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이 별을 떠나기로 했어
천선란 외 지음 / 허블 / 2021년 3월
평점 :
허블에서 출가한 엔솔로지 소설집인 <우리는 이 별을 떠나기로 했어>는 주로 한국과학상 문학상 출신의 작가들이 참여했고 페미니즘 SF 소설작가인 박문영 작가도 참여해 총 다섯 명의 작가가 참여했다.
이 소설집의 특징은 주제에 맞추어 각각 다섯 명의 작가들이 <우리는 이 별을 떠나기로 했어>라는 대 주제를 바탕으로 각자의 소설을 썼다는 것이다. 쓰는 작가가 다르니 내용도, 설정도 달랐지만 같은 소재에서 출발한 만큼 유사한 점이 많았다.
지구 밖의 행성 혹은 공간을 지구의 대안공간으로 삼는다는 설정이 많았지만, 그에 더 나아가서 지구를 버리고 외부 세계로 탈출한다는 설정에 반기를 들고 오히려 외부 세계를 보전하거나, 지구를 파멸한 원죄를 인류에게 물어 탈출 그 자체를 회의하는 소설도 있었다.
천선란 작가의 <뿌리가 하늘로 자라는 나무>의 경우 수수께끼의 외계 생물체와의 전쟁을 다루지만, 전투씬은 하나도 나오지 않고 이미 모든 전쟁이 끝난 뒤, 군인의 회고하는 구성의 성격이다. 이 소설은 클리셰를 절묘하게 비틀면서 파괴되는 세계와 인간에 대한 쉽고 뻔한 냉소를 선택하는 게 아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가는 것에 가치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다른 소설들에 비해서 더 즐겁게 읽었다. 물론 인간 내면 풍경을 묘사한 작품의 특징 때문에 한 페이지에 문장이 가득 차 읽기가 좀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다.
박해울 작가의 <요람 행성>은 행성을 테라 포밍 한다는 노동자를 주인공으로 삼은 소설이었다. 고립된 공간과 통제된 정보라는 클리셰는 영화 <문>이나 톰 크루즈가 주연한 <오블리비언>에서도 사용된 소재다. 이 소설의 미덕이라면 제시된 소재에서 상상할 수 있는 ‘지구 탈출’이라는 소재에서는 벗어났다는 것이다. 하지만 설정의 디테일을 살펴볼수록 의문이 든다? 1만 대의 기계를 점검하는 일을 노동자 개인이 처리한다? 혹은 지구가 멸망해간다는 정보를 너무나도 파편적으로 던져준다던가 혹은 지구가 절박한 상황임에도 주인공읊 파견한 회사에서는 주인공을 거의 버려둔다는 의문이다. 설정의 구멍 같은 여러 의문들 때문에 소설을 읽는 것에 방해가 될 정도였다. 조금 아쉬운 소설이었다.
오정연 작가의 <남십자 자리>의 경우에는 행성 단위의 양로원이 만들어지고 노인들이 거기에 살게 된다는 설정이다. 노인을 부양하는 건 고도화된 휴머노이드들이고 그들은 노인의 곁에서 노인을 돌보며 살아있는 인간을 연기하며 살아간다. 그리고 그런 휴머노이드들에게 알 수 없는 오류들이 생겨난다. 이쯤 되면 로봇 반란 이야기인가? 싶었는데 그건 아니었고 양로원 행성에 있는 할머니인 ‘해리’와 손녀인 ‘미아’의 시점이 교차하며 이야기가 전개된다. 그리고 난 이 소설이 무슨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인지 이해가 되지 않았다.
휴머노이드의 오작동이란 소재는 어디론가 날아가 버리고 해리와 미아의 이야기로 진행된다. 문제는 그 둘의 이야기가 신변잡기적인 과거사 이야기만이 표피적으로 드러난다는 것이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많은 등장인물의 이야기는 서사를 하나의 물줄기로 모여드는 것이 아닌 실개천의 형태로 바다로 빠져나간다. 남십자성에 행성에 양로원을 차린 이유는 무엇이며, 휴머노이드들은 왜 노인들을 모시고 사는지에 대한 설명도 부족하다. 읽을수록 어떤 디테일이 부족하다는 느낌이 많이 들었으며 작가가 이 소설을 쓰면서 꽤 힘들어했나? 고민하며 읽어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