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읽어본 조세희 작가의 소설집은 《난장이가 쏘아올린작은 공》한 권이다. 이후에 사진 산문집과 단편집을 냈지만적어도 ‘그런‘ 작품은 다시 쓰지 않았다(혹은 쓰지 못했다). 짐작하건대 그에게 그 한 번의 소설 쓰기는 지섭이 단 한 번사용했던 지식인의 언어와도 같았을 것이다. - P121
사용언젠가 인터뷰에서 왜 작품 활동을 계속 하지 않느냐는질문에 그는 이렇게 답한 바 있다. "글 쓰는 것은 늘 싸우는느낌이라, 침묵은 싸움에서 패배한 것이라고 생각하기도 하죠. 작가에게 제일 어려운 것은 좋은 글을 쓰는 것이고, 그다음에 어려운 것이 안 쓰는 것, 세 번째로 어려운 것이 침묵인것 같습니다. 난 침묵을 즐겁게 받아들였습니다." - P121
말하자면 그것은 ‘담아냄의 윤리‘가 아닐까. - P126
나는 기쁘지 않았다. 거대한 간판 뒤에 가려진 부서진판잣집들이 떠올랐다. 아름다운 도시라는 것은 어떤 삶들을감추고 치움으로써 만들어지는 것이구나. - P134
대학 시절, 모교에서 ‘부르주아 동아리‘의 양대산맥으로 거론되던 것이 스키부와 관현악단이었다. 이들에관한 짓궂은 유머가 난무했다. 가령 스키부는 막걸리 대신찹쌀동동주 마시고, 관현악단은 여름 합숙 가면 아침 식사로염소치즈와 크루아상을 먹는다는 식이었다. 경사진 눈길에서 왜 굳이 긴 신발 신고 미끄러지나 싶어 스키부는 부럽지않았으나 오케스트라는 남몰래 동경했다. 염소치즈 때문은아니었고, 여러 악기 소리들이 모여 선율을 만드는 것이 멋져 보였다. - P137
그래서 공부하기 시작했다. 정치 관련 기사를 읽고, ‘법과 ‘사회‘를 공부하고, 그들은 무엇을 잘못했는지 알려고 노력했다. 그러한 작은 하루, 몇 시간이 나에게는 잊지 못할 일이 되었고, 그때 자신 있게 촛불을 들지 못한 것을 부끄러워하며 지금 열심히 살아가려고 노력한다. 이렇게 역사 속에서 내가 바뀌며, 결국에는 이러한 미시사를 가진 개인 하나하나가 모여 역사를 바꾼다고 생각했다. - P136
관계의 밀도가 영원히 동일하지 않다고 해서기억들이 휘발되는 것은 아니다. 즐거움은 즐거움으로, 고마움은 고마움으로 영원히 남는다. - P142
|