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기: 어떤 의미에서는 뒤로 가는 실험을 하는 것이 앞으로 가는 실험과 비교해서 뒤지지 않을 수도 있다. 뒤로가나 앞으로 가나 우리들 모두는 둥근 공처럼 생긴 별에 산다.
만난다, 어디에선가," - P100

모국어의 층이 나도 모르게 점점 엷어지고 있다는 생각도 들 때도 있었고 어쩌면 그 감각은 의도적으로 잃어버리려 애써야 하는 건지도 모르지. 새로운 것이 나오기 위해서는 필연적일 수도 있을 만큼." - P121

"페르난두 페소아라는 포르투갈 시인이 있잖아. 그 사람이 생전에 이런 말을 한 적이 있어. 나는 포르투갈어로 시를 쓰지 않는다. 나는 나로 시를 쓴다.‘ 이 말이 내 경우에도딱 맞아떨어지는 것 같아. 우리가 한국어라는 뜨거운 언어공동체 속에 있긴 하지만, 결국은 ‘나‘를 쓰는 거잖아. 나‘라는 존재가 바로 언어지." - P101

"응. 눈 내리는 것을 볼 때마다 아득해지잖아. 나는 늘 눈송이들이 어떤 마음을 나르고 있다고 생각했어. 차가운 것이 애가 타니 어쩔 수 없어지는 거지. 그때의 눈은 흡사 그리움의 결정처럼 보이지. 극지방이 아닌 이상, 눈은 보통 며칠을 버티지 못하고 스르르 녹아버리잖아. 그리움도다르지 않지. 서서히 옅어지지. 하지만 남아 있지. 그리고반드시 다시 찾아오지." - P105

"시인으로서의 삶이 지난하다는 걸 모르고 열정만 가득하던 시절, 말의 어려움과 지난함과 지극한 가벼움과 가벼움뒤에 서 있는 사랑과 삶을 알아보지 못하고 다만 젊어서 불렀던 노래들이 그 시집 안에는 담겨 있습니다." - P109

허수경은 이렇게 답했습니다.
"시란, 더이상 물러설 수 없는 삶의 내용이지. 시인은 탄생과 탄생을 거듭하다가 어느 날 폭발해버리는 존재고." - P1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