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가 미지근하게 식었을 즈음 나는 이 집에서 살기로결정했다. 내내 표정을 살피던 한인 여성분은 그제야 환하게 웃었다. 현금으로 준비한 보증금 360유로는 통장이나 금고가 아닌 거실 찬장의 쿠키 상자에 담겼다. 나는 요나스와그 집에서 가장 오랜 시간 지낸 플랫메이트다. - P37
빵을 의미하는 브로트(Brot)에 작거나 귀엽게 여기는 뜻을 더하는 접미사 첸(Chen)을 더한 브로첸은 말 그대로 ‘작은 빵‘이다. 성인의 주먹보다 조금 큰 빵으로 윗부분이 바게트처럼 먹음직스럽게 갈라져 있다. 독일에서 가장 저렴하고대중적인 빵이다. 아침 시간에 독일인들이 마트에서 가장먼저 구입하는 빵이기도 하다. - P43
"독일식 아침 식사라는 게 뭔데?" "집에 있는 빵, 햄, 치즈, 요거트, 잼, 버터를 모두 꺼내서한상 차려서 먹는 거야. 남은 건 그대로 냉장고에 넣었다내일 또 꺼내 먹으면 돼. 그리고 마시고 싶은 음료를 마시는거야. 커피, 차, 오렌지 주스, 아펠레∙∙∙∙∙∙∙ 선택은 네가 하면 돼?" - P45
"숭진. 여기는 너의 집이야. 내 집이기도 하고. 네가 하고싶은 모든 일을 해도 돼?" 옷 얘기를 하다 점점 거창해지는 요나스의 말이 웃기기도 하고 조금 귀찮기도 했지만 묘하게 위안이 됐다. - P47
"그거 알아? 김치가 아주 비싸거든? 그래서 한국인 유학생들은 자우어크라우트를 김치 대신 넣고 찌개를 끓여 먹어. 그러면 정말로 김치찌개 맛이 나?" - P57
"하하, 독일식 김치네? 꼭 이 집 같다. 우리 둘이 섞인 거지."
"아아, 들어본 적 있어요?" "거기 아직도 계속 출간해요?" - P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