 우리 동네에 있는 작은 서점에 찾아가고 싶어진다. 잠시 후 저녁에 고등학교 1학년때 같은반 친구들을 만나기로 했다. 조금 여유를 내서 그 서점에 들렀다 가야겠다. 인터넷 서점으로 사고 싶었던 책들 중 한 권을 사야지. 그리고 조만간 명륜동을 간다면 꼭 풀무질에도 들러야겠다.

읽은 기간 : 2010 12 29 ~ 2010 12 30 

정리 날짜 : 2010 12 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