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의 마지막 가르침 - 삶의 자유를 위한 부의 알고리즘
다우치 마나부 지음, 김슬기 옮김 / 북모먼트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에는 이 책이 단순히 자기계발서일 거라 생각했다.
제목과 표지 디자인이 여지없이 자기계발서 느낌이라 자기계발서겠거니 하며 읽게 되었는데 소설이었다.
자기계발서의 느낌이 강한 소설이라고 해야할까?
기존 경제/경영서의 느낌을 벗어나 소설 형식의 글이라 신선한 느낌을 받은 책이었다.

이 책은 중학교 2학년생인 '사쿠마 유타'와 미국 투자 은행의 도쿄 지점에서 일하는 '구노 나나미'가 우연히 만나 수수께끼의 대저택에 살고 있는 '보스(소장)'와의 만남을 통해 '돈'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는 과정을 담고 있다. 그들이 나누는 대화 속에서 평소 우리가 생각하는 '돈'에 대한 가치를 심도 있게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를 준다. 실제로 돈에 대한 가치나 생각의 변화를 줄 수 있는 힘을 가진 책이었다. 그들의 대화를 따라 가면 갈수록 '돈'과 관련해 미시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 부끄러워지기도 했던 것 같다.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위치에 만족하지 못하고 불행하다 생각하며 행복한 삶을 갈구한다. 그 행복한 삶을 위해 '돈'은 필수 요소라고 생각한다. 풍족한 삶을 살고 싶은데 항상 돈이 부족하고 궁핍하다고 느껴지니 불행하다고 느낀다. 열심히 산다고 생각하지만 돈은 모이지 않고 계속 증발되는 것 같다. 좋은 집에서 잘 먹고 잘 사는 부류의 사람들을 보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거나 비교 굴레에 갇혀 불행을 자처하기도 한다.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고 우울감을 키운다. 본인의 처지를 비관하면 그 원인을 외부적인 요인에서 찾기도 한다. 그래서 자신에게 해를 끼친 사람이 아니지만 단순히 부자라는 이유로 맹목적인 비난을 퍼붓기도 한다. 사회를 비판하고 원망하기도 한다.
사람들은 돈이 많으면 행복하고 돈이 적으면 불행하다고 생각한다. 그게 우리의 현 시점이다.
일부 사람들은 돈이면 뭐든 다 할 수 있다고 믿고 애찬하기도 하다.
이같은 생각은 사실 위험할 수 있다. 누군가는 '돈'에 대한 가치를 제대로 알려줘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하던 찰나에 '돈 너머의 연구소'의 보스 '진구지'의 이야기는 올바른 '돈'의 가치를 가지게 해줄 것이다.

중학교 2학년생인 '유토'도 '보스'를 만나기 전까지, 속내를 숨기고 허울 좋은 말만 늘어 놓는 어른을 제일 싫어했다. 일례로 학교 선생님과의 진로 상담 과정에서 '돈 많이 버는 일을 하고 싶어요'라고 말을 했다가 학교 선생님에게 "돈보다 중요한 게 있지 않겠니?"라든가 "사회를 위해 무슨 일을 할 수 있을지 한번 잘 생각해 봐"와 같은 말을 설교로 생각했다. 유토는 "선생님 마저도 결국 돈을 위해 일하는 것이 아닐까?"하고 되려 묻는 아이였다.
그런 아이가 '돈 너머의 연구소'를 우연히 방문하게 되어 대저택의 '보스' 이야기를 듣게 되면서 점점 변화되는 과정을 지켜볼 수 있게 된다. '돈'의 진정한 가치를 깨달아가는 주인공의 이야기를 직접 경험해보시길 바란다.

소설을 읽듯 술술 읽혀 내려간 책이었지만 평소보다 훨씬 많은 생각을 하면서 읽게 된 책이었다.
그리고 한 가지 정보를 미리 알려 주자면 반전이 있는 소설이었다.
책을 다시 읽게 되면 또 다른 시각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도 들었다.


'북로망스'를 통해 도서 협찬을 받아서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부자의마지막가르침 #다우치마나부지음 #김슬기번역 #북모먼트 #북모먼트출판사 #경제일반 #경제상식 #경제이야기 #신간서적 #신간도서 #신간도서추천 #도서리뷰 #북스타그램 #도서서평단 #책서평단 #북로망스 #북모먼트

작성자 #하놀(84)

@hagonolza

https://blog.naver.com/hagonolza84



"한 사람 한 사람의 행동은 작지만 그게 쌓이고 쌓이면 커다란 흐름이 되지. 격차도 마찬가지야. 한 사람 한 사람의 행동이 격차를 만들기도 하지." - P17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