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은, 비건 - 7가지 키워드로 들여다보는 기후 식사 알고십대 8
정민지 지음, 민디 그림 / 풀빛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민지의 ‘가끔은, 비건’이라는 책은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으니 작은 실천으로 지구와 나를 위해 더 나은 선택을 해보자’는 이야기를 담고 있는 책이다.

평소 주변 사람들과 음식을 같이 먹을 때 보면, 야채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지만 고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적어도 내 주변에 있는 사람이나 건너 아는 사람들 중에서는 고기 싫다는 사람은 딱히 보질 못했다. 저자의 말처럼 사람들은 기분이 저기압일 때 ”고기 앞!”을 외치고, “인생은 고기서 고기!”를 외치며 고기를 찾았다. 하지만 이러한 고기 소비량이 늘어나면 늘어날 수록 환경 파괴가 자행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기자인 저자도 다양한 분야의 사람을 만나게 되고, 청소년 독자를 위한 책을 쓰면서 환경이나 생태, 동물 복지 같은 개념들을 제대로 알게 됐다고 한다. 기후 위기가 도래한 시점에 기후를 지키기 위해 할 수 있는 실천을 생각해보니, 삼시 세끼로 먹고 있는 음식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평소 좋아하는 문장 중에 “우리가 읽는 모든 것이 우리 자신을 만든다.”라는 말이 있는데,
먹는 것과 관련 된 말 중에 비슷한 표현이 있다는 걸 알게 됐다.
”You are what you eat.”
당신이 먹는 것이 바로 당신이다.

이 말을 되새겨 보니, 그동안 먹어왔던 그리고 먹고 있는 음식들이 오로지 나의 즐거움과 나의 만족만을 위한 선택이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환경을 생각하지 못한 선택이 너무 많았다. 순간의 배고픔을 이기지 못하고, 먹는 즐거움을 위해 선택 했다.
세상에는 나와 다르게 여러 가지 이유로 먹는 것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고, 행동으로 옮기며 사는 사람들도 많을 것 같다. 아마도 우리가 지금까지 피부로 직접 느껴질만큼의 큰 위기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는 건, 그러한 사람들이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지구 살리기를 몸소 실천하고 있는 사람들 말이다. 그런 생각들을 하다보니 매순간의 즐거움을 이기지 못하고 같은 행동을 반복하고 있는 행동이 부끄러워진다.

우리가 먹는 동물들은 어떤 환경에서 자라고 있을까?
동물의 종류는 다양한데 우리가 특정 동물만을 먹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동물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우리의 식탁 위에 오르게 될까?
그 과정들을 면밀히 살피게 된다면, 고기를 먹는 행위를 그만두거나 적어도 줄어들 수도 있을 것 같단 생각이 든다.

이 책에는 우리가 생각해 볼 7가지 주제를 다루고 있다. 해당 주제들을 따라가면서 다양하게 생각하는 힘을 길러 보면 좋을 것 같다. 기존에 가지고 있는 사고에서 다른 생각으로 전환하게 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 같다. 고기를 먹는 식생활이 단 한순간에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책을 읽어 보고 마음이 동요되거나 사고의 변화가 생긴다면 조금씩 변화되지 않을까?
앞으로 지구에서 살아나갈 많은 사람들이 깨끗하고 좋은 환경에서 살 수 있으려면, 분명히 현 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부터 변화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한사람 한사람이 조금만 더 환경에 대해 기후 위기에 대해 고민하고, 작은 실천을 한다면, 그것이 모여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만화가 섞여 있는 책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쓰여졌고, 아이부터 성인까지 부담없이 읽을 수 있는 책이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4장에 있던 ’괴물 닭’ 이야기는 충격적이었다. 인간 이기심의 어느 한 단면을 확인할 수 있었던 사건이었다. 꼭 한번 읽어 보시길 바란다.


'풀빛 출판사'를 통해 도서 협찬을 받아서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작성자]
인스타 #하놀 @hagonolza
블로그 https://blog.naver.com/hagonolza84


환경 전문가들은 전기차로 바꾸는 것보다 더 효과적인 게 바로, 우리가 먹는 식단을 바꾸는 거라고 말해.

이유는 탄소 배출량에 있어. 비행기, 자동차, 기차, 선박 등 모든 교통수단에서 나오는 탄소 배출량은 전체 탄소 배출량의 13.5퍼센트 정도야. 근데 축산업으로 인한 탄소 배출량은 그보다 더 많은 18퍼센트나 차지하고 있어. 우리의 식단, 정확히는 지나치게 고기를 많이 먹는 식단이 환경오염과 지구 온난화의 ‘숨은 주범’인 거지. 전 세계 모든 사람이 식물성 식단으로 바꾼다면 해마다 80억 톤 정도의 온실가스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거라는 계산이 나와. - P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