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에게는 몇 번의 월요일이 남아 있는가
조디 웰먼 지음, 최성옥 옮김 / 토네이도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에게 남은 월요일은 몇 번인가?”


 월요일. 이 단어는 많은 사람에게 지루한 반복과 피곤한 출근길을 떠올리게 한다. 주말의 여운이 채 가시기도 전에 다시 일상으로 복귀해야 하는 날. 하지만 만약 우리가 맞이 할 월요일의 개수가 정해져 있다면, 그 하루를 지금처럼 흘려보낼 수 있을까?


 조디 웰먼의 ‘당신에게는 몇 번의 월요일이 남아 있는가?’는 이 질문 하나로 삶을 다시 생각하게 한다. 

저자는 우리가 남은 시간을 당연하게 여기지 않도록, 그것을 숫자로 환산해 직관적으로 마주하게 만든다. 그리고 그 숫자가 생각보다 적다는 사실을 깨닫는 순간, 삶을 대하는 태도가 완전히 달라진다고 말한다. 멋지게 살지 못했다고 후회하지 않도록 도와줄 작정이다. 그래서 마침내 죽음을 맞이할 때 스스로를 자랑스러워 할 수 있는, 후회 없는 멋진 삶을 설계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


 이 책은 일반적인 자기계발서라고 말하기엔 부족한 것 같다. 긍정심리학과 실존주의 철학을 결합한 책으로, ‘죽음을 회피하는 대신 그것을 삶을 충만하게 만드는 동력으로 삼으라’고 이야기한다. 우리는 흔히 죽음을 두려워하며 가능한 한 멀리 밀어두려 한다. 하지만 저자는 오히려 죽음을 가까이할 때, 삶이 비로소 선명해진다고 말하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 당신에게 남은 월요일은 몇 번인가?


 이 질문을 진지하게 고민해 보면, 우리는 그동안 얼마나 많은 시간을 무의식적으로 흘려보냈는지를 깨닫게 된다. 막연히 ‘언젠가’ 하겠다고 미뤄둔 일들이 떠오르고, ‘나중에’라는 말로 연기한 꿈과 목표들이 머릿속을 스친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스스로에게 묻게 된다.

이렇게 살아도 괜찮을까?


저자는 우리가 시간을 허투루 흘려 보내지 않고, 시간을 ‘사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강조한다.

살아 있는 것과 단순히 존재하는 것은 다르다. 우리의 목표는 ‘시간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사는 것’이어야 한다.


그렇다면 시간을 산다는 것은 무엇일까?


웰먼은 우리가 삶을 더 충만하게 만들기 위해 몇 가지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고 말한다.

무언가를 기대하는 삶을 살아라.

- 반복되는 하루 속에서도 새로운 것을 기대할 수 있어야 한다.

- 월요일이 단순한 출근일이 아니라, 새로운 기회를 시작하는 날이 되도록 만들어야 한다.

당신의 시간은 최고의 투자 대상이다.

- 시간은 한정된 자원이므로, 무의미하게 낭비하는 것이 아니라 가치 있는 경험에 투자해야 한다.

- 하고 싶은 일을 ‘나중에’ 미루지 말고, 지금 시작해야 한다.

죽음을 인식하는 것이야말로, 삶을 더 강렬하게 만드는 열쇠다.

- 남은 시간이 유한하다는 것을 받아들일 때, 비로소 우리는 삶을 온전히 살아갈 수 있다.

- 우리가 맞이할 월요일의 개수를 계산해 보는 것만으로도, 삶을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질 수 있다.


이 책은 “당신은 정말 살아 있는가?“라는 도발적인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우리가 그 질문에 답하는 순간, 삶은 달라지기 시작할 것이다.


다시 한번 물어보겠다.

당신은 남은 월요일을 그냥 흘려보낼 것인가?

아니면 새로운 기회로 만들 것인가?


'토네이도 출판사 북클럽 <소용도리> 2기 서포터즈' 활동을 통해

도서 협찬을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작성자]
인스타 #하놀 @hagonolza
블로그 https://blog.naver.com/hagonolza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