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세 미술관 - 기차역에 모인 세계 유명 화가들, 세계문화 Go Go 지식 박물관 25
김소연 지음, 심가인 그림 / 한솔수북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고 지식 박물관 시리즈의 스물 다섯 번째인 <기차역에 모인 세계 유명 화가들, 오르세 미술관을 들춰 보기 전 무릇 어른들도 적잖이 이해를 구하기 어려워 하는 미술사에 대해 과연 아이들의

눈높이에 어떠한 형식을 구해   아이들이 지루해 하지 아니하고 즐겁게 감상할 수 있는 일말의

그 무언가가 책 속에  기다리고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를 한 탓이였을까?

드디어 아이들의 두 손에 안전하게 정착한 '오르세 미술관'을 우리는 조심스레 기쁜 마음으로

열어보면 되는 것이다.헌데 아이러니하게도 작은 아이는 표제의 앞 에 마네의'풀밭 위의 점심'

을 보면서 예전 미술을 배울때 본인이 마네반이여서 기억을 담고 있다며 연신 어깨를 들썩이더니 이내 뒤질세라 큰 아이는 뒤 표지에 그렇게 좋아하고 궁금해 하며 고흐에 관한 서적들도 꽤 읽은 탓에 고흐와의 마주침은 큰 울림으로까지 일파만파 커지는 듯 하다.

먼저 파리에 있는 오르세 미술관을 아느냐는 질문을 시작으로 그 거대하고 고풍스러운 그 곳으로 우리네가 내딛기 이전 이미 한발 앞서 구경한 친구가 있었으니 그의 정체는 지구인이 아닌 외계인이였다는 이름은 봉봉이였고 게다가 미술관을 구경하러 온 것이  아니였다는.

지구인을 몰래 탐사하러 늦은 밤에 지구로 찾아와 사람이 가장 많은 기차역에 내린다는 것이

그만 오르세 미술관 중앙 복도였던 것이다.

그 곳에서 경비를 서는 끌로드 할아버지와  할아버지 손녀인 까미유와의 만남이 시작되어

예기치 않은 만남이였지만  함께 오르세 미술관을 구경하면서 끌로드 할아버지와 까미유의 멋진 설명과 함께 구경을 나서기에 이른다.

원래 오르세 미술관의 역사는 1897년에 시작되었다고 한다.오를레앙 철도가 건설한 철도역이자 호텔이었다. 1939년에 철도역 영업을 중단한 이후 용도를 두고 다양한 논의가 오가다  철거하자는 주장도 있었지만  프랑스 정부가 보존·활용책을 검토하기 시작해 19세기를 중심으로 하는 미술관으로 다시 태어나게 되었다. 1986년에 개관한 오르세 미술관은 지금은 파리의 명소로 정착했으며 이후 햇빛을 사랑한 인상파 미술을 전시하던 국립 주드폼 미술관의 수장품은 모두 오르세 미술관으로 이관되어 있다는 것이다.

덧붙이자면 제일 중요한 질문들의 연도들과 그 알고자 하는 순서가 아주 안성맞춤으로 구성된

짜임새가 꽤나 읽는 이로서 흡족했다.

더욱이 오르세 미술관은 크게 세 층으로 나뉘어져 있다한다.헌데 보통 1층/2층/3층으로 올라가 미술품을 감상할 거라는 예상과 달리 오르세는 1층을 구경한 다음에 3층으로 갔다가 2층으로 내려와야 한단다,이유인즉슨 미술 작품들의  시대 순서 때문이라 한다.

또한 작품들은 1874년을 기준으로 해서 두 부분으로 나뉘어지는데 이 해가 바로 '제1회 인상

주의 전시회'가 열렸다 한다.

책 속에는 얄팍한 분량에 비해 꽤 많은 그림들이 수록되어 있었으며 그 그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그림 설명들이 아주 쉬운 단어들로 잘 펼쳐져 있었다.

바로,이것이다.아이들에게도 보는 시각에서의 자유를 주어야 한다는 개인적인 생각이다.

허나 그러한 자유는 미술품에서는 참으로 여러 것들에 대해서 부족하고 협소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해 본다.허기사 미술품이라는 것은 직접 눈으로 보았을때 그 이해나 흐름을

빨리 흡수하긴 하나 여건상 거리상 시간적인 할애가 되지 않는 이들에게 이 '오르세미술관'

은 그네들에게 혹은 꿈만 담고 있을 아이들에게 있어 아주 유용한 미술사의 흐름과 마술품에

대한 지식을 어렵지 않게 근접할 수 있는 좋은 길라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익히 보아 온 그림들의 그 내용을 모른 채 알고 있던 두 아이들의 반응은 책의 속 날개 부분에

고고 지식 박물관 여타 책들에 대해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해 찜을 하기에 바쁘더니 내게

말을 건네곤 급히 눈짓 교환을 보내더니 기어이 허풍이 하늘을 찌를 기세를 갖추고 있지

아니한가.자기들은 이제 프랑스 오르세 미술관을 다녀와서 쉬어야 한단다.그리고 자기들이

눈을 떴을때 눈 앞에는 찜한 고고 시리즈가 있길 바란다는 말과 함께 그렇게 오르세는

두 아이에게 흡족함과 동시에 스스로 선택하여 보고픈 책들에게의 길을 열어준 또 하나의

큰 선물을 받은 기분이다.

다음에 만날 수 있는 미술관은 어디일까?

그때도 우리를 잊지 않고 초대할거라는 막연한 기대 속에서 오르세를 뒤로 하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