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슈타인의 꿈
앨런 라이트맨 지음, 권루시안 옮김 / 다산책방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멈추거나, 되감기거나, 혹은 사람마다 다르게 흐른다면?

『아인슈타인의 꿈』은 이런 질문에서 시작된다.


이 책은 1905년, 스위스 베른의 특허청에서 일하던 젊은 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성이론을 완성하기 직전, 밤마다 꾸었을 법한 ‘꿈’을 상상하는 형식의 소설이다.

총 30개의 짧은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은 독립된 세계를 배경으로

서로 다른 시간 개념이 작동하는 상황을 그려낸다.


표지는 소설이라 명시하고 있지만, 그 형식은 단순한 서사 구조를 넘어선다.

마치 서른 번의 시공간 강의를 듣는 듯한 느낌.

날짜별로 정리된 짧은 장들은 과학적 상상력 위에 문학적 감수성과 철학적 질문을 더해

시간과 존재, 그리고 인간의 내면을 성찰하게 한다.


이 책에 등장하는 시간의 세계는 실로 다채롭다.

시간이 원처럼 순환해 같은 삶을 반복하는 세계에서는

사람들이 안정감 속에서 점차 무력감에 빠진다.

시간이 멈추는 세계에선,

사람들이 가장 행복한 찰나를 영원히 붙들기 위해 사랑을 고백하고 그 순간에 머무르려 애쓴다.


또 어떤 세계에선 시간의 흐름이 고도에 따라 달라진다.

사람들은 조금이라도 천천히 늙기 위해 산꼭대기로 향한다.

그곳에서는 단 한 걸음을 떼는 사이에 하루가 저물지만,

사랑하는 이와의 시간을 더 오래 품기 위한 간절한 선택이 된다.


가장 철학적인 상상은 시간의 방향을 거꾸로 설정한 세계다.

사람들은 노인으로 태어나 점점 젊어진다.

죽음은 더 이상 끝이 아니라,

잃어버린 순수로 돌아가는 여정이 된다.


그리고 또 하나.

시간이 사람마다 다르게 흐르는 세계에서는

관계란 근본적으로 어긋날 수밖에 없는 것임을 보여준다.

어떤 이는 하루가 길고, 어떤 이는 몇 해가 한순간처럼 스쳐간다.

서로의 속도가 다르기에, 이해도 사랑도 끊임없이 조율되어야만 한다.


『아인슈타인의 꿈』은 단순히 시간에 대한 실험적 발상이 아니다.

이 책은 시간이라는 거울을 통해 인간의 삶과 감정을 비춘다.

결국 어떤 시간의 형태 속에서도,

인간은 여전히 사랑하고, 기다리고, 후회하고, 살아간다.


책을 덮은 뒤, 우리는 자연스럽게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게 된다.

지금 이 순간이 멈출 수 있다면 나는 누구와 함께 있고 싶을까?

삶이 반복된다면 나는 어떤 선택을 다시 하게 될까?

미래를 알게 되더라도, 나는 여전히 사랑할 수 있을까?


『아인슈타인의 꿈』은 짧지만 깊다.

서정적인 문장과 은유 속에서 시간의 본질과 삶의 본모습을 마주하게 만든다.

그리고 어느새 우리는 시간을 조금 다르게 바라보게 된다.

흘려보내는 것이 아니라,

붙잡고, 되새기고, 상상할 수 있는 것으로.


이 책은 시간이 어떤 모습을 하든,

우리는 결국 ‘지금’이라는 한순간을 살아내야 한다고 말한다.

그 짧고도 찬란한 시간 앞에서 우리는 조금 더 다정하고, 조금 더 용감해질 수 있다.


'다산책방(다산북스) 출판사'를 통해 도서 협찬을 받아서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작성자]

인스타 #하놀 @hagonolza

블로그 https://blog.naver.com/hagonolza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