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나는 너와 헤어지는가 - 낭만적 사랑과 결혼이라는 환상에 대하여
켈리 마리아 코르더키 지음, 손영인 옮김 / 오아시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그간 남자를 몇 명 사귀었는데

모두 좋은 사람이었다.

(p.27)

나쁜 남자에 빠지기 쉬운 것이 여자라는 말이 있지만, 내가 만난 남자들도 이 책의 작가처럼 좋은 사람들이 대다수였다. 친구 중에는 만나는 사람마다 나쁜놈만 꼬인다고 툴툴 거리기도 했다. 그에 비하면 나는 운이 좋은 편이었던 것 같다.



<왜 나는 너와 헤어지는가>의 작가는 서른이 되는 해에 몇 년간 동거하던 남친과 헤어지고 이 책을 썼다고 한다. 심지어 그 남친이 착하고 잘 생기고 돈까지 잘 번다니... 전생에 나라를 구했나보다. 헤어짐이 있고 나면 대게는 폐인이 된다. 나도 몇번 겪어봤지만 좋아하는 사람과의 헤어짐은 남자든 여자든 못할 짓이다. 그런 못할 짓을 왜 해야하는가? 가 궁금해서 이 책을 꼬옥 읽고 싶었다.


<오만과 편견>에 대한 작가의 얘기도 흥미로웠다. 오스틴이 이상적인 연애가 존재하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 소설마다 추구했다는 것을, 그 자신도 죽을 때까지 독신이라는 사실이 놀라웠다. 참 아끼던 사람의 최애 책이 하필 <오만과 편견>이었어서 그런지 더 와 닿았나보다. 그는 떠났지만 <오만과 편견>은 아직 내 마음속에 남아있습니다.



10년 이상 경제적으로 부유한 남자친구와 살다가 보통의 경우라면 결혼을 했을 것이 당연하지만 작가는 그를 떠났다. 주변에서 다 미친 짓이라고 말렸다고 한다. 남자의 부유한 경제 상황 때문에 만나는 여자들도 많이 봤다. 작가는 그에 반대되는 케이스 같다. 과거에는 남자의 경제력을 결혼의 제 1고려사항으로 보았다고 한다. 진정 사랑해서 결혼하는 것은 18세기 부터라는 얘기를 읽는데 로미오와 줄리엣이 생각났다. 그들도 뜨겁게 사랑했지만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사실도.


<왜 나는 너와 헤어지는가>는 사랑을 부정하는 책이 아니다. 내가 읽고 느낀 바로는 결혼이라는 환상은 깨어주는 것 같다. 헤어진 상황에 흥미를 가지고 이를 연구해 책으로 썼다는 아이디어가 눈에 띄었다. 간간히 나오는 상황에 맞는 그림은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헤어짐을 맞이한 여자 독자들에게 권해주고 싶어지는 책이다. 점점 결혼만이 정답이 아니어지는 요즈음 딱 어울리는 책인지도 모르겠다. 무조건 연애를 하라, 무조건 결혼을 하라는 사람들의 말에 질린 사람이라면 이 책을 통해 선택할 자유를 얻게 될지도 모르겠다. 가독성도 좋고, 얇기도 적당하고, 이 책 칭찬해!


본 리뷰는 리뷰어스 클럽에서 도서를 소개받아 주관적으로 적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인문 #왜나는너와헤어지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엇이 성숙인가 - 나를 바꾸는 예수의 가르침
조정민 지음 / 두란노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 성경을 딱 한번 읽어본 적이 있다. 그것도 막 몰아서 읽어서 전체 내용을 일일이 기억하지 못한다. 처음 교회를 다니면서 목사님이 설교를 해주는 내용이 성경을 바탕으로 한다는 것을 안 후로 성경을 읽고 싶었다. 성경은 내가 사는 세상 용어랑은 다른 부분도 있어서 어려웠다. 그러던 어느날 유튜브에서 조정민 목사님의 설교를 들었는데 성경 내용을 이해가 잘 되게 얘기해주셨다. 그래서 조정민 목사님을 좋아하게 되었다. 이번에 신간이 나왔다고 해서 읽고 싶었다. 예수님의 첫 설교가 산상 수훈이라는 것도 <무엇이 성숙인가>를 통해서 처음 알았다. 

 
바울이 말하는 화날 때 명심할 세 가지가 기억에 남는다. 마귀에게 틈을 주지 말고, 죄를 짓지 말고, 그 날로 해결하라는 것.(p.74) 분노가 나는 그 날 안에 분노를 해결하는 것은 쉽지가 않는데... '죄를 짓지 마'라는 것도 화나게 한 그 사람을 씹거나 '경멸 하지 마라'는 말이라고 한다. 당연히 화나게 한 사람에게 욕하고 싶은게 당연한 보통 사람들에게 이 조언은 참 실천하기 힘들면서도 다시 한번 생각할 수 있는 말인 것 같다.

