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출판계에는 한때 ‘혐한‘ 책이 수많은 출판사에서발행되어 베스트셀러가 되던 시절이 있었다. 이명박 대통령이 독도를 방문했던 2012년부터였을 것이다. - P114
하지만 엉킨 실은 실마리만 잡으면 어떻게든 풀어지기마련이다. 그리고 그 실마리는 쇼가쿠칸 사장님이 다시찾아와주시며 풀리기 시작했다. - P119
2018년 진보초에 세워진 출판클럽빌딩. 일본 출판계의 중심인 그곳, 그중에서 새로 단장한 출판클럽 홀에서한국 도서계의 활발한 모습을 보이고 싶다는 야망이 있었다. 욕심은 늘 큰 비용을 동반한다. - P122
한국에서 130만부, 일본에서 22만 부가 팔린 조남주작가의 82년생 김지영』. 일본판은 얼굴 없는 여성의 앞모습이, 한국판은 여성의 뒷모습과 그림자가 인상적인 표지다. 책의 본문 한 글자 한 글자에 작가와 편집자의 철학이 담긴다면 책의 표지, 띠지, 글자 크기, 종이 재질, 책갈피 등 모든 요소에는 디자이너의 철학이 담겨 있다. - P127
2020년부터 2022년까지 모두가 그저 견뎌야 하는 시간이었다. ‘언제까지‘라는 기약 없이 마냥 버텨야 했던 그시기를 우리는 책으로 건넜다. 사람을 만날 수 없으니 책으로 사람을 찾아 나섰고, 페스티벌은 그렇게 외딴 섬처럼 고독을 견디는 우리를 연결해주었다. - P130
책거리를 아껴주는 이들이 점점 늘어간다. 참으로 고맙고 기쁘다. - P135
거창하게 말했지만 사실 별거 없다. 그저 ‘한 사람에게다양한 부탁을 하는 것이다. 오늘은 A가 가능한지 물어본다. 만약 고사하면 다음번에 B를, 또다시 고사하면 다다음에 C를 물어본다. 다른 일이 아니어도 된다. - P1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