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의 쥐
이은 지음 / 예담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추리소설은 추리소설만의 가치가 있으며 틀은 근본적으로

무지에서 발견으로 나아가는 탐색의 과정이라 말할 수 있다.

[미술관의 쥐]의 저자 이은...

한적한 미술관 카페에서 소설책을 읽을 때가 가장 행복하다는

그가 선택한 곳이 곧 미술관이다.

주인공과 등장인물의 직업 또한 큐레이터이다.

이제 어느 정도의 윤곽이 잡히나 했더니 그 추리란 쉽게

우리에게 실체를 내보이지 않기에 간담을 서늘하게 하거나 마음을

졸이게 하는 긴장감과 전율을 선사해 줄 만발의 준비를 하고 있는

미술관의 쥐를 만나기에 내 머릿속이 거미줄처럼 뒤엉켜 있었다.

소재가 미술인지라 더더욱 그 관심은 클  수 밖에 없었기에 혹 내가 기대한

만큼의 기대치가 아닐 수 있겠다는 생각을 마음 한 켠 움켜쥐고 그 세계로의

초대를 설레임으로 무장하고 기꺼이 응했다.

정로미술관 관장 박길용의 자살을 둘러싼 비밀을 신인 화가가 주축이 되어

유명 화가의 그림 모작을 둘러싸고 벌어진 살인사건을 다룬 내용을 담고 있다.

현재 모 방송에서 다루고 있는 드라마와 맥락이 사뭇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물론 주위의 평은 비평이 아닌 신선함에 더 환호하고 지지하는 듯 했다.

읽어 내려가면서 나도 모르게 쉼을 해야만 할 곳이 중간중간 기다리고 있었다.

아이러니하게도 늘상 미술관을 전시회장을 떠올리거나 가 본 우리네에게서

연상되는 것은 지적능력으로 완전무장 된 틈이라고는 찾아 보기 힘든 그네들에게서도

몹쓸  부조리가 곳곳에 비일비재하게 난무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실로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도 이내 정신 바짝 움켜잡고 [미술관의 쥐]의 실체를 알았을때의

느낌은 바로 이것이다라고 저자의 깊은 속내가 간결한 문체로 승화된

진정한 예술의 생명을 표현하고 있었던 것이다.

예술을 진정으로 순수하게 사랑했던 그들의 천국행을 지켜보는 독자의

한 사람으로서 저자만의 꾸미지 않은 간결한 문체와 함께 우리 정서가

담긴 또 다른 장르의 획을 그은 계기가 된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