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급 한국어 ㅣ 오늘의 젊은 작가 42
문지혁 지음 / 민음사 / 2023년 3월
평점 :
문지혁 작가의 이름은 SF를 읽다 보면 자주 접하고는 한다. 하지만 나는 작가의 SF 소설을 읽어 본 적이 없으며 그의 작품인 <초급 한국어>로 처음 접하게 된 편이었다. <초급 한국어>는 미국 대학원에 유학하며 한국어를 가르치는 강사로 일하는 과정을 기록한 소설이다. 소재나 소설의 내용은 금방 알 수가 있다. 이 <중급 한국어>는 그 <초급 한국어>의 속편으로 젊은 대학원생에서 한 아이를 자녀로 둔 중년이 된 ‘지혁’의 이야기다.
인생의 흐름이 그러하듯이 전작이 있다고 해서 이번 작과 서사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된 것은 없다. 전작을 읽지 않아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다만 기억하기로는 전작에서 장기 연애를 하면서 헤어질 뻔한 지혜와 결혼을 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유감스럽게도 전작의 내용은 잘 기억나지 않는다.
<중급 한국어>는 비정규직 강사이자 비등단 소설가인 ‘지혁’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강의를 하기 위해서 서울에서 동해 바다가 보이는 대학교까지 출강을 가서 글쓰기 강의를 하지만 그래도 불안정한 생활을 이어나간다. 전작에서 가능성으로 짚어지던 글쓰기는 이제 본격적으로 이어져서 지혁은 미등단 작가가 되었다.
이 소설은 그러한 생활의 장면, 장면을 파편적으로 이어지지만, 일관성을 이어나간다. 내 얘기라고 하면 술자리에서의 구질구질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지만, 이상하게 재미가 있다. 글쓰기에 대한 이야기도 그렇고 아버지가 된 지혁의 이야기도 흥미롭다. 이 소설의 클라이막스인 부분은 바로 지혁의 가족들이 하나, 둘 코로나에 걸린 시기일 것이다. 다시 말하지만, 이 소설은 자전적 요소가 강한 소설이다. 킬러의 표적이 되었다든가 미칠듯한 불륜을 저지른 막장 드라마가 아니다. 그런데 이상하게 코로나가 등장하자 소설에 긴장감이 부여된다. 코로나에 혼란스러운 우리 일상의 모습만으로 서사가 만들어진다. 정말 신기한 일이다. 읽는 사람은 재미있지만 겪은 사람은 괴로웠을 것이다. 코로나에 걸린 한 사람으로서 코로나를 겪으며 재난 영화나, 매디컬 드라마를 찍고 싶은 마음은 없다. 이 소설의 작가는 그 경험마저도 알뜰하게 써먹는다.
<초급 한국어>가 어느 정도 호응이 있었던지 문지혁 작가의 최근 작품은 자전적인 성향이 강하다. <중급 한국어>는 그런 흐름의 큰 지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만족스러운 독서였다. 소설의 말미에 후속작을 암시하는 장면이 이어지는데 그 후속작에는 부디 큰 위기가 없기만을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