"내 안에 하나님이 차고 넘쳐야 합니다."

(p.87)

진짜 사랑을 하면 누구든지 그 사랑에 올인 한다고 한다. 나는 진짜 사랑을 해 본 적이 있던가 생각을 해보았다. 잘 모르긴 해도 그 사람만 보고 다른 사람을 쳐다보지 않은 적이 있었던 것 같다. 모태신앙이던 친구가 최근 결혼을 했다. 어렸을 때부터 선교도, 헌금도 열심히 하는 친구였다. 하나님 앞에 하나가 된 가정은 이후로 사람이 나누지 못한다고 하는데, 앞으로 어떤 일이 있더라도 잘 살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이 책을 읽다가 문득 했다.

 
"원수를 어떻게 사랑할 수 있습니까?"

(p.113)

 
예수님을 만나게 된다면 정말 궁금한게 있는데 그것은 바로 도대체 어떻게 하면 원수를 사랑할 수 있을까 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아직 초심자라 그런지 원수를 사랑하는 단계까지는 힘든 것 같다. 원수를 사랑하는 그 때 나는 성숙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정직하게 기도하는게 좋다고 조정민목사님이 적어주셔서 좋았다. 기도하는 자리에서는 욕해도 좋고 분노를 쏟아놓아도 된다고 말해주신다.

<무엇이 성숙인가>는 크리스천에 이제 막 입문하신 분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조정민 목사님을 좋아하는 분들에게도 산상수훈, 마태복음에 대해 설교를 들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 에듀윌 주택관리사 2차 핵심요약집 - 주택관리관계법규, 공동주택관리실무 2019 에듀윌 주택관리사 핵심요약집
윤동섭.김영곤 지음 / 에듀윌 / 201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에듀윌 주택관리사 2차대비 핵심요약집엔 핵심만 콕콕 있다던데 2019년판도 기대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시 태어난다면, 한국에서 살겠습니까 - 한강의 기적에서 헬조선까지 잃어버린 사회의 품격을 찾아서 서가명강 시리즈 4
이재열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시 태어난다면,

한국에서 살겠습니까?

<다시 태어난다면, 한국에서 살겠습니까 - 제목>

제목만으로도 이슈가 되기에 충분한 책이다. 헬조선이라는 말이 인터넷에 범람하면서 20-40대 사람들 중 돈을 모아뒀거나 기술이 있거나하면 이민을 가고자하는 사람이 많다는 뉴스를 보았다. 나는 저 질문으로 확실하게 어느 쪽이다고 대답을 못하겠다. 극단적으로 우리나라의 북쪽에 위치한 나라나 여성의 인권이 바닥인 중동지역에서 태어나지 않은 것에는 감사한다. 캐나다, 미국, 영국 쪽에 시민권을 가질 기회가 있었다면 글쎄...어떻게 선택을 했을지 모를 일이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이재열 교수님이 절망의 한국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궁금해서 읽게 되었다. 서울대에 굳이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강의인 서가명강 시리즈 그 네번째 책이 바로 <다시 태어난다면, 한국에서 살겠습니까>

 
<다시 태어난다면, 한국에서 살겠습니까>에서 우리 사회의 특징이 3불 시대라고 한다. 3불이 무엇인고 하니 불신, 불만, 불안. 이 세가지가 가득한 이유는 각기 다른데 다음과 같다. 3불이라니, 요즘 유행하는 4달라처럼, 되게 쏙쏙 들어오는 용어인 것 같다 

'불신'은 과거의 경험, 제도나 시스템을 믿을 수 없었다는 경험에서 온다.

(p.22)

왜 '불만'이 많은가?

사람들의 눈높이가 대단히 높아지다 보니 웬만한 성취에는 만족하지 못한다.

(p.22)

왜 '불안'한가?

앞으로 닥칠 미래, 노후에 대한 준비가 안 되어 있기 때문이다.

(p.22)

쥐뿔도 없는 난 아마 저 3불이 모두 해당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긍정적으로 본다면 대한민국의 주류에 편승하고 있는 나인가.

하버드에서 사회학 박사를 공부하고 오신 이재열교수님의 안목은 탁월했다. 중국과 한국을 비교하는 관점도 보통 사람인 나같은 사람이 못 보는 것을 보고 정리되어 있어서 좋았다.

