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문 넘어 도망친 엄마 - 요양원을 탈출한 엄마와 K-장녀의 우당탕 간병 분투기
유미 지음 / 샘터사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짧은 감상평 먼저]

 이 일이 나에게도 벌어진 수 있는 현실이라는 생각 때문에 머릿속이 아주 복잡했다. 엄마의 입장도 너무 공감이 가서 마음 아팠지만, 변해 버린 엄마의 모습을 인정하는 것도, 그런 엄마를 케어하는 것도 모든 것이 두렵고 힘든 자식의 마음 또한 공감이 갔다. 그리고 딸의 시선으로 바라본 이야기라 나 역시 누군가의 딸이기에 더 깊이 공감할 수 밖에 없었던 내용이었다. 이 책을 읽고 또 한번 어느 구절에 눈물 펑펑, 콧물을 쏟았다. 이 이야기는 내 엄마의 이야기가 될 수도 있고, 미래의 내 이야기가 될 수도 있기에 공포스럽고 먹먹했던 소설이었다. 그리고 과학이 발달한 현대라고는 하나 나아지지 않은 병원 시스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병원이라는 공간이 주는 의의를 다시 돌아볼 수 있게 한 것 같다. 삭막한 사회에서 아픈 사람들이 더 서럽게 고통 받고 있는 건 아닐까? 생각해보게 된다. 그들을 따뜻하게 케어해줄 수 있을만한 환경이 조성되면 좋을 것 같단 생각을 해봤다.


 건강하게 잘 지내던 내 부모가 갑자기 병들어 점차 다른 사람이 되어간다면 어떨까?

내가 그런 부모를 마주한 나의 감정은 어떨까? 그런 부모를 끝까지 책임질 수 있을까?

혹은 그런 상황을 겪었을 때 타인의 도움을 빌려서라도 케어를 도와줄 수 있을 만큼 나의 처지나 상황이 넉넉할까? 책을 읽다 보니 여러가지 생각이 들었다.

부모가 아프다면 자식된 도리로 치료를 해주고 케어를 해주는 것이 당연 하지만,

그런 도움을 줄 수 없는 형편이나 사정이라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 무섭고 끔찍해지기도 했다.

어떻게하지? 라는 물음이 계속 머릿속에 떠올랐다.

‘창문 넘어 도망친 엄마’는 이러한 현실적인 고민을 정면으로 마주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소설의 주인공인 엄마는 오랜 세월 암과 싸워왔다. 여러 번의 수술 끝에 기적적으로 회복했지만, 결국 뇌종양 판정을 받고 병원과 요양원을 오가며 지내게 된다. 하지만 낯선 병실과 낯선 사람들의 손길 속에서 엄마는 점점 변해간다. 한때 다정하고 인자했던 모습은 사라지고, 예전에는 상상도 할 수 없던 욕설을 내뱉으며 자식들에게 간절히 애원한다. “날 여기서 데리고 나가 줘.”


 엄마의 변화를 지켜보는 자식들의 감정은 복잡하기만 하다. 딸과 아들은 엄마를 사랑하지만, 병든 엄마를 온전히 돌볼 자신이 없다. 엄마를 돌봐야 한다는 책임감과 곁을 지켜주지 못하는 죄책감이 뒤섞이고, 한편으로는 현실적인 부담과 두려움이 마음을 짓누른다. 예전의 엄마가 아니라는 괴리감은 이들의 갈등을 더욱 깊게 만든다.


병들어버린 부모를 자식은 어디까지 책임질 수 있을까? 가족이라는 이름 아래 서로를 감당할 수 있을까? 돌봄은 오직 사랑만으로 가능한 것일까? 소설은 이러한 질문을 던지며 현실을 마주하도록 한다. 엄마는 요양원에서 남은 생을 보내고 싶지 않다. 병원 침대에 누워 간병인의 손길에 의존하는 삶을 거부한다. 하지만 그녀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많지 않다. 이 현실적인 한계에 씁쓸한 감정을 남긴다.


 이 책은 부모의 노환과 간병 문제를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큰 울림을 준다. 부모님의 건강이 예전 같지 않음을 느끼고 있는 사람, 병든 가족을 돌보며 감정적으로 힘들어하는 사람, 요양병원이나 간병의 현실을 마주하고 있는 사람, 그리고 가족의 의미를 다시금 되새기고 싶은 사람이라면 이 이야기에 깊이 공감할 수 있는 책이다. 특히, 간병을 직접 경험한 사람이라면 더욱 절절하게 와닿을 것이다. 돌봄이 단순한 사랑의 문제가 아니라 현실적인 감당의 문제라는 점을 누구보다 잘 알기 때문이다.


 ‘창문 넘어 도망친 엄마’는 우리가 외면하고 싶지만 언젠가는 마주해야 할 현실을 이야기한다. 부모가 병들고, 자식이 그 부모를 돌보는 과정에서 겪는 감정들은 누구에게나 낯설지 않은 이야기다. 하지만 우리는 이 문제를 너무 쉽게 애정으로만 해결하려 한다. 이 책은 그러한 낭만적인 환상을 무너뜨리고, 돌봄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을 던진다.

 마지막까지 자신의 존엄성을 지키고 싶었던 엄마의 이야기, 그리고 그런 엄마를 보며 흔들리는 자식들의 감정선이 깊은 여운을 남긴다. 부모와 자식, 돌봄과 책임, 사랑과 현실의 무게에 대해 생각해 보고 싶다면 이 책을 꼭 읽어보길 권하고 싶다.



'2025 상반기 물방울 서평단' 활동을 통해 '샘터사 출판사'도서를 협찬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작성자]
인스타 #하놀 @hagonolza
블로그 https://blog.naver.com/hagonolza84



"딸, 엄마가 좋아하는 시 있다. 들어 볼래?

사랑하는 이여, 나 죽거든 날 위해 슬픈 노래를 부르지 마오
내 머리맡에 장미꽃도 그늘진 사이프러스도 심지 마오
무덤 위 푸른 잔디가 비와 이슬방울에 젖게 해 주오
그리고 생각이 나시면 기억하고, 잊고 싶으면 잊어 주시오
나는 그림자도 보지 못하고, 내리는 비도 느끼지 못할 거요.
고통스럽게 노래하는 나이팅게일 소리도 듣지 못할 거요
해가 뜨거나 저물지도 않는 희미한 어둠 속에서 꿈을 꾸며
어쩌면 기억하겠지요, 어쩌면 잊을지도 모르지요.

크리스티나 로세티의 시야." - P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