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이 : 뇌로부터 영혼까지의 여행
줄리오 토노니 지음, 려원기 옮김 / 쌤앤파커스 / 2017년 6월
평점 :
뇌로부터 영혼까지의 여행
영혼은 어디에 있나? 의식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뇌와 영혼, 의식의 존재를 파헤친 금세기 최고의 명서로 불리는 책 파이는
정신과 의사이자 위스콘신대학교 정신의학과 교수로 수면과 의식에 관한 세계적 권위자인
줄리오토노니가 쓴 책으로 그는 통합정보이론으로 이시대의 가장 독창적이고 영향력 있는 신경과학자이다.
“의식은 우리가 가진 전부이며, 우리 존재의 모든 것이다!”
의식이란 무엇일까? 우리를 둘러싼 세상과는 어떻게 연관을 맺고 있을까?
의식은 무엇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어떻게 뇌속에서 생겨나는 것일까?
과학이 어떤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을까?
어쩌면 과학이라는 이름의 장막 뒤에서만 머무를 수는 없을지 모른다.
의식이란 과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객관적인 대상 이상의 것이기 때문이다.
의식은 주관적인 것이기도 하다.
이 책은 의식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으로 의식을 탐구하기 위해
여정에 오르는 늙은 과학자, 갈릴레오의 이야기이다.
통합정보이론이란?
1) 인과관계는 정보이다. 현재의 상태를 통해 인과적으로 불가능한 과거의 상태들이 배제된다.
즉 불확실성이 줄어든다.
2) 어떤 시스템에서 부분들이 만들어내는 정보의 합보다 시스템 전제가 만들어내는
정보가 클 때 정보는 통합된 것이다.
3) 통합된 정보가 의식이다. 단, 이때의 정보는 비록 불확실성의 감소라는 측면에서 섀넌의 방식을 차용하고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는 관찰자 시점의 정보가 아닌 내재된 관점에서의 정보다.
그 자체로 자연히 납득하게 되는 정보, 불립문자 라는 표현에 가까운 정보라 하겠다.
4) 확률적으로 표현된 시스템의 각 상태들을 좌표로 찍어봄으로써 퀄리아를 기하학적으로 번역할 수 있다. 이때 시스템 속 이진법적으로 표현되는 구성 요소가 n개 존재한다면, 좌표축의 개수는 2의 n제곱개가 된다.
이 책은 총 3part로 나뉘어져 있다.
part 1 - 증거_자연의 실험
part 2 _ 이론 _ 사고시험
part 3 _ 적용_ 의식이라는 우주
1part 는 프릭이라는 이름으로 가이드가 나오는데 실제로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이며 DNA 2중 나선구조를 밝혀낸 프랜시스 크릭이며. part2는 컴퓨터 개념을 확립한 튜링, part3은 진화론을 확립시킨 다윈이 가이드로 나온다..
첫 파트에서 어째서 뇌의 특정 부위는 중요한 반면 다른 부위는 그렇지 않은지,
어째서 잠자는 동안에 의식이 사라지는지와 같은 의식과 뇌에 관한 진실을 알수 있다.
두 번째 파트에서는 파트1에 이은 진실들이 의식에 관한 과학적 가설을 통해 합쳐지고, 이해될 수 있음을 알게된다. 세 번째 파트에서는 갈릴레오는 가설에 함축된 바를 어느 정도 깨닫고 이것이 우리 모두와 관련되어 있음을 알게된다. 각장이 끝날 때 마다 주를 달아 인용한 내용과 사용된 작품들의 출처를 명시하였다. 괴델,에셔,바흐등 과학과 예술,역사,철학을 넘나드는 자료를 인용하여 과학과 의식을 설명하고 있다.
읽기 쉽게 소설처럼 구성되어 있었으나, 사실 과학적 지식이 부족?해서인지..
한번 읽고 쉽게 이해하기가 어려웠다..그러나 책 중간중간 삽입한 예술작품들은 정말 멋졌다..(오묘하게..어울림이랄까..)
의식의 실체에 대해 궁금하다면.. 이 책을 읽어보자.
(나는..2-3회는 읽어야 할것같다. 나는 아직독서근력이 부족한 게 아닐까..)
“뇌 속에는 2개의 거대한 도시가 있구나, 대뇌란 각양각색의 시민들이 서로논쟁할 수 있고,
함께 결정내릴 수 있는 곳이다. 소뇌란 더 많은 이들이 살고는 있으나 모두 홀로 떨어져, 누구와도 대화하지 않고, 각자의 방 안에서 자신의 일에만 신경을 쓰는 곳이다.
거대하고 혼잡한 대도시, 생기 넘치는 민주주의인 대뇌에 의식이 깃드는 이유는 아마 이 때문이리라. 그리고 소뇌는, 광대하지만 침묵하는 감옥이리라.“
“ 뇌 속에는 구분할 수 있는 무수히 ㅁ낳은 대안들의 레퍼토리가 있기에 나에게 의식이 존재한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포토다이오드에게는 의식이 존재하지 않거나 무한히 미미할 것이다. 의식은 무게가 나가지 않는 대신 숫자로서 이를 벌충한다”
“의식이란 것을 어떻게 말로 설명할 수 있을까?
의식이란 분해가 불가능한 최대치이며, 유일무이한 것,
의식은 깨달음의 형상이자, 정말로 실재하는 유일한 형상..존재하는 가장 실재적인 것
우리가 꿈을 꾸는 내용은 우리가 알던 것이며,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꿈꿔 볼 수 있는 것이다.. 이 세상은 내부에서 상상할 수 있는 것일 뿐, 밖에서 그 나신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