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의 신 - 토크계의 전설 래리 킹에게 배우는 말하기의 모든 것
래리 킹 지음, 강서일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성공하고 싶은가?
  그렇다면 말을 잘하라.
  말을 잘해야 성공한다.
  말을 잘하는 사람이 모두 성공하지는 않지만, 성공한 사람들은 모두가 말을 잘한다.

  자기계발계의 대부, 데일 카네기는 1912년 뉴욕 YMCA에서 비즈니스맨을 상대로 하는 ‘대화강좌’를 개설하는데, 이 강좌는 대중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는다.
  그후로 부터 '대화강좌' 는 '스피치'라는 말로 변화되고, 또한 여러 형태로 갈라지면서 더욱 큰 비즈니스 시장으로 발전해갔다. 이는 예나 지금이나 말을 잘하고 싶어 하는 사람은 항상 존재한다는 것을 뜻한다.

  말을 잘한다는 것은 자기 자신을 표현할 수 있다는 뜻이다.
  자신이 어떤 사람인가 말할 수 없는 사람이 어떻게 자신이 팔고자 하는 제품을 설명할 수 있을까?
  하지만 말을 잘한다는 것이 속사포처럼 끊임없이 뭔가를 입에서 쏟아 내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이것과는 전혀 다른 뜻이다.
  속사포와 같은 스피치는 그저 말투(말을 하는 방법)에 대한 구분일 뿐이다.
  말투가 어눌해도 말을 잘하는 사람이 될 수 있다.
  진정으로 말을 잘한다는 것은 상대방과 공감을 잘한다는 뜻이다.

  83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4관왕의 업적을 달성한 ‘킹스 스피치’는 진정한 대화, 성공적인 대화가 무엇인지를 잘 설명해 주는 좋은 영화이다.
  영화내용은 다음과 같다.
  1939년 세기의 스캔들을 일으키며 왕위를 포기한 형 때문에 영국 왕위에 오른 조지6세.
  그는 ‘말 더듬’이였다. 여러 대중 앞에서 연설을 자주 해야 하는 영국 국왕으로서 이는 굉장히 치명적인 단점이었다. ‘킹스 스피치’는 이를 이겨내고 국민 앞에서 연설을 하는 조지 6세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데, 이 영화를 통해 그가 배운 것은 ‘말 더듬이’를 고치는 법이 아닌, 자신을 사랑하는 법, 진실하게 타인을 맞주하는 법, 그리고 타인과 공감하는 법이었다.

  말을 더듬는 것은 유수한 스피지를 방해하는 요소이나 그것이 좋은 스피치를 만들기 위한 충분조건은 아니다.
  래리 킹은 좋은 대화를 위한 첫번째 규칙은 상대방의 말을 잘 듣는 것이라고 했다. 이는 '소통을 위한 열린 자세' 를 뜻한다.

  “대화의 첫 규칙은 듣는 것이다. 대담 중 내가 하는 말에서는 아무것도 배울 것이 없다는 사실을 매일 아침 깨닫는다, 오늘도 많은 것을 배우기 위해서는 그저 상대의 말을 경청하는 것 뿐이다.” - 래리 킹

  래리 킹은 성공적인 화법의 기본은 열린 자세와 상대방을 수용하는 대화 태도라고 이야기 했다.
  좀 더 깊은 대화법을 배우고 싶은 사람은 ‘대화의 교과서’로 통하는 래리 킹을 통해 그만의 대화법을 이 책을 통해 배웠으면 한다.

  래리 킹은 막힌 일도 쉽게 풀리는 결정적 대화법으로 특징이 아닌 '장점'을 말하라고 충고한다.
  만약 자신이 토스트 기계를 판매하는 세일즈맨이라고 하자. 토스트 기계를 팔면서 빵이 구워지는 정도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마이크로 칩이 들어갔느니 어쩌니 설명하지 마라. 대신 김이 모락모락 나는 커피 한 잔과 노랗게 잘 구워진 빵으로 차려진 근사한 아침 식탁을 이야기를 하는 편이 훨씬 좋다. 
  만약 자신이 보험외판원이라면 보험료에 대한 부수적 혜택을 일일이 설명하지 말고, 보험에 가입함으로 그 가정의 경제적 미래가 보장되며 부인과 자녀들이 느끼게 될 안도감을 전달해야 한다. 
  
  스티브 잡스는 아이패드를 설명할 때 '이 기계는 가볍고 얇다는 것'을 소비자들에게 일일이 설명하지 않았다. 그는 단지 서류봉투에서 아이패드를 꺼냈다. 
  아이패드가 얼마나 편리한지 소비자들은 즉시 알아차렸고 흥분했었다. 

  수려한 말이 좋은 말이 아님을 기억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