그런데 책을 읽으면 읽을 수록 팩트폭행 당하는 것 같아서 답답했다. 할머니를 가족으로 안보고 애완견을 가족으로 보는 현실. 도와줄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생각하는 각자 살아 남아야하는 현실. 남들이 다 부러워하는 공기업에 다니면서도 번 돈을 저축하지 않고 주식에 몰빵해서 100억처럼 일확천금을 바라는 현실. 이 모든 것이 맞는 말인데 갑갑했다. 어찌하면 이들이 모두 행복해하는 한국이 될 수 있을까?

 
<다시 태어난다면, 한국에서 살겠습니까> 이 책은 2040 젊은 세대에게 권해주고 싶다. 우리의 현실을 다시 생각해보고 어떻게하면 행복해질지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기에. 서울대학교에 가고 싶었지만 다음 생을 약속해야 하는 나같은 사람에게도 대리만족을 주는 좋은 책이다. 한번쯤 '만약에'라는 가상의 질문에 대해 생각해보고 싶은 분들에게 권해주고 싶다.







#서가명강 #다시태어난다면한국에서살겠습니까 #사회의품격 #사회학 #N포세대 #한강의기적 #헬조선 #행복 #이재열교수 #서울대학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맨박스 - 남자다움에 갇힌 남자들
토니 포터 지음, 김영진 옮김 / 한빛비즈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BTS가 읽었다는 책 <맨박스> 

2년 전에 나온 책이지만 다시 조명을 받는 것은 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겠지.

맨박스 란 '남자에 대한 사회의 고정관념'이라고 한다. 사람이라면 '대부분 여자는 핑크, 남자는 파랑색을 좋아해야 한다' 뭐 이런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 남자라면 남자다워야 하고, 여자라면 여자다워야 한다. 이 모든 고정관념이 맨박스 라고 한다. 한국만 그런줄 알았는데 전 세계가 다 비슷하다는 것을 <맨박스>를 읽으며 알게 되었다.

 
여자는 제사를 지낼 수 없다고 사람 취급도 안해주는 집안 때문에, 한 때 '나는 왜 여자로 태어난 것일까' 하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만약 내가 남자로 태어났다면?' 하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남자라면 훨씬 좋았겠다는 생각을 많이 했었다. 그런데 <맨박스>를 읽으면서 남자로 태어나도 고민도 많겠고, 해야할 일도 많아서 남자로 살아도 참 삶이 녹록치 않았겠구나. 생각해보면 남자니까 직업도 여자보다 뻔듯해야 하고, 남자니까 돈도 많이 벌어야 한다고 하는 사람도 있으니까 말이다.

 
여성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않는

남성의 비중은 예상보다 

훨씬 높은 편이다.

(p.25)

이 말 공감하는 것이 주위에 같이 살고 있는 남편도 아내의 말을 잘 안 듣는 경향이 많다고 한다. 또 이 말은 다르게보면 여자의 No는 No가 아니라고 받아들이는 남자들도 있다. 그렇게 잘 못 알아듣는 사람은 아무래도 남성이 여성의 소유물이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 어쨌든 여성의 No는 No라고 받아들이게 잘 들어주시길. 적어도 나와 가까이 지내는 남자는 그랬으면 좋겠다.

책 읽다가 약간 쇼킹했던 것이 물론 작가는 이렇게 하면 안된다고 과거의 경험을 예로 들어 말을 한 것이지만 성폭행을 하는 것을 목격하고 그것을 적극적으로 말리지 못했다는 말이었다. 물론 할렘 지역이었고 같이 노는 무리들이 소위 말하는 저질 그룹이었다고 한다. 요즘은 불의를 보고도 말리거나 저지하면, 까딱하면 자신의 목숨을 부지하기 힘든 세상이니까 이해가 가면서도 점점 옳은 건 옳다고 말하는 사람이 남자든 여자든 많아졌으면 좋겠다.

 
평범한 남성의 작은 변화가

모든 것을 바꾼다.

(p.209)

<맨박스>는 남자가 남자들에게 하는 메시지가 담겨있다. 저자의 경험을 살려서 남자와 여자가 조금 더 잘 공생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다. 이왕 한번 사는 인생 너무 막 살기보다는, 잘 지내는 법을 배워 조화롭게 사이좋게 지내면 좋지 않을까. 이번에 새로 나온 하드커버 표지가 너무 분위기 폭발해서 들고 다니는데, '도대체 무슨 책이 이렇게 멋지냐'는 소리를 많이 들었다. <맨박스>를 읽는데 몇년 전 알던 친구가 생각이 났다. 엠마왓슨과 원더우먼을 극히 싫어하던 그 형제에게 이 책 한번 읽어보라고 해주고 싶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