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몬드 (양장) - 제10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손원평 지음 / 창비 / 2017년 3월
평점 :
절판



사실은 조금 실망한 정도가 아니라 많이 실망스러웠다. 차라리 처음부터 별로인 소설이었다면, 책장을 덮으면 그만이었을 탠데, 이 소설의 첫 장은 내가 읽었던 어떤 소설보다도 강렬했다. 이 책의 첫 장을 펼쳤을 때는 하루의 볼일을 끝내고 집으로 돌아가는 버스 안이었다. 소설의 도입부는 하루 종일 쌓아올린 피곤함이 날아갈 정도로 강렬한 힘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그런 첫인상에도 뒷장으로 갈수록 이야기는 점점 실망스러워져갔다. 그 이유는 이 소설이 청소년 소설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 한 것. 두 번째는 작가가 등장인물에 너무 많은 연민을 느낀 것이 문제였다고 생각한다. 그 점은 또 다른 청소년 소설인 위저드 베이커리와도 다른 점이다.


소설의 주인공인 윤재는 태어날 때부터 뇌의 이상이 있어서 알렉시타미아증후군을 가지고 태어난다. 그 증후군의 증상은 타인과의 공감능력이 떨어지는 것. 쉽게 말해서 감정을 가지지 않는 것이다. 사랑도, 슬픔도, 느끼지 않는다. 감정이 없기에 아무리 충격적인 일이 일어나도 아무 느낌도 느낄 수 없다. 사이코패스와 같은 말로도 들리지만, 사이코패스는 자신의 욕망을 위해서 남을 해치는데, 주저하지 않는 인간이라고 하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 윤재의 경우에는 무엇을 가지고 싶다는 욕망마저 없으니 사이코패스와는 다른 유형의 인간이다. 적어도 괴물은 아니다.


윤재의 부모 중 아버지는 예전에 사고로 죽었고, 엄마와 할머니의 손으로 자란다. 윤재가 정상적인 아이는 아니기에 그에 맞춰서 두 사람은 유별나게 윤재를 훈련시킨다. 사소한 문제는 계속 생겼지만, 그럼에도 세 사람은 나름 잘 살아나간다. 엄마와 할머니는 사랑을 윤재에게 주고, 가르친다물론 윤재에게 그것을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가만히 그가 어른이 되는 것도 나쁘지는 않겠지만, 그들 가족에게 여지없이 시련이 찾아온다. 윤재는 그 모든 시련을 아무런 느낌 없이 받아들이며 살아간다.


이 책을 읽으면서 예전에 읽었던 일본소설인 편의점 인간과 비슷한 소설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캐릭터도 비슷하다. 편의점 인간의 주인공인 후루쿠라도 타인과의 공감능력이 결여된 인간으로 등장한다. 그녀의 경우에는 편의점에 소속됨으로서 인간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한다. 온전한 인간은 아니지만, 나름의 방식으로 사회에 적응한 형태다.


윤재가 소설 속의 사건을 겪지 않고 자라난다면, 그녀와 비슷한 모습일까. 그러나 윤재의 가족과 주변 사람들은 어떻게든 그를 따뜻하게 지켜주고 자라나게 도와준다. 파국으로 끝난 <편의점 인간>과는 다른 결말이 기다린다.


그리고 보니 소설의 구조도 비슷하다. 초반 50페이지 정도는 주요캐릭터의 토대를 쌓은 뒤, 그 뒤에 본격적인 이야기를 전개한다. <아몬드>의 경우에는 매력적인 등장인물이 많이 등장해 초반까지는 <편의점 인간>보다 더 재미있다고 느꼈다. 그러나 후반부는 글쎄


작가는 소설 속에서 등장인물에게 절대적인 권한을 가지고 있다. 거의 신에 가까운 힘을 가지고 있는데, 그 힘을 어떻게 사용할 지는 작가의 마음이다. 그 힘을 적절히 사용함에 따라서 그 소설이 희극이 되기도 하고 비극이 되기도 한다. 좋은 소설에서는 이러한 힘의 사용이 티나지 않는다. 마치 등장인물들의 운명에 따라 움직이는 듯. 자연스럽게 행동하고 생각한다.(이것을 잘하는 작가가 스티븐 킹이다) 그러나 그러지 못한 경우에는 어색하고 도대체 왜 이들이 이런 일을 겪을까. 이상하게 생각된다.


이 소설의 경우에는 작가가 과도하게 힘을 휘둘러 소설의 완성도를 해친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소설에서 등장하는 대부분의 인물들은 가족을 상실하거나 감당할 수 없는 시련 앞에 놓인 경우가 많다. 작가가 그들에게 연민을 느껴서 좋은 결말을 만들어 주려고 할 수는 있지만, 그것이 데우스 엑스 마키나마냥 느닷없이 일어나는 건 안 될 일이다. 그 덕분에 책장을 덮고 나서 할 말을 잃었다. 아침 7시쯤 방송하는 드라마를 본 듯한 느낌이었다.


스티븐 킹의 작법서인 유혹하는 글쓰기에서 자기는 재능이 하나도 없고 그저 상황 속에 인물들을 내버려 놓는 다는 말을 써놨을 때. 천재의 재수 없는 겸손함 정도로 생각했는데, 작가가 상황에 자주 개입하는 소설을 보니 그 말이 조금은 이해되었다.


나는 소설을 읽을 때. 소설 속의 인물들에게 감정을 이입 하지 않는다. 그것보다는 소설의 문장, 문체, 이야기가 얼마나 짜임새 있고 그 안에서 이야기가 어떤 메시지를 만드는 가 그런 것들을 본다. 이 소설은 작가가 등장인물들에게 지나치게 감정을 이입한 덕에 그런 것들이 철저히 파괴되었다. 앞부분의 장점들도 뒷부분의 뻔한 결말이 모두 망친 케이스다. 역시 결말이 중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